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노인간호과정

노인간호과정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as, Meridean L., 저 Buckwalter, Kathleen C., 저 Hardy, Mary D., 저 Tripp-Reimer, Toni, 1946-, 저 Titler, Marita G., 저 Specht, Janet P., 저 태영숙, 역 김명애, 역 김영경, 역 박명화, 역 박상연, 역 서순림, 역 양진향, 역 정향미, 역 조명옥, 역
서명 / 저자사항
노인간호과정 / Meridean L. Maas ; 태영숙 [외] 공역
발행사항
서울 :   정담미디어,   2006  
형태사항
2책(xxxii, 1008 p.) : 삽화 ; 28 cm
원표제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 diagnoses, outcomes & interventions
ISBN
8991522556 (상) 8991522564 (하) 8991522548 (set)
일반주기
공저자: Kathleen C. Buckwalter, Mary D. Hardy, Toni Tripp-Reimer, Marita G. Titler, Janet P. Specht  
공역자: 김명애, 김영경, 박명화, 박상연, 서순림, 양진향, 정향미, 조명옥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일반주제명
Geriatric nursing
000 01847camcc2200553 c 4500
001 000045602256
005 20120913191327
007 ta
008 061017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91522556 (상) ▼g 93510
020 ▼a 8991522564 (하) ▼g 93510
020 1 ▼a 8991522548 (set)
035 ▼a (KERIS)BIB000010957163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70231 ▼2 22
085 ▼a 618.970231 ▼2 DDCK
090 ▼a 618.970231 ▼b 2006z1
245 0 0 ▼a 노인간호과정 / ▼d Meridean L. Maas ; ▼e 태영숙 [외] 공역
246 1 9 ▼a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 ▼b diagnoses, outcomes & interventions
246 3 9 ▼a Diagnoses, outcomes and interventions
260 ▼a 서울 : ▼b 정담미디어, ▼c 2006
300 ▼a 2책(xxxii, 1008 p.) : ▼b 삽화 ; ▼c 28 cm
500 ▼a 공저자: Kathleen C. Buckwalter, Mary D. Hardy, Toni Tripp-Reimer, Marita G. Titler, Janet P. Specht
500 ▼a 공역자: 김명애, 김영경, 박명화, 박상연, 서순림, 양진향, 정향미, 조명옥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650 0 ▼a Geriatric nursing
700 1 ▼a Maas, Meridean L., ▼e
700 1 ▼a Buckwalter, Kathleen C., ▼e
700 1 ▼a Hardy, Mary D., ▼e
700 1 ▼a Tripp-Reimer, Toni, ▼d 1946-, ▼e
700 1 ▼a Titler, Marita G., ▼e
700 1 ▼a Specht, Janet P., ▼e
700 1 ▼a 태영숙, ▼e
700 1 ▼a 김명애, ▼e
700 1 ▼a 김영경, ▼e
700 1 ▼a 박명화, ▼e
700 1 ▼a 박상연, ▼e
700 1 ▼a 서순림, ▼e
700 1 ▼a 양진향, ▼e
700 1 ▼a 정향미, ▼e
700 1 ▼a 조명옥, ▼e
900 1 0 ▼a 마스, 메리딘 L., ▼e
900 1 0 ▼a 벅월터, 캐슬린 C., ▼e
900 1 0 ▼a 하디, 메리 D., ▼e
900 1 0 ▼a 트립-레이머, 토니, ▼e
900 1 0 ▼a 티틀러, 마리타 G., ▼e
900 1 0 ▼a 슈페이터, 자넷 P.,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8.970231 2006z1 1 등록번호 1310378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8.970231 2006z1 2 등록번호 1310378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volume. vol.상]----------
목차
1부 건강 지각-건강관리 양상 = 1
 1장 정상적인 노화 = 3
  건강유지 = 3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 4
 2장 건강유지 장애 = 7
  관련요인/원인 = 9
  간호사정 = 11
  간호진단 = 13
  간호결과 = 14
   건강 오리엔테이션 = 14
   건강 신념 = 15
   지식 결과 = 15
   건강 행위 결과 = 15
  간호중재 = 20
   자기인식 증진 = 20
   가치명료화 = 21
   학습 준비도 강화 = 21
   교육: 개인 = 22
   공동목표 설정 = 22
   건강체계 안내 = 23
 3장 손상 위험성: 낙상 = 29
  관련요인/원인 = 29
  위험요인 = 30
   내적 요인 = 30
   외적 요인 = 31
  간호사정 = 32
  간호진단 = 34
  간호결과 = 34
  간호중재 = 35
   낙상 예방 = 35
 4장 중독 위험성: 약물 독성 = 43
  발병률 = 44
  관련요인/원인 = 44
   약력학과 약동학에 대한 노화의 영향 = 44
   약물의 흡수 = 44
   약물의 분포 = 44
   약물의 대사 또는 생체내 변화 = 45
   약물의 배설 = 45
   약물투여의 변수 = 45
   자가 투약 = 46
   복합약물요법의 효과 = 47
  간호사정 = 47
   일반적인 투약력 = 48
   디기탈리스 독성 감시를 위한 도구 = 48
  간호진단 = 49
  간호결과 = 49
  간호중재 = 50
   약물관리: 학제간 접근 = 50
   약물투여 목표 설정 = 51
   감시 = 51
   대상자 옹호 = 54
   약물 휴식기의 계획 = 55
 5장 감염 위험성 = 59
  관련요인/원인 = 59
   면역계 변화 = 59
   피부 변화 = 60
   호흡기계 변화 = 60
   비뇨생식기계 변화 = 61
   눈의 변화 = 61
   위장관 감염의 요인 = 62
  간호사정 = 64
  간호진단 = 64
  간호결과 = 65
  간호중재 = 65
  기타 쟁점 = 65
   HIV와 AIDS = 66
   결핵 = 74
   내성세균 = 74
   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 프로그램 = 75
 6장 비효율적 가정관리 = 81
  유병률 = 81
  위험요인 = 82
  간호사정 = 82
  간호진단 = 82
  간호결과 = 85
  간호중재 = 88
 7장 건강추구행위 = 95
  간호사정 = 96
  간호진단 = 97
   건강증진과 간호진단: 부적절한 개념 = 97
   안녕과 건강증진 활동: 독자적 분류체계 요구 = 98
  간호결과 = 98
  간호중재 = 99
   운동증진 = 100
   영양관리 = 100
   안녕증진 = 102
   영적 지지 = 102
   건강 생활습관 증진 모델 = 102
 8장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 109
  관련요인/원인 = 109
  간호사정 = 110
  간호진단 = 111
  간호결과 = 112
  간호중재 = 115
 9장 노인학대 = 119
  발생률 = 121
  관련요인/원인 = 122
  위험요인 = 123
   사회문화적 요인 = 123
   가족 요인 = 125
   돌봄제공자 요인 = 126
   개인적 요인 = 126
  간호사정 = 127
  간호진단 = 132
  간호결과 = 133
  간호중재 = 135
2부 영양-대사 양상 = 145
 10장 노화에 따른 변화 = 147
  노화와 관련된 변화 = 147
  영양 문제 = 148
  투약과 영양 상태 = 150
 11장 피부손상: 욕창 = 153
  유병률 = 153
  관련요인/원인 = 154
  간호사정 = 157
  간호진단 = 158
  간호결과 = 160
  간호중재 = 165
   괴사조직 제거와 청결 = 165
   상처 보습 = 166
   균주 통제 = 167
   필수 치유 요소 공급 = 167
   추가 손상 예방 = 168
 12장 피부손상: 피부건조 = 175
  유병률 = 175
  관련요인/원인 = 175
   위험요인 = 175
  간호사정 = 175
  간호진단 = 176
  간호결과 = 176
  간호중재 = 179
   비누 = 180
   목욕 빈도 = 180
   목욕 방법 = 180
   윤활제 = 181
   물의 온도 = 181
   습도 = 181
 13장 영양부족 = 185
  위험요인 = 185
   질환 = 186
   투약 = 186
   알코올 중독과 남용 = 186
   구강건강 문제 = 186
   기능 제한 = 186
   재정문제 = 187
  간호사정 = 188
   임상검사 = 189
   영양소 섭취 = 189
   치유, 면역 및 체력 측정 = 190
   신체계측 = 190
   임상검사치와 생화학적 측정 = 190
   영양사정 도구 = 191
  간호진단 = 191
  간호결과 = 194
  간호중재 = 194
   의뢰 = 194
   사회화 증진 = 194
   영양교육 = 195
   영양치료 = 195
 14장 연하장애 = 199
  관련요인/원인 = 201
  간호사정 = 202
  간호결과 = 204
  간호중재 = 208
   구강준비기 중재 = 208
   구강기 중재 = 209
   인두기 중재 = 210
   식도기 중재 = 212
 15장 구강점막 손상 = 215
  치아(치열, 경조직) = 215
  구강점막(연조직) = 215
  혀 = 216
  침샘 = 216
  구강 병변 = 216
  간호사정 = 217
  간호진단 = 219
  간호결과 = 220
  간호중재 = 220
 16장 체액부족 - 탈수: 등장성, 저장성 및 고장성 = 229
  체액구역 = 229
  간호사정 = 230
  간호진단 = 230
  간호결과 = 231
  간호중재 = 233
   탈수: 등장성 = 233
   탈수: 저장성(저나트륨혈증) = 240
   탈수: 고장성(고나트륨혈증) = 242
 17장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 251
  저체온증 = 252
  고체온증 = 252
  발열 = 253
  체온 불균형의 원인 및 관련 요인 = 254
   조절기전 = 254
   정상체온의 범위 = 254
   체온조절 반응 = 255
   온도변화 지각에 대한 행동 반응 = 255
  위험요인 = 255
  간호사정 = 257
  간호진단 = 259
   대체진단: 체온 불균형의 위험 = 259
  간호결과 = 262
  간호중재 = 263
   열 교환 조절 = 263
   수술중 열 교환 조절 = 264
   쾌적한 체온상태 유지 = 265
   안위 제공과 열 손상 방지 = 265
   체온조절 중추의 기능 향상 = 266
3부 배설양상 = 271
 18장 노화에 따른 변화 = 273
  비뇨기계 노화 = 273
  위장계 노화 = 274
  배설장애 관리 = 274
 19장 변비 = 277
  유병률 = 277
  위험요인 = 277
  간호사정 = 278
  간호진단 = 279
  간호결과 = 280
  간호중재 = 280
   식이 = 280
   신체활동과 운동 = 281
   배변습관의 형성과 훈련 = 281
   골반저 운동 = 282
   환자와 가족 교육 = 282
   기록 = 282
 20장 설사 = 285
  관련요인/원인 = 285
   급성 설사 = 285
   만성 설사 = 289
  간호사정 = 290
  간호진단 = 290
  간호결과 = 290
  간호중재 = 293
   위관영양 = 293
   교육 = 294
   기타 = 294
 21장 변실금 = 299
  유병률 = 301
  관련요인/원인 = 301
  위험요인 = 301
  간호사정 = 306
  간호진단 = 308
  간호결과 = 308
  간호중재 = 309
   배변훈련 = 311
   환경관리 = 312
 22장 요실금: 기능적, 의원성, 일류성, 반사성, 복압성, 전, 긴박성 = 317
  유병률 = 317
  간호진단 = 318
  관련요인/원인 = 318
  위험요인 = 319
  간호사정 = 319
   긴박성 요실금 = 325
   반사성 요실금 = 330
   복압성 요실금 = 330
   혼합성 요실금 = 331
   일류성 요실금 = 331
   전 요실금 = 332
   기능적 요실금 = 332
   의원성 요실금 = 334
  간호결과 = 336
  간호중재 = 338
   골반저 운동 = 339
   방광훈련과 습관훈련 = 340
   보조중재로서의 수분섭취 증가 = 342
   간헐적 도뇨 = 342
   기타 = 343
4부 활동-운동 양상 = 351
 23장 노화에 따른 변화 = 353
  심혈관계 = 353
  호흡계 = 353
  중추신경계 = 354
  근골격계 = 355
 24장 심박출량 감소 = 357
  관련요인/원인 = 359
   심박동수 변화 = 359
   심박동량 변화 = 359
  간호사정 = 362
  간호진단 = 362
  간호결과 = 368
  간호중재 = 369
 25장 조직관류 변화 = 373
  관련요인/원인 = 373
   동맥혈류 장애 = 373
   정맥혈류 장애 = 379
   가스교환 문제 = 379
   혈량감소증 = 379
   혈량증가증 = 380
  간호사정 = 380
  간호진단 = 381
  간호결과 = 381
  간호중재 = 383
   감시 = 384
   관리 = 384
 26장 비효율적 호흡양상 = 389
  관련요인/원인 = 389
   노화에 의한 생리적 변화 = 389
   노화에 의한 폐의 병태생리 = 391
  간호사정 = 393
  간호진단 = 393
  간호결과 = 394
  간호중재 = 397
   교육 = 397
   호흡운동 = 397
   운동 = 398
   투약 = 398
   에너지 보존 = 399
 27장 활동지속성장애 = 403
  관련요인/원인 = 403
  간호사정 = 404
  간호진단 = 406
   진단근거 = 406
  간호결과 = 408
  간호중재 = 409
   운동과 노인에 관한 연구 = 410
   운동 원리와 지침 = 410
   간호중재분류(NIC) 적용 = 412
 28장 운동장애 = 417
  낙상 = 417
  생리적 영향 = 417
  심리적 영향 = 423
  사회경제적 영향 = 424
  유병률 = 424
  관련요인/원인 = 425
   활동지속성장애 = 425
   통증 = 426
   인지 및 지각결손 = 426
   신경근육 장애 = 426
   근골격계 질병 = 426
   심리적 장애 = 426
   의원성 요인 = 427
   사회문화적 물리적 환경에 의한 장애물 = 427
   지식부족 = 427
  간호사정 = 427
  간호진단 = 428
  간호결과 = 432
  간호중재 = 435
   운동처방 = 438
   체력단련과 지구력 운동 = 440
   유연성 운동 = 441
   근력을 위한 등척성 운동과 저항운동 = 446
 29장 자가간호 결핍 = 453
  간호사정 = 454
  간호진단 = 457
   목욕, 위생 자가간호 결핍의 타당도 확인 = 460
   기타 자가간호의 개념화 = 461
  간호결과 = 462
  간호중재 = 465
   간호중재분류 = 466
   기타 전략 = 466
   인구집단에 독특한 중재 = 466
 30장 여가활동 부족 = 475
  관련요인/원인 = 476
  간호사정 = 476
  간호진단 = 478
  간호결과 = 480
   기타 결과 = 481
   결과에 대처하기 위한 목표 설정 = 482
  간호중재 = 482
   기타 중재 = 485
   치매환자에 대한 특별한 적용 = 485
5부 수면-휴식 양상 = 491
 31장 노화에 따른 변화 = 493
  수면주기 = 493
  노인의 수면 = 494
 32장 수면장애 = 497
  관련요인/원인 = 497
   내적 요인 = 498
   외적 요인 = 499
 간호사정 = 500
  주관적 측정 = 500
  객관적 측정 = 501
 간호진단 = 502
 간호결과 = 502
 간호중재 = 504
  중재 연구 = 504
  진단-중재-결과의 연계 = 506
[volume. vol.하]----------
목차
6부 인지-지각 양상 = 513
 33장 노화에 따른 변화 = 515
  인지 = 515
  감각-지각 변화 = 516
 34장 만성 혼동 = 521
  관련요인/원인 = 521
  간호사정 = 524
   재가노인 사정 = 526
  만성 혼동 = 528
   알츠하이머 관련 장애 = 528
  간호결과 = 531
  간호중재 = 535
   치매 관리 = 535
   가족포함 중재 = 538
   특별한 문제 = 538
 35장 급성 혼동 = 547
  유병률 = 547
  관련요인/원인 = 548
  위험요인 = 548
  간호사정 = 548
   사정 도구 = 551
  간호진단 = 553
  간호결과 = 553
   지각능력 = 554
   기억력 = 555
   사고력 = 556
   결과 평정 척도 = 557
  간호중재 = 557
 36장 통증 = 563
  유병률 = 563
  관련요인/원인 = 564
   생물학적 요인 = 564
   화학적 요인 = 565
   신체 요인 = 565
   심리적 요인 = 566
  간호사정 = 566
   간호사정의 복잡성 = 567
   노인의 통증 측정 = 568
   통증 관련 측정 = 570
  간호진단 = 571
  간호결과 = 574
   주관적 평가 = 574
   객관적 평가 = 574
  간호중재 = 575
   약물요법 = 576
   비약물요법 = 580
   인지행동 중재 = 581
 37장 감각-지각 변화 = 589
  유병률 = 589
  관련요인/원인 = 590
  간호사정 = 591
   시각 = 591
   청각 = 592
   운동감각 = 593
   미각과 후각 = 595
   촉각 = 596
  간호진단 = 597
  간호결과 = 597
  간호중재 = 599
   환경관리 = 599
   상담 = 600
 38장 편측성 지각장애 = 609
  관련요인/원인 = 611
  간호사정 = 611
   결손 정도의 분류 = 611
  간호진단 = 611
  간호결과 = 613
  간호중재 = 616
   일반적 중재 = 616
   부주의에 대한 구체적 중재 = 618
   부정에 대한 중재 = 619
   관련 결손을 위한 중재 = 619
 39장 지식부족 = 623
  관련요인/원인 = 623
  간호사정 = 624
  간호진단 = 626
  간호결과 = 626
  간호중재 = 627
   교육과 학습의 원리 = 627
   노인의 학습을 위한 간호중재 = 629
   노인학습 향상 전략 = 633
   노인교육을 위한 문서자료의 선정과 준비 = 633
   지식부족에 대한 기타 중재 = 634
7부 자아지각-자아개념 양상 = 639
 40장 노화에 따른 변화 = 641
  자아개념 = 641
  자존감 = 642
 41장 우울 = 645
  관련요인/원인 = 645
   심리이론 = 645
   생물학적 이론 = 646
  간호사정 = 647
   사정도구 = 648
  간호진단 = 649
   진단근거 = 649
   노인 우울 특성 = 652
   DSM Ⅳ의 진단 기준 = 654
  간호결과 = 658
  간호중재 = 660
   자살 예방 = 660
   교육: 처방된 투약 = 661
   교육: 질병과정 = 662
   정서적 지지 = 662
   상담 = 663
   행동치료 = 664
   인지치료 = 664
   대인관계치료 = 664
   간이 역동치료 = 665
   지지치료 = 665
   노인 집단활동의 초점 = 665
   환경치료 = 665
   약물 중재 = 666
   전기치료(ECT) = 669
 42장 신체상 장애 = 673
  신체상: 발달과정 = 673
   신체 스키마 = 674
   신체 자아 = 674
   신체 환상 = 675
   신체 개념 = 675
  유병률 = 676
  관련요인/원인 = 677
  간호사정 = 680
   면담과 관찰 = 680
   사정도구 = 680
  간호진단 = 682
  간호결과 = 684
  간호중재 = 687
   신체상 증진 = 688
   슬픔과정의 촉진 = 688
   인지 재구성 = 689
   교육: 질병과정 = 689
   운동 치료와 건강증진 = 690
 43장 무력감 = 697
  관련요인/원인 = 698
  관련요인/위험요인 = 699
   지각된 통제감 = 699
   슬픔과 상실 = 700
   장애 = 700
  간호진단 = 700
  간호결과 = 702
  간호중재 = 702
 44장 불안과 두려움 = 709
  불안 = 709
   유병률 = 709
   관련요인/원인 = 712
   간호사정 = 712
   간호진단 = 715
   간호결과 = 717
   간호중재 = 717
  두려움 = 723
   관련요인/원인 = 724
   간호사정 = 726
   간호진단 = 727
   간호결과 = 727
   간호중재 = 727
 45장 자긍심 저하 = 737
  관련요인/원인 = 738
  위험요인 = 739
  간호사정 = 740
   사정도구 = 740
  간호진단 = 742
  간호결과 = 743
  간호중재 = 743
 46장 절망강 = 749
  간호사정 = 749
   절망감 측정 = 751
   희망 측정 = 752
   우울 측정 = 752
   자살 의도/행위 측정 = 752
  간호진단 = 752
   절망감과 희망의 관계 = 755
   절망감 단계 = 755
   절망감 속성 = 755
  간호결과 = 757
  간호중재 = 757
   경험적 과정 = 757
   초월적 또는 영적 과정 = 758
   합리적 또는 비합리적 사고 과정 = 758
8부 역할관계 양상 = 763
 47장 노화에 따른 변화 = 765
  역할 변화 = 765
  역할 적응 = 767
 48장 환경변화 부적응 증후군 = 771
  간호진단 = 771
   위험요인 = 771
  간호사정 = 772
   우울과 불안 = 772
   정신상태, 삶의 만족, 사회적지지 감소 = 773
   질병 이환 = 773
   사정도구 = 773
  간호결과 = 775
   삶의 만족 지표 = 776
   Herth 희망 지표 = 776
   Rosenberg 자존감 척도 = 777
  간호중재 = 777
   환경변화를 위한 준비 = 777
   환경변화에 대한 노인의 통제력 증진 = 779
   이용가능한 기타 중재 = 780
 49장 슬픔반응 장애 = 787
  관련요인/원인 = 789
   지지체계 = 789
   상실의 과거력 = 790
   정서적 성숙도 = 790
   상실의 심각성 = 790
  간호사정 = 790
  간호진단 = 793
  간호결과 = 794
  간호중재 = 797
   ENUF = 798
  미래의 전망 = 806
 50장 사회적 고립 = 813
  개념 틀 = 813
  간호사정 = 816
  간호진단 = 817
   진단근거 = 818
  간호결과 = 819
  간호중재 = 821
 51장 의사소통 장애 = 829
  관련요인/원인 = 830
   눌변 실어증 = 831
   답변 실어증 = 834
   전도성 실어증 = 834
   전 실어증 = 835
   건망성 실어증 = 835
   대뇌피질연결성 실어증 = 835
   실행증 = 835
   구음장애 = 835
   우반구 결손 = 836
   알츠하이머병 = 837
  간호사정 = 837
  간호진단 = 840
  간호결과 = 840
  간호중재 = 840
 52장 돌봄제공자 역할부담감 = 847
  관련요인/원인 = 847
   돌봄 역할 기대 = 847
   상충되는 역할 요구 = 848
   시간적 요구 = 849
   재정적 요구 = 849
   간호를 위한 지원 = 849
   돌봄제공자 특성 = 850
   돌봄수혜자 특성 = 851
   가족관계 = 852
   생활설비 = 852
  간호사정 = 852
  간호진단 = 853
  간호결과 = 856
  간호중재 = 857
  자원 동원과 이용 및 지지체계의 강화 = 857
 53장 폭력 위험성: 자신 혹은 타인 = 869
  위험요인 = 869
   타인에 대한 폭력 = 869
   자신에 대한 폭력 = 870
  간호사정 = 872
   사정 도구의 선택 = 873
  간호진단 = 874
  간호결과 = 874
  간호중재 = 875
 54장 자기 결정권 = 883
  사망 유언 선택 = 885
  건강관리 위임권 = 885
  의사 결정 대리인 = 886
  간호진단 = 886
   사례 1 = 887
   사례 2 = 889
   사례 3 = 891
   사례 4 = 893
 55장 가족기능 장애 = 899
  간호사정 = 900
   가족 사정 도구 = 901
  간호진단 = 901
  간호결과 = 903
  간호중재 = 905
   가족지지 = 905
   기술훈련 = 905
   가족 단결력과 응집력 증진 = 906
9부 성-생식 양상 = 909
 56장 정상 노화 = 911
  노인과 성 파트너 = 911
  노인의 성 양상 = 912
  노인의 성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 = 913
 57장 성기능 장애 = 917
  간호진단 = 917
  관련요인/원인 = 917
   신체구조와 기능 변화: 질병 = 917
   신체구조와 기능 변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 923
   신체구조와 기능 변화: 투약 = 924
   지식부족 또는 왜곡된 정보: 질병 = 925
   지식부족 또는 왜곡된 정보: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 925
   지식부족 또는 왜곡된 정보: 투약 = 925
  간호결과 = 925
   지식: 질병과정, 치료절차, 치료요법 = 926
   지식: 투약 = 926
   증상조절 행위 = 926
   안전 행위: 개인 = 928
   건강추구행위: 처방이행 = 928
   돌봄제공자의 건강 = 929
   수용: 건강상태 = 929
  간호중재 = 930
   신체구조와 기능 변화에 의한 성기능 장애 = 930
   지식부족이나 왜곡된 정보에 의한 성기능 장애 = 932
 58장 성기능 양상 변화 = 937
  간호진단 = 937
  관련요인/원인 = 937
   신체 구조와 기능 변화 = 937
   지식과 기술 부족 및 왜곡된 정보 = 940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 손상 = 941
   중요한 사람의 부재로 인한 성기능 양상 변화 = 941
   프라이버시 보장 부족 = 941
   성 취향과 이질적 성적 성향 = 941
   가치관 갈등 = 941
   성병에 대한 두려움 = 941
  간호결과 = 942
   지식: 성기능 = 942
   노화에 따른 적응: 성기능 = 942
   의사소통: 성기능 = 942
   증상조절: 폐경 = 942
   지식: 투약(호르몬 대체요법, 에스트로겐 대체요법) = 944
   신체상: 성적 매력 = 944
   슬픔 완화: 성 파트너 = 944
   사회적 재구성: 성행위의 촉진 = 944
   갈등 해소: 이질적 성 취향과 가치관 = 945
   위험요인 조절: 성병 = 945
  간호중재 = 945
   신체 구조와 기능 변화 = 945
   지식과 기술 부족 및 왜곡된 정보 = 945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 손상 = 946
   중요한 사람의 상실 = 946
   프라이버시 보장 부족 = 947
   성 취향과 이질적 성적 성향에 대한 갈등 = 947
   가치관 갈등 = 947
   성병에 대한 두려움 = 948
10부 스트레스-대응 양상 = 951
 59장 정상 노화 = 953
  노인의 스트레스 = 953
  대응 기전 = 954
 60장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 = 957
  관련요인/원인 = 961
  위험요인 = 962
   건강과 에너지 = 962
   신과 통제에 대한 긍정적 신념 = 962
   규범과 사회적 지지 = 962
   사회적 기술과 문제해결 기술 = 962
   물질 자원 = 962
   개인적 제약 = 962
   환경적 제약 = 963
  간호사정 = 963
  간호진단 = 963
  간호결과 = 965
  간호중재 = 967
11부 가치신념 양상 = 971
 61장 노화에 따른 변화 = 973
  영성 = 973
  종교성 = 974
 62장 영적 고뇌 = 977
  관련요인/원인 = 978
  간호사정 = 978
  간호진단 = 979
  간호결과 = 981
  간호중재 = 985
   자신의 치료적 사용 = 986
   기도 = 986
   기억을 통한 치료 = 987
   회상요법 = 987
연구, 교육, 실무를 위한 전망 = 991
집필후기: 간호지식과 간호전문직의 발전 = 994
부록 A 웹사이트 소개 = 999
부록 B NANDA 회원신청서 = 1001
부록 C 간호결과분류 체계 검토 = 1003
 1. 간호결과분류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 = 1003
 2. 간호결과분류에 대한 피드백 = 1003
 3. 제안서 제출시 주의사항 = 1003
부록 D 개발 및 수정 간호중재안을 위한 지침 = 1004
부록 E 개인 정보 조사지 = 1007
찾아보기 = 10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