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상학과 교육학 :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육체의 문제

현상학과 교육학 :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육체의 문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상식 趙相植 , 1967-
서명 / 저자사항
현상학과 교육학 :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육체의 문제 / 조상식 저.
발행사항
서울 :   원미사 ,   2002.  
형태사항
209 p. ; 23 cm.
ISBN
8955440286
서지주기
참고문헌(p. 183-200) 및 색인, 부록수록
000 00608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598723
005 20100805071226
007 ta
008 100615s2002 ulk b 001c kor
020 ▼a 8955440286
035 ▼a (KERIS)BIB000008481221
040 ▼a 247011 ▼d 211009
082 0 4 ▼a 370.1 ▼2 22
090 ▼a 370.1 ▼b 2002zb5
100 1 ▼a 조상식 ▼g 趙相植 , ▼d 1967- ▼0 AUTH(211009)49508
245 1 0 ▼a 현상학과 교육학 : ▼b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육체의 문제 / ▼d 조상식 저.
260 ▼a 서울 : ▼b 원미사 , ▼c 2002.
300 ▼a 20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183-200) 및 색인, 부록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70.1 2002zb5 등록번호 1115843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70.1 2002zb5 등록번호 1115843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상식(지은이)

1967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3년 동안 구로고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유럽 인문학 전통에 매료되어 독일로 유학을 떠나, 괴팅겐대학교(Georg-August Uni. Gottingen)에서 교육학과 사회학으로 석사 학위를, 교육 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Dr.disc.pol.)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교육철학·사상을 가르친다. 서양근대교육사상, 미학교육론, 도덕교육론, 비판이론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강의와 저술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대교육의 종말》, 《현상학과 교육학》, 《판단력 비판》, 《독일 교육학의 이해》, 《윌리엄 제임스―교육론》, 《루소, 학교에 가다》, 《푸코, 감옥에 가다》, 《존 듀이의 독일 철학과 정치》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 3
제2장 연구주제의 이론적 기초 = 13
 1. 문명화 과정과 추상화 - "육체로의 복귀" = 14
  1) 생물학적 - 진화론적 설명(굿맨) = 15
  2) 사회사적 설명(엘리아스, 더글라스, 푸코) = 19
 2. 권력의 역사적 "매듭점"으로서 학교 = 23
  1) 교육(학)의 역사와 훈육 기술 = 24
  2) 교육적 담론 실천에서 "목회술" = 28
 보론 푸코의 권력분석의 교육학적 담론에의 적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 30
 3. 교육 인간학 = 33
  1) 인간학과 이원론 = 33
  2) 교육 인간학의 이론 형성 = 37
제3장 현상학의 전통에서 육체의 문제 = 43
 1. 현상학적 교육학의 역사 - 역사적 수용과정에 대한 개관 = 44
 2.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 = 48
  1) 개관 = 49
  2) 후설의 현상학 = 52
   (1) 학문적 모티브 - 이념과 원칙 = 52
   (2) 선험적 현상학 = 54
   (3) 생활세계적 현상학 = 60
  3) 감각과 육체의 문제 = 64
   (1) 감각 = 67
   (2) 육체와 감각 = 69
 3. 메를로-퐁티의 육체 및 지각의 현상학 = 72
  1) 개관 = 72
  2) 이원론의 극복 계기로서 육체 = 75
  3) 육체의 기능 = 80
  4) 지각의 문제 = 86
   (1) 지각과 육체의 관계 = 86
   (2) 육체, 감각 그리고 사물 지각 = 88
제4장 현상학적 교육학 연구의 대상영역 = 93
 1. 도입 = 93
 2. '세계 지향적 존재'로서 아동 = 96
  1) 아동의 지각 = 96
   (1) 예화 1 : "잠자러 가는 달" = 97
   (2) 예화 2 : "저 사람 웃기게 생겼어" = 101
  2) 간주관성의 문제 = 105
   (1) 사회성의 의미 = 105
   (2) 아동의 타자 인식 = 109
 3. 현상학적 관점에서 학습의 문제 = 112
  1) 도입 = 112
  2) 인지론적 학습이론 비판 = 114
  3) 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 118
   (1) 지식의 문제 = 119
   (2) 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 125
 4. 타자성의 문제 = 128
  1) 도입 = 128
  2) 이론적 차원 = 130
제5장 맺는 말 = 143
부록 : 윌리엄 제임스의 의식이론에 대한 학습 이론적 고찰 -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 151
 1. 들어가는 말 = 151
 2. 제임스 사상에서 시간 범주 = 153
 3. 시간성과 학습현상 = 159
 4. 결과를 예상하는 행동실행의 학습모형 = 170
  1) 미래 예측적 행동 = 170
  2) 호프만의 학습모형 = 173
 5. 요약 및 결론 = 179
참고문헌 = 182
개념색인 = 201
인명색인 = 207


관련분야 신착자료

일여 (2023)
김은형 (2022)
신명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