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 ⅴ
Ⅰ. 부호화 체계
1장 부호화와 언어유형 = 3
1. 기능영역과 문법장치 = 3
2. 부호화와 번역 = 4
3. 부호화 차이를 보이는 의미(기능)영역 = 7
4. 맺음말 = 20
2장 부호화의 체계성: 유생성 부호화를 중심으로 = 21
1. 유생성이란 무엇인가? = 21
2. 유생성과 관련된 문법현상들 = 22
3. 유생성의 체계적 부호화: 영어 vs. 한국어 = 29
4. 유생성부호화의 유형론 = 42
5. 결론 = 56
Ⅱ. 번역의 실제
3장 영어무생물 주어구문의 번역 = 59
1. 서론 = 59
2. 이론적 배경 = 61
3. 유생성과 영한 번역 유형 = 65
4. 결론 = 78
4장 '이, 히, 리, 기'의 수동구문의 한영번역 = 80
1. 서론 = 80
2. 수동의 기능영역 = 82
3. 한영 수동의 부호화 영역 = 88
4. 결론 = 103
5장 '지다' 구문의 한영 번역 = 105
1. 서론 = 105
2. '지다' 구문의 기능 = 107
3. 번역구문의 유형 및 기능문법적 설명 = 111
4. 결론 = 124
6장 '되다' 구문의 한영번역 = 126
1. 서론 = 126
2. 이론적 배경 = 128
3. 영어 번역문의 유형과 기능문법적 설명 = 136
4. 결론 = 148
7장 '-게 되다' 구문의 한영 번역 = 150
1. 서론 = 150
2. 수동구문의 기능적 동기 = 152
3. '-게 되다' 구문과 영어 번역구문 = 155
4. 결론 = 171
8장 한국어 능동문의 영어 수동문으로의 번역 = 173
1. 서론 = 173
2. 이론적 배경 = 175
3. 한국어 원 문장의 유형별 분류 및 토의 = 180
4. 결론 = 184
참고문헌 = 197
용어 영한 대조 = 205
찾아보기 =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