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新)국제법강의 : 이론과 사례

(新)국제법강의 : 이론과 사례 (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인섭 鄭印燮
서명 / 저자사항
(新)국제법강의 : 이론과 사례 / 정인섭.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2010.  
형태사항
xxii, 804 p. : 삽도 ; 25 cm.
ISBN
978896454508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602052
005 20220204111736
007 ta
008 100712s2010 ulka 001c kor
020 ▼a 9788964545089
035 ▼a (KERIS)BIB000011965842
040 ▼a 211004 ▼d 211009 ▼c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341 ▼2 22
090 ▼a 341 ▼b 2010z5
100 1 ▼a 정인섭 ▼g 鄭印燮 ▼0 AUTH(211009)139760
245 2 0 ▼a (新)국제법강의 : ▼b 이론과 사례 / ▼d 정인섭.
246 1 1 ▼a Lecures on international law
260 ▼a 서울 : ▼b 博英社, ▼c 2010.
300 ▼a xxii, 804 p. : ▼b 삽도 ; ▼c 25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1 2010z5 등록번호 111586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1 2010z5 등록번호 1115866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인섭(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1995-2020)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2004-2007) 대한국제법학회 회장(2009) 인권법학회 회장(2015. 3-2017. 3)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저서 및 편서] 재일교포의 법적지위(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국제법의 이해(홍문사, 1996) 한국판례국제법(홍문사, 1998 및 2005 개정판) 국제인권규약과 개인통보제도(사람생각, 2000) 재외동포법(사람생각, 2002) 고교평준화(사람생각, 2002)(공편저) 집회 및 시위의 자유(사람생각, 2003)(공편저) 이중국적(사람생각, 2004) 사회적 차별과 법의 지배(박영사, 2004) 국가인권위원회법 해설집(국가인권위원회, 2005)(공저) 재일변호사 김경득 추모집 ― 작은 거인에 대한 추억(경인문화사, 2007) 국제법 판례 100선(박영사, 2008 및 2016 개정4판)(공저) 증보 국제인권조약집(경인문화사, 2008) 신국제법강의(박영사, 2010 및 2023 제13판)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경인문화사, 2011)(공편) 생활 속의 국제법 읽기(일조각, 2012) 김복진: 기억의 복각(경인문화사, 2014 및 2020 증보판) 신국제법입문(박영사, 2014 및 2022 개정4판) 조약법강의(박영사, 2016) 한국법원에서의 국제법판례(박영사, 2018) 신국제법판례 120선(박영사, 2020) 국제법 시험 25년(박영사, 2020 및 2022 증보판) 국제법 학업 이력서(박영사, 2020) Korean Questions in the United Nations(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2) 외 [역서] 이승만, 미국의 영향을 받은 중립(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국제법의 의의와 역사
 Ⅰ. 국제법의 의의 = 2
  1. 국제법의 의의 = 2
  2. 국제법의 법적 성격 = 4
  3. 각국은 왜 국제법을 준수하는가 = 6
 Ⅱ. 근대 국제법의 역사 = 8
  1. 근대 국제사회의 성립과 국제법 = 9
  2. 근대 국제법학의 탄생 = 10
  3. 유럽 국제법의 범세계적 확산 = 12
  4. 현대 국제법의 전개 = 14
  5. 한국의 서양 국제법 계수 = 16
 Ⅲ. 한국에서 국제법의 중요성 = 19
제2장 국제법의 법원
 Ⅰ. 법원이란 = 22
 Ⅱ. 조약 = 24
 Ⅲ. 관습국제법 = 26
  1. 관습국제법의 성립요건 = 26
  2. 지역 관습법 = 39
  3. 관습국제법에 대한 반대국 = 41
  4. 관습국제법의 한계와 법전화 = 43
 Ⅳ. 법의 일반원칙 = 44
 Ⅴ. 학설과 판례 = 47
 Ⅵ. 일방적 행위 = 48
 Ⅶ. 국제기구의 결의 = 52
 Ⅷ. 연성법 = 57
 Ⅸ. 법원간의 위계 = 58
 Ⅹ. 법원 개념의 재검토 = 60
제3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Ⅰ. 의의 = 62
 Ⅱ. 양자관계에 관한 이론 = 63
  1. 일원론과 이원론 = 63
  2. 이론 대립의 분석 = 65
 Ⅲ. 국제법 질서 속에서의 국내법 = 69
 Ⅳ. 국내법 질서 속에서의 국제법 = 73
  1. 영국 = 74
  2. 미국 = 79
  3. 네덜란드 등 = 85
  4. 한국 = 86
  5. 기타 국가의 관련 헌법조항 = 99
 Ⅴ. 국제법과 국내법 관계의 현대적 추세 = 100
제4장 국가의 종류와 권리의무
 Ⅰ. 국가 = 104
  1. 국가의 개념 = 104
  2. 국제법 주체 개념의 재검토 = 107
 Ⅱ. 특수한 형태의 국가 = 108
  1. 피보호국 = 108
  2. 국가연합 = 109
  3. 영세중립국 = 110
  4. 분단국 = 112
  5. 실패한 국가 = 113
 Ⅲ. 국가의 권리의무 = 114
  1. 주권 = 114
  2. 자위권 = 116
  3. 국내문제 불간섭 의무 = 116
제5장 승인제도
 Ⅰ. 승인제도의 의의 = 122
  1. 의의 = 122
  2. 이론적 대립 = 123
 Ⅱ. 승인의 방법 = 128
 Ⅲ. 승인의 취소 = 131
 Ⅳ. 국제기구와 승인 = 133
 Ⅴ. 정부승인의 최근 경향 = 137
 Ⅵ. 망명정부의 승인 = 140
 Ⅶ. 교전단체의 승인 = 141
 Ⅷ. 승인의 국내법상 효력 = 142
제6장 국가승계
 Ⅰ. 국가승계의 의의 = 146
 Ⅱ. 국가승계의 유형 = 147
 Ⅲ. 국가승계에 관한 법원 = 148
 Ⅳ. 조약의 승계 = 150
  1. 제2차 대전 이후의 경향 = 150
  2. 조약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 151
  3. 국경조약 및 국경제도의 승계 = 154
  4. 인권조약의 자동승계 여부 = 157
 Ⅴ. 재산과 부채의 승계 = 159
 Ⅵ. 국적 = 160
 Ⅶ. 최근의 주요 국가승계 사례 = 161
  1. 독일의 통일 = 161
  2. 소련방의 해체 = 162
  3. 기타 = 163
 Ⅷ. 한국과 국가승계 = 164
  1.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 164
  2. 통일 이후의 문제 = 170
제7장 국가의 관할권 행사
 Ⅰ. 관할권의 의의 = 174
 Ⅱ. 국내법원의 관할권 행사의 근거 = 178
  1. 속지주의 = 178
  2. 속인주의 = 179
  3. 보호주의 = 180
  4. 피해자 국적주의 = 183
  5. 보편주의 = 186
  6. 조약을 근거로 한 관할권의 행사와 제한 = 190
 Ⅲ. 가상공간에서의 관할권 행사 = 192
제8장 주권면제
 Ⅰ. 의의 = 196
 Ⅱ. 주권면제이론의 발전 = 197
  1. 절대적 주권면제론 = 197
  2. 제한적 주권면제론 = 200
 Ⅲ. 주권적 활동과 상업적 활동의 구분 = 202
  1. 행위의 목적 = 203
  2. 행위의 성격 = 203
  3. UN 면제협약 = 204
 Ⅳ. 주권면제의 향유주체 = 205
 Ⅴ. 주권면제의 배제 = 208
 Ⅵ. 강제집행으로부터의 면제 = 209
 Ⅶ. 국제법 위반행위와 주권면제 = 212
 Ⅷ. 국가행위이론과의 관계 = 216
제9장 조약법
 Ⅰ. 조약의 의의 = 220
 Ⅱ. 조약의 체결 = 226
  1. 전권위임장 = 226
  2. 조약의 채택 = 227
  3. 기속적 동의의 표시방법 = 227
 Ⅲ. 조약의 발효와 적용 = 229
  1. 발효 = 229
  2. 적용 = 231
  3. 조약과 제3국 = 232
  4. 조약의 등록 = 233
 Ⅳ. 조약의 유보 = 234
  1. 유보의 첨부 = 234
  2. 유보에 대한 수락과 이의 = 241
  3. 유보의 효과 = 243
  4. 허용 불가능한 유보 = 244
  5. 해석선언 = 247
  6. 인권조약에 대한 유보 = 249
 Ⅴ. 조약의 해석 = 253
  1. 해석의 의의 = 253
  2. 해석의 기본원칙 = 258
  3. 해석의 보충수단 = 263
  4. 평가 = 264
 Ⅵ. 조약의 무효 = 265
  1. 국내법 위반의 조약 = 266
  2. 대표권의 제한 = 267
  3. 착오 = 267
  4. 기만, 부정한 매수 = 269
  5. 강박 = 270
  6. 강행규범 위반 = 273
 Ⅶ. 조약의 종료 = 275
  1. 중대한 위반 = 275
  2. 후발적 이행불능 = 278
  3. 사정변경 = 279
  4. 조약의 탈퇴 및 폐기 = 282
  5. 무력분쟁의 발발 = 284
 Ⅷ. 비구속적 합의 = 285
제10장 국가책임
 Ⅰ. 의의 = 290
  1. 국가책임의 법적 성격 = 290
  2. 국가책임법의 발달 = 291
 Ⅱ.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 294
  1. 국가의 행위 = 294
  2. 국제의무의 위반 = 305
  3. 위법성 조각사유 = 307
  4. 고의ㆍ과실 또는 손해발생 = 315
 Ⅲ. 국가책임의 내용 = 315
  1. 일반원칙 = 315
  2. 배상의무의 내용 = 316
  3. 강행규범의 중대한 위반 = 320
 Ⅳ. 국가책임의 추궁 = 321
  1. 책임 추궁의 주체 = 321
  2. 대응조치 = 322
  3. 외교적 보호권의 행사 = 323
제11장 국가영역
 Ⅰ. 의의 = 346
 Ⅱ. 영토취득의 권원 = 347
  1. 선점과 시효 = 348
  2. 할양 = 362
  3. 첨부 = 363
  4. 정복 = 363
  5. 기타 = 366
  6. 현대적 평가 = 372
 Ⅲ. 국제법상의 특수지역 = 373
  1. 인류 공동의 유산 = 373
  2. 극지 = 374
 Ⅳ. 한국의 영토 = 375
  1. 헌법상의 영토조항 = 375
  2. 독도 = 377
  3. 간도 = 383
  4. 녹둔도 = 385
 Ⅴ. 동아시아의 영토분쟁 = 386
제12장 해양법
 Ⅰ. 의의 = 390
  1. 해양법의 의의 = 390
  2. 해양법의 발전 = 391
 Ⅱ. 기선 = 393
  1. 통상기선 = 393
  2. 직선기선 = 394
  3. 만 = 400
  4. 섬 = 401
  5. 항만시설, 간출지, 인공섬 = 402
 Ⅲ. 영해 = 404
  1. 영해의 개념 = 404
  2. 연안국의 권리의무 = 405
  3. 무해통항권 = 406
  4. 군함의 무해통항권 = 408
  5. 한국의 영해 = 409
  6. 서해 5도와 북방한계선 = 411
  7. 군사수역 = 415
 Ⅳ. 접속수역 = 416
 Ⅴ. 국제해협 = 417
  1. 통과통항 = 418
  2. 무해통항 = 421
  3. 제주해협에서의 통항 = 422
 Ⅵ. 군도수역 = 423
 Ⅶ. 배타적 경제수역 = 424
  1. 배타적 경제수역의 개념 = 424
  2. 배타적 경제수역의 법적 지위 = 425
  3. 경계획정 = 428
  4. 특수어종의 관리 = 429
  5. 한국의 관련문제 = 431
 Ⅷ. 대륙붕 = 442
  1. 대륙붕의 개념 = 442
  2. 대륙붕의 범위 = 443
  3. 대륙붕의 법적 지위 = 444
  4. 대륙붕의 경계획정 = 448
  5. 한반도 주변의 대륙붕 = 453
 Ⅸ. 공해 = 455
  1. 공해의 의의와 법적 지위 = 455
  2. 공해에서의 관할권 행사 = 456
  3. 공해어업의 규제 = 461
 Ⅹ. 심해저 = 462
  1. 심해저의 의의 = 462
  2. 법적 지위 = 463
  3. 해양법 협약상의 심해저 개발체제 = 464
  4. 1994년 이행협정의 체결 = 466
  5. 한국의 심해저 개발 참여 = 467
 ◆U216A◆. 해양법 협약상의 분쟁해결제도 = 468
  1. 분쟁해결제도의 구조 = 468
  2. 분쟁해결기관 = 470
제13장 국제환경법
 Ⅰ. 국제환경법의 의의 = 474
 Ⅱ. 국제환경법의 형성 = 475
 Ⅲ. 국제환경법의 기본 개념 = 479
  1. 월경 피해 방지의 원칙 = 479
  2. 국제협력의 원칙 = 481
  3. 지속가능한 발전 = 482
  4.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인 책임 = 484
  5. 사전주의의 원칙 = 484
  6. 오염자 부담의 원칙 = 486
  7. 환경영향평가 = 487
 Ⅳ. 분야별 환경의 국제적 보호 = 488
  1. 대기오염의 규제 = 488
  2. 해양오염의 규제 = 491
  3. 자연 생태계의 보전 = 494
  4. 유해 물질 이동의 규제 = 496
 Ⅴ. 환경보호와 통상규제 = 498
제14장 외교관계와 국제법
 Ⅰ. 국가의 대외기관 = 506
 Ⅱ. 외교사절의 파견 = 509
 Ⅲ. 외교사절의 직무 = 512
 Ⅳ. 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 = 513
  1. 법적 성격 = 513
  2. 공관의 불가침 = 513
  3. 서류와 문서, 통신의 불가침 = 522
  4. 신체의 불가침 = 523
  5. 사저, 개인서류, 개인재산의 불가침 = 525
  6. 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 = 525
  7. 과세 및 사회보장으로부터의 면제 = 526
  8. 특권과 면제의 인정범위 = 527
 Ⅴ. 영사제도 = 529
  1. 제도적 의의 = 529
  2. 종류와 파견 = 530
  3. 영사의 직무 = 531
  4. 특권과 면제 = 534
  5. 명예영사 = 537
제15장 국제기구와 UN
 Ⅰ. 국제기구의 의의 = 540
 Ⅱ. 국제기구의 법률문제 = 542
  1. 회원국 = 542
  2. 법인격과 권한 = 542
  3. 특권과 면제 = 546
  4. 국제기구의 책임 = 551
 Ⅲ. UN = 554
  1. UN의 설립 목적과 특징 = 554
  2. 회원국 = 555
  3. 총회 = 562
  4. 안전보장이사회 = 565
  5. 기타 주요 기관 = 570
  6. 한국과 UN = 571
제16장 국적과 외국인
 Ⅰ. 국적 = 580
  1. 국적의 의의 = 580
  2. 국적의 취득과 상실 = 582
  3. 이중국적 = 588
  4. 무국적 = 595
  5. 한국의 특수문제 = 596
 Ⅱ. 외국인의 법적 지위 = 602
  1. 외국인의 처우기준 = 602
  2.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 = 605
  3. 정주 외국인의 지위 = 607
  4. 외국인 재산의 보호 = 609
제17장 국제인권법
 Ⅰ. 국제인권법의 발전 = 614
 Ⅱ. 국제인권조약 = 616
  1. 세계인권선언 = 616
  2. 국제인권규약 = 618
  3. 인종차별철폐협약 = 620
  4. 여성차별철폐협약 = 621
  5. 고문방지협약 = 622
  6. 아동권리협약 = 623
  7. 이주노동자권리협약 = 624
  8. 장애인권리협약 = 624
  9. 제노사이드 협약 = 625
  10. 난민지위협약 = 626
 Ⅲ. 인권의 국제적 보호체제 = 627
  1. UN 헌장 체제 = 628
  2. 지역별 인권보호체제 = 634
  3. 국제인권조약을 통한 보호제도 = 635
  4.「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상의 개인통보제도 = 639
 Ⅳ. 국제인권법의 국내적 활용 = 657
제18장 국제형사법
 Ⅰ. 국제형사재판제도의 발전 = 660
 Ⅱ. 국제범죄 = 662
  1. 제노사이드 = 662
  2. 인도에 반하는 죄 = 668
  3. 전쟁범죄 = 672
  4. 침략범죄 = 677
  5. 기타 범죄 = 680
 Ⅲ. 국제형사재판소 = 682
  1. 구성 = 682
  2. 관할권 행사의 구조 = 683
  3. 관할권 행사상의 기본 원칙 = 685
제19장 범죄인인도 제도
 Ⅰ. 제도의 의의 = 690
 Ⅱ. 범죄인인도 제도의 기본 내용 = 692
  1. 인도의 대상, 조건, 절차 = 692
  2. 자국민의 인도 여부 = 697
  3. 정치범 불인도의 원칙 = 698
 Ⅲ. 범죄인인도에서의 인도주의 = 702
 Ⅳ. 다른 조약을 근거로 한 범죄인인도 = 706
 Ⅴ. 간이한 절차의 인도 = 707
제20장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Ⅰ. 국제분쟁의 의의 = 714
  1. 국제분쟁의 개념 = 714
  2. 분쟁 해결의 교섭 = 716
 Ⅱ. 국제분쟁의 비사법적 해결 = 717
  1. 주선과 중개 = 717
  2. 심사 = 717
  3. 조정 = 718
 Ⅲ. 국제분쟁의 사법적 해결 = 718
  1. 발전의 기원 = 718
  2. 상설중재재판소 = 719
  3. 중재재판 = 720
 Ⅳ. 국제사법재판소 = 721
  1. 상설 국제재판소의 출범 = 721
  2. 재판부 = 723
  3. 관할 = 725
  4. 재판의 준칙 = 731
  5. 재판절차 = 732
  6. 판결 = 739
  7. 권고적 의견 = 740
  8. 미결의 문제들 = 743
제21장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Ⅰ. 무력사용에 관한 국제법적 통제의 발전 = 748
 Ⅱ. UN 체제하에서의 무력사용 = 751
  1. 헌장의 무력사용 통제구조 = 751
  2. UN의 평화유지활동 = 759
  3. 자위권 = 762
  4. 기타의 무력사용 = 766
 Ⅲ. 핵무기에 대한 통제 = 771
  1. 핵확산 방지 노력 = 771
  2. 핵무기 사용의 합법성 = 776
 Ⅳ. 국제테러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 = 780
  1. 국제테러와 국제사회의 대응 = 780
  2. 비국가 행위자의 국제테러와 무력행사 = 783
 Ⅴ. 민간군사기업의 법적 지위 = 786
판례색인 = 789
사항색인 = 797

관련분야 신착자료

아시아국제법발전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