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행정형태론의 의의 = 15
1. 개념 = 15
2. 중요성 = 16
3. 목적 = 18
4. 학문적 성격 = 19
제2절 행정형태론의 학문적 토대 = 21
1. 심리학 = 21
2. 사회학 = 22
3. 사회심리학 = 22
4. 문화인류학 = 22
5. 정치학 = 23
제3절 행정형태론은 어떻게 연구하는가? = 23
1. 과학적 연구의 요건 = 24
2. 연구의 절차 = 24
3. 연구설계의 방법 = 25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 25
제4절 인간행동의 본질과 형성요인 = 26
1. 인간행동의 본질 = 26
2. 인간행동의 형성요인 = 28
제2장 퍼스낼리티
제1절 퍼스낼리티란 무엇인가? = 31
1. 개념 = 31
2. 특징 = 33
제2절 퍼스낼리티의 형성요인 = 34
1. 유전적 요인 = 34
2. 환경적 요인 = 35
3. 상황적 요인 = 35
제3절 퍼스낼리티 이론 = 36
1. 정신역동이론 = 36
2. 특질-유형이론 = 38
제4절 퍼스낼리티와 행정행태 = 45
1. 통제의 위치(locus of control) = 46
2. 권위주의 = 47
3. Type A와 Type B = 50
4. 마키아벨리아니즘(Machiavellianism) = 52
5. 위험부담 = 52
6. 뉴로티시즘(Neuroticism) = 53
7. 외향성과 내향성 = 53
제3장 지각
제1절 지각이란 무엇인가? = 55
1. 개념 = 55
2. 중요성 = 56
제2절 지각의 영향요인 = 57
1. 내부적 요인 = 57
2. 외부적 요인 = 59
제3절 지각의 과정 = 62
1. 선택(selection) = 62
2. 조직화(organization) = 62
3. 해석(interpretation) = 63
제4절 사회적 지각 = 64
1. 개념 = 64
2. 사회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4
3. 사회적 지각의 과정 = 66
제5절 지각의 오류와 그 감소방안 = 70
1. 지각과정에서의 오류 = 70
2. 지각과정에서의 오류의 감소방안 = 74
제4장 학습
제1절 학습이란 무엇인가? = 75
1. 개념 = 75
2. 속성 = 76
제2절 학습이론 = 77
1. 행태적 학습이론 = 77
2. 인지적 학습이론 = 81
3. 사회학습이론 = 81
제3절 행동변화의 전략 = 54
1. 행동변화전략 = 84
2. 행동수정모델 = 91
제5장 동기부여이론
제1절 동기부여란 무엇인가? = 93
1. 동기의 의의 = 93
2. 동기부여의 의의 = 96
제2절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 98
1.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 99
2. Alderfer의 ERG이론 = 103
3. Herzberg의 2요인이론 = 105
4.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 109
제3절 과정이론 = 112
1. Vroom의 기대이론 = 113
2.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 = 115
3. 기대이론의 평가 = 118
4. Adams의 공정성이론 = 119
제6장 동기부여의 실제
제1절 화폐적 보상 = 124
1. 동기부여에서의 화폐의 성격 = 124
2. 화폐적 보상체제의 효과적 관리 = 125
3. 성과급과 동기유발 = 126
제2절 직무설계 = 127
1. 전통적 직무설계 = 127
2. 직무순환(job rotation) = 128
3. 직무확대(job enargement) = 129
4.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 = 129
5. 직무특성이론 = 132
제3절 목표설정 = 136
1. 목표설정의 개념 = 136
2. 목표설정의 이론 = 137
제4절 임파워먼트 = 142
1. 의의 = 142
2. 임파워먼트의 수준 = 143
제7장 집단행태이해의 기초
제1절 집단이란 무엇인가? = 145
1. 집단의 개념 = 145
2. 집단의 유형 = 146
제2절 집단의 형성과 발전 = 148
1. 집단의 형성 = 148
2. 집단의 발전 = 149
제3절 집단행태의 영향요인 = 150
1. 집단의 구조 = 150
2. 응집성 = 155
3. 규모 = 158
제8장 커뮤니케이션
제1절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 160
1. 개념 = 160
2. 중요성 = 161
3. 기능 = 162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 164
1. 발신자 = 165
2. 메시지의 전달 = 165
3. 수신자 = 166
4. 변화 = 166
5. 피드백 = 166
6. 잡음 = 167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67
1.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67
2.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 168
제4절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 172
1.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형태 = 172
2.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형태와 행정행태 = 173
제5절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75
1.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 175
2. 커뮤니케이션의 개선방안 = 180
제9장 의사결정
제1절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 186
1. 개념 = 186
2. 의사결정의 과정 = 187
3. 의사결정과 합리성 = 188
제2절 의사결정의 유형 = 189
1. 가치결정과 사실결정 = 190
2. 정형적 결정과 비정형적 결정 = 190
3. 개인적 결정과 집단적 결정 = 191
제3절 의사결정의 모형 = 192
1, 합리모형 = 192
2. 제한된 합리성모형 = 193
3. 관리과학 모형 = 194
4. 카네기 모형 = 195
5. 점증모형 = 197
6. 혼합관조모형 = 197
7. 최적모형 = 198
8. 쓰레기통모형 = 198
9. 공공선택이론 = 201
제4절 집단의사결정 = 202
1. 집단의사결정의 의의 = 202
2. 집단의사결정의 장점과 단점 = 203
3. 집단의사결정의 기법 = 206
제10장 조직의 권력와 정치
제1절 권력이란 무엇인가? = 212
1. 개념 = 212
2. 유사개념 = 213
제2절 권력의 원천 = 214
1. 개인의 권력원천 = 214
2. 집단의 권력원천 = 216
제3절 조직에서의 정치적 행동 = 219
1. 의의 = 219
2. 권력의 획득 및 유지를 위한 전략 = 221
3. 정치적 행동의 관리방안 = 222
제11장 갈등관리
제1절 의의 = 224
1. 갈등의 개념 = 224
2. 갈등에 대한 관점의 변천 = 225
3. 갈등의 기능 = 227
4. 갈등의 수준과 조직효과성 = 229
제2절 갈등의 유형 = 230
1. 개인적 갈등 = 231
2. 개인 간의 갈등 = 234
3. 집단 간의 갈등 = 236
4. 조직간 갈등 = 237
제3절 갈등의 원인 = 237
1. 갈등의 원인 = 237
2. 갈등의 결과 = 242
제4절 갈등의 관리 = 243
1. 갈등의 예방 = 244
2. 갈등의 해결 = 245
3. 갈등의 조장 = 251
제12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254
1. 개념 = 254
2. 리더십의 기능 = 256
제2절 리더십의 이론 = 259
1. 특성이론 = 259
2. 행태이론 = 263
3. 상황이론 = 272
4.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리더십이론 = 283
제13장 조직문화
제1절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 292
1. 조직문화의 개념 = 292
2. 관심의 대두 배경 = 294
3. 조직문화의 중요성 = 295
4. 조직문화의 기능 = 296
제2절 조직문화의 접근방법 = 298
1. 비교관리학적 접근방법 = 298
2. 기업문화적 접근방법 = 298
3. 인지적 접근방법 = 299
4. 상징적 접근방법 = 299
5. 구조ㆍ심리역동적 접근방법 = 299
제3절 조직문화의 형성요인과 구성요소 = 300
1. 조직문화의 형성요인 = 300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302
제4절 조직문화의 유형 = 308
1. Robbins의 유형 = 308
2. Quinn의 유형 = 308
3. Kimberly&Quinn의 유형 = 310
4. Deal&Kennedy의 유형 = 311
5. Daft의 유형 = 314
제5절 조직문화의 전승과 개발 = 316
1. 전승 = 316
2. 변화와 개발 = 318
제14장 조직발전
제1절 조직발전이란 무엇인가? = 321
1. 조직변화와 조직발전 = 321
2. 조직발전의 개념 = 325
3. 조직발전의 대두와 전개 = 328
4. 조직발전의 특징 = 329
제2절 조직발전의 목표와 기본가정 = 331
1. 목표 = 321
2. 기본가정 = 333
제3절 조직발전의 과정 = 334
1. 진단 = 335
2. 실행계획수립 = 335
3. 실행 = 336
4. 평가 및 환류 = 336
제4절 조직발전의 기법 = 336
1. 감수성 훈련 = 336
2. 서베이 피드백 = 339
3. 팀 구축법 = 341
4. 과정상담 = 343
5. 관리그리드 훈련 = 345
참고문헌 = 348
찾아보기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