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 3
제2장 연구주제의 이론적 기초 = 13
1. 문명화 과정과 추상화 - "육체로의 복귀" = 14
1) 생물학적 - 진화론적 설명(굿맨) = 15
2) 사회사적 설명(엘리아스, 더글라스, 푸코) = 19
2. 권력의 역사적 "매듭점"으로서 학교 = 23
1) 교육(학)의 역사와 훈육 기술 = 24
2) 교육적 담론 실천에서 "목회술" = 28
보론 푸코의 권력분석의 교육학적 담론에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 30
3. 교육 인간학 = 33
1) 인간학과 이원론 = 33
2) 교육 인간학의 이론 형성 = 37
제3장 현상학의 전통에서 육체의 문제 = 43
1. 현상학적 교육학의 역사 - 역사적 수용과정에 대한 개관 = 44
2.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 = 48
1) 개관 = 49
2) 후설의 현상학 = 52
(1) 학문적 모티브 - 이념과 원칙 = 52
(2) 선험적 현상학 = 54
(3) 생활세계적 현상학 = 60
3) 감각과 육체의 문제 = 64
(1) 감각 = 67
(2) 육체와 감각 = 69
3. 메를로-퐁티의 육체 및 지각의 현상학 = 72
1) 개관 = 72
2) 이원론의 극복 계기로서 육체 = 75
3) 육체의 기능 = 80
4) 지각의 문제 = 86
(1) 지각과 육체의 관계 = 86
(2) 육체, 감각 그리고 사물 지각 = 88
제4장 현상학적 교육학 연구의 대상영역 = 93
1. 도입 = 93
2. '세계 지향적 존재'로서 아동 = 96
1) 아동의 지각 = 96
(1) 예화 1 : "잠자러 가는 달" = 97
(2) 예화 2 : "저 사람 웃기게 생겼어" = 101
2) 간주관성의 문제 = 105
(1) 사회성의 의미 = 105
(2) 아동의 타자 인식 = 109
3. 현상학적 관점에서 학습의 문제 = 112
1) 도입 = 112
2) 인지론적 학습이론 비판 = 114
3) 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 118
(1) 지식의 문제 = 119
(2) 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 125
4. 타자성의 문제 = 128
1) 도입 = 128
2) 이론적 차원 = 130
제5장 맺는 말 = 143
부록 : 윌리엄 제임스의 의식이론에 대한 학습 이론적 고찰 -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 151
1. 들어가는 말 = 151
2. 제임스 사상에서 시간 범주 = 153
3. 시간성과 학습현상 = 159
4. 결과를 예상하는 행동실행의 학습모형 = 170
1) 미래 예측적 행동 = 170
2) 호프만의 학습모형 = 173
5. 요약 및 결론 = 179
참고문헌 = 182
개념색인 = 201
인명색인 =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