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민족ㆍ민족주의 (10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찬승 朴贊勝, 1957-
서명 / 저자사항
민족ㆍ민족주의 / 박찬승
발행사항
서울 :   小化,   2010   (2011)  
형태사항
270 p. ; 22 cm
총서사항
한국개념사총서 ;5
ISBN
9788984103832 9788984103375(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7-264)과 색인수록
000 00732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599292
005 20111202155043
007 ta
008 100617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84103832 ▼g 94300
020 1 ▼a 9788984103375(세트)
035 ▼a (KERIS)BIB000012052166
040 ▼a 211032 ▼d 211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20.5409519 ▼2 22
085 ▼a 320.540953 ▼2 DDCK
090 ▼a 320.540953 ▼b 2010
100 1 ▼a 박찬승 ▼g 朴贊勝, ▼d 1957- ▼0 AUTH(211009)144319
245 1 0 ▼a 민족ㆍ민족주의 / ▼d 박찬승
260 ▼a 서울 : ▼b 小化, ▼c 2010 ▼g (2011)
300 ▼a 270 p. ; ▼c 22 cm
440 0 0 ▼a 한국개념사총서 ; ▼v 5
504 ▼a 참고문헌(p. 257-264)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115844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115844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2121524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3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212152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18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51303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115844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115844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2121524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3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212152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18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540953 2010 등록번호 151303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족’과 ‘민족주의’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한국개념사총서’ 시리즈의 5번째 책. ‘민족’이란 단어는 언제부터 대중에게 확산되었을까. ‘민족’ 개념에 대한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입장은 어떠했고 ‘단일민족론’은 언제부터 대두된 것일까. 대한제국 때 민족주의는 어떻게 수용되었을까. 민족ㆍ민족주의에 대한 서구적인 의미의 개념사 정리와 한국적인 의미의 개념사 정리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지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한국에서‘민족’이라는 단어는 1906년 이후 량치차오의『음빙실문집』의 영향으로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는‘민족’을 지리·혈통·형질·언어·문자·종교·풍속·경제생활의 공통성을 지닌
집단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민족 개념은 민족 형성 과정에서의 ‘원초적 기반’과, 집단 내에서 공유되는‘문화적 기반’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후 한국 민족주의는‘문화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민족주의’는 내셔널리즘의 번역어이다. 내셔널리즘은 동아시아권에서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국가주의, 국민주의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민족주의로 번역되었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하나의 민족이 하나의 정치적 단위, 즉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영위하고자 하는 이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국권 상실과 민족 분단의 처지에 놓인 20세기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현상을 타파하려는 운동의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찬승(지은이)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와 일본 국제문화연구센터에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사학계를 이끌어온 가장 오래된 연구 단체인 한국사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30년간 독립운동을 비롯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해왔다. 특히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적인 독립국가', '자유롭고 평등하며 정의로운 사회' 수립을 목표로 했다는 점에 주목해왔다. 민족이 하나가 되어 자유와 평화, 정의와 평등을 외친 100년 전 그날을 돌아봄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그 함성에 제대로 응답하고 있는지 일깨우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저서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한국독립운동사』, 『마을로 간 한국전쟁』, 『역사의 힘』,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 등이 있고, 역서로 『국역 조선총독부 30년사』(전 3권, 공역) 등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단재상, 임종국상 등을 수상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 = 5
저자의 말 = 9
서론 = 17
 '개념사'란 무엇인가
 '민족'과 '민족주의'의 개념 수용사
Part 1 민족 = 25
 1. 서양의 '민족' 개념 = 27
  '민족' 개념의 정의
  '민족' 형성에 관한 이론들
 2. 동아시아의 '민족' 개념 수용사 = 42
  전통 시대 중국의 '민족', '족류' 개념
  일본의 '민족' 용어 만들기
  근대 중국의 '민족' 개념 수용
 3. 한국의 '민족' 개념의 형성과 수용 = 50
  조선 시대 '족류(族類)', '동포(同胞)'의 개념과 범주
  1890년대 후반 '동포' 개념의 확대
  1905년 이후『황성신문』과『대한매일신보』의 '민족' 개념 수용
  도일 유학생들의 '민족' 개념 강조
  '민족'의 구성과 성격
 4. 식민지 시기 '민족' 개념의 정착과 변화 = 85
  1910년대 '한국 민족'의 범주에 대한 논의
  3ㆍ1 운동 이후 '민족' 개념의 확산과 정착
  1920∼1930년대 '민족' 개념을 둘러싼 논쟁
 5. 해방 이후 '민족' 개념의 변화 = 103
  분단의 위기와 '단일민족'론의 대두
  해방 이후 남북한의 '민족' 개념 변화
Part 2 민족주의 = 123
 1. 서양의 '민족주의' 개념 정의 = 125
 2. 대한제국기 '민족주의' 개념의 수용 = 134
  '민족주의' 개념의 수용
  '문화적 민족주의'의 출발
 3. 1910년대 민족평등주의론과 문화적 민족주의론 = 152
  민족평등주의론의 대두
  문화적 민족주의의 발전
 4. 3ㆍ1 운동 전후의 민족주의론 = 163
  민족자결주의론
  공화주의와의 결합
 5. 1920∼1930년대의 민족주의론 = 170
  민족주의 우파의 민족주의론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민족주의 좌파의 민족주의론 - 안재홍을 중심으로
 6. 1930년대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만남 = 194
 7. 해방 직후의 민족주의론 = 203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
  김구의 자유주의적, 문화적 민족주의론
  백남운의 민족주의론
  민족 청년단의 민족 지상·국가 지상주의론
 8. 이승만 정권의 민족주의: 일민주의 = 226
 9.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의 민족주의론 = 232
  남한의 민족주의론
  북한의 민족주의론
결론 = 242
문헌목록 = 257
찾아보기 = 265

관련분야 신착자료

Arneil, Barbara (2023)
Negri, Antonio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