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45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01759 | |
005 | 20110726105306 | |
007 | ta | |
008 | 100619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4159065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2069941 | |
040 | ▼a 241047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1.07 ▼2 22 |
085 | ▼a 321.07 ▼2 DDCK | |
090 | ▼a 321.07 ▼b 2010z1 | |
100 | 1 | ▼a Mumford, Lewis, ▼d 1895-1990 ▼0 AUTH(211009)124132 |
245 | 1 0 | ▼a 유토피아 이야기 / ▼d 루이스 멈퍼드 지음 ; ▼e 박홍규 옮김 |
246 | 1 9 | ▼a (The) story of Utopias |
260 | ▼a 서울 : ▼b 텍스트, ▼c 2010 | |
300 | ▼a 334 p. : ▼b 삽화 ; ▼c 20 cm | |
440 | 0 0 | ▼a Lewis Mumford Series |
504 | ▼a 참고문헌(p. 308-31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Utopias |
700 | 1 | ▼a 박홍규, ▼e 역 ▼0 AUTH(211009)31649 |
900 | 1 0 | ▼a 멈퍼드, 루이스,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115870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1158700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2-26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211973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211973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512885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115870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1158700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2-26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211973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211973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1.07 2010z1 | 등록번호 1512885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 미국의 위대한 휴머니스트 루이스 멈퍼드(1895~1990)의 데뷔작이자 94년 평생의 지침서. 도시학자, 역사학자, 문예 비평가, 건축 비평가 등으로 활약하면서 현대인에게 진정한 유토피아의 비전을 제시했고 또한 자신의 삶 속에서 실천했던 멈퍼드의 총 28권 저작을 일관하는 주제가 문명의 비판과 현대 사회의 개혁이라면 이 책은 그런 멈퍼드의 사상을 집약한 책이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고 난 후인 1922년에 처음으로 출판된 이 책은 인류가 공통의 목표를 위해 이기적 쾌락을 거부하고 거대도시의 혼란을 지역주의 질서로 재건해 나아가야 한다는 멈퍼드의 시대를 향한 요청을 담고 있다.
유토피아 세계지도에서 길을 찾다
―서구 유토피아 사상의 전개와 전망
《유토피아 이야기》는 20세기 미국의 위대한 휴머니스트 루이스 멈퍼드(1895~1990)의 데뷔작이자 94년 평생의 지침서라 할 수 있다. 도시학자, 역사학자, 문예 비평가, 건축 비평가 등으로 활약하면서 현대인에게 진정한 유토피아의 비전을 제시했고 또한 자신의 삶 속에서 실천했던 멈퍼드의 총 28권 저작을 일관하는 주제가 문명의 비판과 현대 사회의 개혁이라면 이 책은 그런 멈퍼드의 사상을 집약한 책이기 때문이다. 멈퍼드가 27세의 젊은 나이에 쓴 이 책을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뒤에 초판의 내용 그대로 재간행을 승인한 것만 보아도 그런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유토피아란 인간이 처한 환경에 대한 반응이자, 주어진 현실을 인간적 형태로 바꾸려는 시도이며, 언젠가 구현될 미래에 대한 예견이다. 유토피아에는 도피 유토피아와 재건 유토피아가 있다. 멈퍼드는 서구 유토피아의 전통에서 두 가지 유형의 유토피아를 모두 다루되 플라톤에서 H.G.웰스에 이르는 도피 유토피아의 고전적인 예들을 설명하고, 재건 유토피아를 사회적 신화와 사회이론가들의 당파적 유토피아로 구분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고 난 후인 1922년에 처음으로 출판된 이 책은 인류가 공통의 목표를 위해 이기적 쾌락을 거부하고 거대도시의 혼란을 지역주의 질서로 재건해 나아가야 한다는 멈퍼드의 시대를 향한 요청을 담고 있다. 그에 따르면, 플라톤과 모어 등 대표적인 유토피안들은 한낱 몽상가나 이상주의자가 아니라 당대 현실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한 ‘현실주의자’들이자 ‘현실적 불만분자’들이었으며, 특히 이들은 대단히 구체적으로 대안적 유토피아의 지리적, 제도적 조건을 제시하면서도 전체 인간 사회의 조화를 으뜸으로 하는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의 소유자들이었다.
전후 재건의 의지와 희망에서 출발한 《유토피아 이야기》의 유토피아 과거 읽기와 미래 전망이 2010년을 사는 우리에게 유용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문명화와 함께 날로 심화되어 온 세분화와 전문화 그리고 편파성으로 인해 인간과 사회와 자연을 더 이상 통합적으로 볼 수 없게 되어 버린 현대인은 멈퍼드가 선별한 유토피안들의 전체론적 시각을 마땅히 되찾아야 할 것이다. 인간 생활을 ‘잡다한 우연사의 혼합’으로 보고 상호 관련되는 유기체적 전체로 보지 못한다면 진정 더 좋은 삶, 더 나은 사회를 위한 ‘현실의 이상적 비판’과 ‘미래의 현실적 구상’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으리라. 인류의 대다수에게 가혹했던 20세기 주류 문명의 극복과 또 그 대안으로서 21세기의 새로운 유토피아를 모색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토피아 이야기》의 필독을 권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루이스 멈포드(지은이)
1895년 뉴욕 퀸즈의 빈민가에서 미혼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2년 스토이베산트 기술학교를 졸업하고 뉴욕 시립 대학 야간학부에 진학했지만 폐결핵으로 학업을 마치지는 못했다. 1918년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라디오 전기공으로 일했다. 미국 건축과 도시문화 연구자로서의 권위를 인정받은《갈색 시대》의 출간 후《뉴요커》에 건축 및 도시 문제와 관련한 비평문을 기고하기 시작했으며 스탠퍼드와 MIT에서 등에서 강의했다.《역사 속의 도시》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고 대영제국 훈장, 미국 예술 훈장 등을 수훈했다. 루이스 멈퍼드는 특정 학문에 안주하기보다 철학, 역사, 도시계획, 심리학, 생물학, 사회학, 건축, 문예 비평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을 거침없이 펼쳐냈다. 1922년 데뷔작《유토피아 이야기》를 시작으로 기술, 기계, 도시, 문학 등 다양한 주제로 총 28권의 책을 썼으며 그중에서도 기술과 도시에 관한 연구를 평생의 과업으로 삼았다. 1934년에 출간한《기술과 문명》은 문명의 관점에서 기술의 역사를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기술한 책으로 멈퍼드는 이 책을 통해 거대 기술, 거대 도시를 비판하며 기술과 도시를 인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36년 뉴욕 근교의 시골 마을 어메니아로 들어간 멈퍼드는 1990년 눈감을 때까지 이곳의 농가에서 연구와 집필 활동에 매진했다. 가장 비인간적인 20세기에 더 인간적이고 유기적인 새로운 시대를 예비한 그는 ‘마지막 위대한 휴머니스트’라고 불렸으며, 그의 삶은 ‘앎과 삶이 완전히 일치하는 삶’이었다.
박홍규(옮긴이)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저술가이자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이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자유·자연·자치의 삶을 실천하고 있다.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오사카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하버드로스쿨, 노팅엄대학, 프랑크푸르트대학 등에서 연구했다. 1997년 『법은 무죄인가』로 백상출판문화상을 수상했고, 2015년 『독서독인』으로 한국출판평론상을 수상했다. 『밀레니얼을 위한 사회적 아나키스트 이야기』, 『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 『표트르 크로포트킨 평전』, 『내 친구 톨스토이』, 『불편한 인권』, 『인문학의 거짓말』, 『놈 촘스키』, 『아나키즘 이야기』 외 다수의 책을 집필했으며, 『오리엔탈리즘』, 『간디 자서전』, 『유한계급론』,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법과 권리를 위한 투쟁』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7 머리말 = 11 1장 왜 유토피아인가? = 25 2장 플라톤의《국가》 = 45 3장 토머스 모어의《유토피아》 = 75 4장 안드레의《기독교 도시》 = 97 5장 베이컨과 캄파넬라의 모방 유토피아 = 117 6장 푸리에, 오언, 버킹엄의 유토피아 = 125 7장 스펜스와 헤르츠카의 유토피아 = 145 8장 카베와 벨러미의 유토피아 = 161 9장 모리스, 허드슨, 그리고 웰스의 유토피아 = 181 10장 컨트리하우스와 코크타운 = 199 11장 당파적 유토피아 = 239 12장 에우토피아의 전망 = 267 참고 문헌 = 308 유토피아 관련 저작 = 311 옮긴이 해설 = 313 찾아보기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