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6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wkins, Jeff Blakeslee, Sandra, 저 이한음, 1966-, 역
서명 / 저자사항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 제프 호킨스, 샌드라 블레이크슬리 지음; 이한음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멘토르,   2010  
형태사항
411 p. ; 23 cm
원표제
On intelligence
기타표제
How a new understanding of the brain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truly intellingent machines
ISBN
9788963050539
일반주기
감수: 류중희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1-[380])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Brain Intellect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s (Computer science)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02208
005 20220503111407
007 ta
008 100713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63050539 ▼g 03400
035 ▼a (KERIS)BIB000012022503
040 ▼a 211042 ▼c 211042 ▼d 211042 ▼d 211042 ▼d 211009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2.8/2 ▼2 22
085 ▼a 612.82 ▼2 DDCK
090 ▼a 612.82 ▼b 2010z5
100 1 ▼a Hawkins, Jeff
245 1 0 ▼a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 ▼d 제프 호킨스, ▼e 샌드라 블레이크슬리 지음; ▼e 이한음 옮김
246 0 3 ▼a How a new understanding of the brain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truly intellingent machines
246 1 9 ▼a On intelligence
260 ▼a 서울 : ▼b 멘토르, ▼c 2010
300 ▼a 411 p. ; ▼c 23 cm
500 ▼a 감수: 류중희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371-[380])과 색인수록
650 0 ▼a Brain
650 0 ▼a Intellect
650 0 ▼a Artificial intelligence
650 0 ▼a Neural networks (Computer science)
700 1 ▼a Blakeslee, Sandra, ▼e
700 1 ▼a 이한음, ▼d 1966-, ▼e▼0 AUTH(211009)3628
900 1 0 ▼a 호킨스, 제프, ▼e
900 1 0 ▼a 블레이크슬리, 샌드라,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21196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21196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512883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21196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21196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2.82 2010z5 등록번호 1512883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컴퓨터가 지적이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면서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강력한 이론을 제시하고, 그 이론을 토대로 삼아 어떻게 하면 지적 기계를 만들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인간의 지능을 모사하려는 기존의 시도들-인공 지능과 신경망-은 여태껏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호킨스는 그런 시도들이 지능이 무엇인지를 먼저 이해하려고 하지 않은 채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려고 한 오류를 저질렀다고 주장한다.

뇌는 입력을 받을 때마다 기계적으로 출력을 내놓는 컴퓨터가 아니다. 뇌는 사건들의 순서와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포개지고 관련되어 있는지를 기억하고, 그런 기억을 토대로 예측을 함으로써, 세계의 진정한 구조가 반영되도록 경험을 저장하는 기억 체계다. 지능, 지각, 창조성, 더 나아가 의식까지, 그런 것들의 토대를 이루는 것은 바로 이 기억-예측 체계다. 지능은 뇌가 과거를 유추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다.

이 책은 단순히 호기심에 책장을 들출 독자부터 과학자까지 사로잡을 매혹적인 문체로, 지능이 무엇이며,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면서, 이 지식으로 인간의 능력을 단순히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놀라운 방식으로 그것을 능가할 지적 기계를 실리콘 상에 구축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파한다. ‘인간 중심 컴퓨팅’을 연구한 KAIST 류중희 교수의 명쾌한 해설이 담긴 주석이 호킨스의 이야기를 더욱 흥미진진하게 읽어낼 수 있도록 했다.

‘진짜 지능’ vs ‘인공 지능’
- 인간의 뇌처럼 생각하는 컴퓨터는 가능한가?


이 책은 모바일 디바이스 분야의 구루(guru)로 알려진 제프 호킨스가 야심차게 준비한 역작이다. IT쪽에 종사하거나 전자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라면 팜파일럿(PalmPilot)과 그래피티(Graffiti) 등을 만들어낸 그의 눈부신 활약에 동경심마저 가졌을 것이다. 그런 그가 다른 분야도 아니고 ‘뇌(brain)’에 대해서 책을 썼다. 그것도 오랜 세월을 두고 작정하고 썼다.

뇌 이론가도 아니고 뇌신경과학자도 아닌 그가 왜 하필이면 ‘뇌’에 대한 책을 썼을까? 그것은 그의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평생의 욕구에서 출발했다. “뇌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지식을 신기술의 토대로 삼아 지적 기계를 만들겠다”는 그의 야심이 맺은 결실의 하나가 바로 이 책이다.
진짜 지능을 가진 기계를 만들기 위한 출발점으로, 뇌의 동작을 모델화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설명하는 그의 놀라운 지적 탐구는 저자의 오랜 세월 쌓아온 직관이 더해져 우리에게 새로운 세계, 놀라운 가능성을 가늠하게 해준다. “진짜 지성을 가진 기계를 만들 가능성”, 그것은 기계와 공존하고, 기계를 통해 확장될 우리의 새로운 미래에 대한 가능성이다.

뇌를 흉내 내는 컴퓨터? 우리의 뇌처럼 작동하는 지적 기계!

제프 호킨스는 이 책을 시작하면서 수많은 물음을 던진다. 뇌에는 있지만 컴퓨터에는 없는 지능이란 대체 무엇인가? 왜 여섯 살짜리 아이는 개울에 놓인 징검다리를 멋진 자세로 건널 수 있는데, 우리 시대의 첨단 로봇들은 좀비처럼 허우적대는 것일까? 우리는 어떤 사물이든 보자마자 인식할 수 있는데 컴퓨터들은 쉽게 해내지 못할까? 등등. 호킨스는 그 모든 엄청난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해답은 오로지 우리의 ‘뇌’에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몸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면 단지 뇌를 흉내 내는 컴퓨터가 아니라 우리의 뇌처럼 작동하는 지적인 컴퓨터가 과연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대답도 내올 수 있다는 것이다.

뇌는 입력을 받을 때마다 기계적으로 출력을 내놓는 컴퓨터가 아니다.

호킨스는 그간 인간의 지능을 모사하려는 기존의 시도들-인공 지능과 신경망-이 여태껏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은 지능이 무엇인지를 먼저 이해하려고 하지 않은 채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려고만 한 오류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컴퓨터는 수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만 정보의 속도가 빠른 것일 뿐, 우리의 뇌처럼 유추하거나 학습하거나 예측할 수 없다. 그는 그 예로, 개리 카스파로프와 컴퓨터와의 체스 게임을 든다. 비록 인간이 컴퓨터와의 대결에서 지기는 했지만 정작 컴퓨터는 체스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경우의 수를 빠른 속도로 계산하여 답을 내놓았을 뿐 인간이 체스 게임의 진면목을 즐기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이것이 컴퓨터와 우리의 지능의 차이점이라고 지적한다.

뇌의 대부분은 신경 조직으로 이루어진 얇은 막, 즉 신피질로 뒤덮여 있는데, 이 신피질에서 지각, 언어, 상상, 수학, 미술, 음악, 계획 등 우리가 지능이라고 생각하는 거의 모든 것들이 이루어진다. 이 신피질은 여섯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곳에서 공간과 시간적 패턴을 만들고 이 패턴들은 다시 감각 기관(시각, 촉각, 청각 등)으로 명령을 내려서 우리가 사물을 인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하게 된다. 패턴으로 피질에 기억된 정보들은 순서 저장, 자동 연상 회상, 불변 표상의 세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과거의 기억을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때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이다. 호킨스는 이 예측이 지능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즉, 뇌는 사건들의 순서와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포개지고 관련되어 있는지를 기억하고, 그런 기억을 토대로 예측을 함으로써, 세계의 진정한 구조가 반영되도록 경험을 저장하는 기억 체계다. 지능, 지각, 창조성, 더 나아가 의식까지, 그런 것들의 토대를 이루는 것은 바로 이 기억-예측 체계다. 그리고 지능은 뇌가 과거를 유추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말한다. 그러므로 그는 뇌의 작동 원리대로 기억-예측 체계를 갖춘다면 ‘지적 기계’는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지적 기계’는 과연 가능한가?
우리의 뇌가 많은 양을 기억하듯 ‘지적 기계’도 많은 기억이 필요하지만 실리콘 메모리칩이 지적 기계를 만들 만큼의 용량을 갖추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호킨스는 내다보고 있다. 또한 연결성 등 몇 가지 기술적 난제들이 있지만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예측한다. 그러면서 그는 왜 우리가 굳이 지적 기계를 만들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매우 낙관적인 대답을 하고 있다. 굳이 우리가 인간과 같은 기계를 만들 욕심만 갖지 않는다면 인간이 접근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탐사 및 작업을 가능하도록 해줄 것이며, 인간의 감각을 더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애를 겪는 이들의 친구가 돼주기도 하고, 우리의 미래를 더 편리하도록 하는 데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호킨스가 다루는 질문들

컴퓨터는 지적일 수 있을까?

뇌와 컴퓨터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신경망이 지적 기계로 이어질 것이라고 하지 않나?
뇌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신경망을 구축한다면 그저 그런 컴퓨터에 불과할 것이다.

뇌가 어떻게 활동하는지를 이해하기가 왜 그렇게 어려운가?
뇌가 대단히 복잡한 것은 사실이지만, 몇몇 직관적이지만 부정확한 가정들이 우리를 잘못 인도했기 때문이다.

행동이 지능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면, 무엇으로 지능을 정의할 수 있는가?
뇌는 기억을 토대로 구축한 세계의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 사건들을 계속해서 예측한다. 지능의 핵심은 미래 예측 능력이다. 이것이 이 책의 핵심 개념이기도 하다.

뇌는 어떻게 활동하는가?
지능은 신피질에 자리하고 있으며, 수많은 능력과 대단한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이 신피질의 계층 구조를 이해하면 신피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이론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뇌 이론은 우리가 어떻게 창조성을 지니고, 어떻게 자의식을 느끼고, 왜 편견을 드러내며, 어떻게 학습하고, 왜 늙으면 새 지식을 배우기가 어려운지 같은 많은 것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야기하듯 풀어낸 ‘뇌’와 ‘지적 기계’에 대한 매혹적인 고찰
호킨스는 이 책에서 어렵게만 느껴질 주제인 ‘뇌’와 ‘지적 기계’에 대해서 절대로 폼잡고 어려운 용어를 써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가 실리콘 밸리를 떠나 뇌의 생리학과 해부학을 공부하기 위해 떠난 이야기, 컴퓨터 공학자들의 인공 지능 연구가 왜 잘못된 접근인지에 대한 지적, 뇌의 활동을 이쪽 분야에 문외한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낸 자세한 설명 등은 이 책이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까지도 끌어당기는 힘이다.
우리 인체의 작은 부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많은 일을 해내는 뇌의 활동을 쉽게 설명해내서 호킨스가 프롤로그에서 던졌던 질문들, 왜 우리는 사물을 쉽게 인식하고, 기억해내고, 예측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당연하지만 과학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단지 ‘인공 지능’에 대한 책이 아니다. 우리의 뇌를 이해하고 인간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줄 지적 기계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책이다.

‘인간 중심 컴퓨팅’을 연구한 KAIST 류중희 교수의 명쾌한 해설이 담긴 주석

(주)올라웍스의 창업자이자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류중희 교수는 제프 호킨스를 존경한다고 말한다. 호킨스만큼 모바일 디바이스 분야에서 눈에 띄는 활약을 한 사람도 드물고 그의 연구 개발 과정(최적의 PDA 폼팩터를 찾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나뭇조각을 직접 가지고 다녔다는 이야기나 전화 테스트로 알려진 일화 등)이 젊은 공학도에게 단순한 깨달음 이상의 충격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 류중희 교수가 이 책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의 해설 및 주석 다는 일을 기꺼이 맡아주었다. 단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려운 이야기를 해설하는 차원이 아니라 최근 인공 지능 분야의 연구 경향까지 곁들여 호킨스의 이야기를 더욱 흥미진진하게 읽어낼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은 꽤나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지능을 기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가?”
인공 지능이란 단어가 일상적으로 쓰이는 21세기에 일견 우매한 질문으로도 보이는 이 질문들은, 우리가 아는 인공 지능이 ‘진짜 지능’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비로소 매혹적인 모습으로 다가온다. (…) 지금의 기계들은 그저 지능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기계들이고, 그 기계들이 진짜 지능을 가지게 되었을 때 우리가 기계를 쓰는, 아니, 우리와 기계가 공생하는 방식은 매우 달라질 것이다. 기계는 우리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우리가 인지하는 세계를 같이 이해할 것이고, 거기에 대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정보들을 미리 찾아서 우리가 최적의 판단과 실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샌드라 블레이크슬리(지은이)

오랫동안(뉴욕 타임스)에 과학 기사를 정기적으로 기고한 뇌과학 전문 저널리스트이다. 뇌과학의 어려운 내용을 재미있고 쉽게 풀어니면서 과학 저널리즘을 선도하고 있다.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V.S 라마찬드란과 공저),『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제프 호킨스와 공저) 등 공동으로 집필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현재 뉴멕시코 주 산타페에 살고 있다.

제프 호킨스(지은이)

신경과학자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호킨스는 신경과학 연구 기업인 누멘타 Numenta 와 레드우드신경과학연구소 Redwood NeuroscienceInstitute의 창립자이다. 핸드헬드 컴퓨팅 분야를 개척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미국 공학학술원 회원이다. 제프 호킨스는 지능은 무엇이고, 뇌는 지능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질문하고 답을 찾는 데에 ‘천 개의 뇌’ 이론을 제안한다. 오늘날의 AI는 왜 지능이 없는지, 이 상황을 바꿀 방법은 무엇인지, 기계 지능과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지 설명하고 근거를 제시한다. 도발적이고 혁신적이기에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의 서문에서 제프 호킨스를 “다윈과 닮은” 과학자로 묘사한다. 국내에 출간된 저서로는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가 있다.

이한음(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했고, 깊이 있는 과학 지식과 인문적 사유가 조화된 번역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 전문 번역가로 인정받고 있다. 리처드 도킨스,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포티, 제임스 왓슨 등 저명한 과학자의 대표작이 그의 손을 거쳤다. 과학의 현재적 흐름을 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과학 전문 저술가로도 활동 중이며, 청소년 문학을 쓰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바스커빌가의 개와 추리 좀 하는 친구들』, 『생명의 마법사 유전자』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마법의 비행』, 『지구의 짧은 역사』, 『생명이란 무엇인가』, 『노화의 종말』, 『바디: 우리 몸 안내서』, 『지구의 정복자』, 『인간 본성에 대하여』 등이 있다.

류중희(감수)

서울과학고등학교를 나와 KAIST 전자전산학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라이프 로그, 증강 현실 (AR; Augmented Reality)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는 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해 왔으며, 2000년 (주)아이콘랩의 전신인 (주)우주커넥션스를 창업하여 CTO(최고기술경영자)로 일하면서 국내 모바일 2차원 바코드의 시장 표준인 ‘인터코드’를 개발하였다. 이후 2006년에는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창조하기 위해 (주)올라웍스를 창업하고 2009년까지 대표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동 사에서 CSO(최고전략경영자)로 일하며, 모바일 영상 검색 서비스 ‘스캔서치Scansearch’ 사업부를 이끌고 있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과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겸직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감수자 서문 = 5
프롤로그 = 17
1장 인공 지능 = 29
2장 신경망 = 51
3장 사람의 뇌 = 77
4장 기억 = 113
5장 지능의 새로운 기본 틀 = 143
6장 피질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173
 불변 표상 = 177
 감각들의 통합 = 188
 V1에 관한 새로운 견해 = 193
 세계 모형 = 200
 서열들의 서열 = 205
 피질의 영역은 어떻게 생겼는가? = 217
 피질의 영역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 세부 사항들 = 229
 상향 흐름과 하향 흐름 = 246
 되먹임이 정말 그런 일을 하는가? = 250
 피질은 어떻게 학습을 할까? = 253
 해마 : 최고의 지위 = 259
 계층 구조를 올라가는 대체 경로 = 264
 이 장의 끝을 맺으며 드는 생각들 = 267
7장 의식과 창조성 = 271
 동물은 지적일까? = 272
 인간의 지능은 무엇이 다른가? = 275
 창조성이란 무엇인가? = 279
 남보다 더 창조적인 사람들이 있지 않은가? = 286
 창조성도 갈고닦을 수 있는가? = 288 
 창조성이 나를 타락시킬 수 있을까? - 내 자신을 속일 수 있을까? = 292
 의식이란 무엇인가? = 294
 상상이란 무엇인가? = 305
 현실이란 무엇인가? = 307
8장 지능의 미래 = 311
 지적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 = 314
 지적 기계를 굳이 만들어야 하는가? = 322
 왜 지적 기계를 만드는가? = 328
  속도 = 337
  용량 = 338
  복제 가능성 = 341
  감각 체계 = 343
에필로그 = 353
부록 : 검증 가능한 예측들 = 357
참고 문헌 = 371
감사의 말 = 381
감수자 후기 = 384
옮긴이의 말 = 399
찾아보기 = 403

관련분야 신착자료

Barrett, Kim 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