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8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599368 | |
005 | 20110916145302 | |
007 | ta | |
008 | 100324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4060575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1980982 | |
040 | ▼a 247017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659.1 ▼2 22 |
085 | ▼a 659.1 ▼2 DDCK | |
090 | ▼a 659.1 ▼b 2010z3 | |
100 | 1 | ▼a 백선기 ▼0 AUTH(211009)136334 |
245 | 1 0 | ▼a 광고 기호학 / ▼d 백선기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 |
300 | ▼a xiii, 336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1369 |
500 | ▼a 광고와 에로티시즘, 계급, 물신성, 신화, 지역성 그리고 이데올로기 | |
504 | ▼a 참고문헌(p. 321-330)과 색인수록 | |
949 | ▼a CB ; ▼v 1369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3 | 등록번호 1116414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10z3 | 등록번호 151287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 2010z3 | 등록번호 1116414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659.1 2010z3 | 등록번호 1512874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백선기(지은이)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전공은 언론보도, 대중문화, 문화연구, 담론연구, 기호학이며, 많은 문화현상을 기호학의 개념과 방법들로 분석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광고 기호학」(2010),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보도의 기호학」(199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보도, 영화, 광고, 미디어 현상들에 기호학을 적용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즐거움을 맛보자는 의도로 제작된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시리즈를 출간했으며, 「미디어 기호학」(2015)과 「미디어 담론」(2015)의 이해총서를 출간했다. 한국언론학회 저서 부문(「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번역 부문(「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저술상을 수상했다. 한국기호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장을 지냈으며, IAMCR의 국제평의회 의원, PACA 회장과 WCA 부회장을 맡고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광고와 기호학의 만남의 의미 = ⅴ 1부 광고 기호학 이론 1 기호학의 생성 역사 = 3 2 현대 기호학의 형성 1. 기호론과 기호학의 분류 = 31 2. 유럽의 기호학의 유래와 발전 = 36 3. 미국의 기호학 = 51 3 광고학과 기호학의 연계 : 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1. 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관심의 증대 = 59 2. 기호체로서의 광고 = 61 3. 서사체로서의 광고 = 75 4. 담론체로서의 광고 = 79 5. 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의 의미 = 83 2부 광고 기호학 사례 4 광고,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이데올로기 1. 모바일 폰과 광고 = 87 2. 광고와 여성성 = 89 3. 여성성과 이데올로기 = 92 4. 모바일 폰 광고와 여성성 = 94 5. TV 모바일 폰 광고의 여성성 사례 연구 = 95 6. '아이스크림 폰' 광고와 여성성 = 100 7. '터치를 못하면 짝도 못 만난다' 편 광고의 여성성 = 117 8. 모바일 폰 광고의 사회적 함축 의미와 이데올로기 = 133 5 광고, 에로스성 그리고 이데올로기 1. 주류 상품과 광고 = 138 2. 광고와 에로티시즘 = 140 3. 인터넷 광고에서의 에로티시즘 소구 = 144 4. 광고 텍스트와 기호학 = 145 5. 광고의 에로스성에 대한 실제 사례 분석 = 149 6. 주류 광고의 중첩적 의미와 사회적 함의 = 182 6 광고, 계급성, 담론과 그 의미적 실천 1. 아파트와 광고 = 186 2. 광고와 감성 소구 = 188 3. 광고의 텍스트적 속성과 담론 = 190 4. 아파트 광고에 대한 학문적 입장과 조류 = 192 5. 국내 아파트 광고 사례 분석: 비판적 담론분석(CDA)을 중심으로 = 194 6. 아파트 광고와 비판적 담론 = 231 7 광고, 물신성, 신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1. 아파트, 광고, 기호학의 연계 = 235 2. 광고의 기호적 속성 = 237 3. 광고를 통한 아파트의 기호화와 이미지 = 240 4. 아파트 기호화에 대한 실제 사례 분석 = 245 5. 아파트 기호화의 사회적 의미 = 280 8 광고, 지역성, 신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1. 농산물과 광고 = 282 2. 농산물 광고와 기호화 = 284 3. 광고 분석과 기호학의 관계 = 285 4. 농산물 광고에 대한 실제 분석 = 291 5. 농산물 광고의 신화, 이데올로기 및 함축 의미 = 318 참고문헌 = 321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