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과 : 기초 악전(Basic Fundamentals)
A. 기보법(Music Notation) = 24
a. 오선(Staff) = 24
b. 음자리표(Clef) = 24
c. 음높이(Pitch) = 25
d. 리듬(Rhythm) = 26
e. 박자(Meter) = 27
f. 비트의 분할(Division of the Beat) = 27
g. 심플 박자표(Simple Time Signatures) = 27
h. 콤파운드 박자표(Compound Time Signatures) = 29
i. 리듬 표기의 규정(Rules for Rhythmic Notation) = 30
j. 임시표(Accidentals) = 31
k. 건반과 옥타브 표(The Keyboard & Octave Register) = 31
l. 다이내믹(Dynamics) = 32
m. 코드 기호(Chord Symbols) = 33
B. 조성(Keys) = 34
a. 4도권, 5도권(Cycle of 4th or 5th) = 34
b. 조표(Key Signatures) = 34
c. 장조(Major Keys) = 36
d. 단조(Minor Keys) = 37
e. 장음계(Major Scale) = 38
f. 단음계(Minor Scales) = 42
g. 장음계 선 상의 음의 명칭(Scale Degree Names) = 49
h. 음의 균형적 논리(Symmetrical System) = 50
C. 음정(Intervals) = 54
a. 옥타브 내의 음정(Simple Intervals) = 54
b. 옥타브 외의 음정(Compound Intervals) = 58
c. 음정의 자리바꿈(Inversion of Intervals) = 59
d. 화성 음정, 단음 음정(Harmonic & Melodic Intervals) = 60
e. 협화 음정, 불협화 음정(Consonant & Dissonant Intervals) = 60
제2과 : 코드(Chords)
A. 트라이어드(Triads) = 64
a.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디미니시드(Diminished), 오그멘티드(Augmented), 서스펜디드(Suspended) 코드(Chords) = 67
b. 트라이어드(Triads)의 자리바꿈(Inversions) = 67
c. 트라이어드(Triads)의 보이싱(Voicing) = 67
d. 트라이어드(Triads)의 클로즈드 보이싱(Closed Voicing) = 68
e. 트라이어드(Triads)의 오픈 보이싱(Open Voicing) = 68
f. 트라이어드(Triads)의 보이싱 연결(Voice-Leading) = 69
B. 7th 코드(7th Chords) = 70
a. Ma$$\j^{ㆍ7}$$, do$$\m^{7}$$, m$$\i^{ㆍ7}$$, m$$\i^{ㆍ7b5}$$, $$\O^{7}$$, Ma$$\j^{ㆍ7#5}$$, 7sus, mi$$\M^{7}$$, o$$\M^{7}$$, 6, m$$\i^{6}$$, $$\7^{b5}$$, $$\7^{#5}$$ = 70
b. 7th 코드(7th Chords)의 자리바꿈(Inversions) = 74
c. 7th 코드(7th Chords)의 클로즈드 보이싱(Closed Voicing) = 75
d. 7th 코드(7th Chords)의 오픈 보이싱(Open Voicing) = 75
e. 7th 코드(7th Chords)의 보이싱 연결(Voice-Leading) = 77
C. 텐션 코드(7th Chords with Tensions) = 78
a. 메이저 종류(Major Types) = 79
b. 도미넌트 종류(Dominant Types) = 80
c. 마이너 종류(Minor Types) = 81
d. 서스 종류(Suspended Types) = 82
e. 디미니시드 종류(Diminished Types) = 82
D. 슬래시 코드(Slash Chords) = 83
a. 보이싱 개념(Voicing Concepts) = 83
b. 모들 개념(Modal Concepts) = 89
E. 폴리 코드(Poly Chords) = 93
F. 2-5-1 보이스 리딩(Voice-Leading) = 95
a. 메이저 2-5-1, 7th 코드 보이스 리딩(7th Chords Voice-Leading in Major 2-5-1) = 95
b. 메이저 2-5-1, 텐션 코드 보이스 리딩(Tension Chords Voice-Leading in Major 2-5-1) = 100
c. 마이너 2-5-1, 보이스 리딩(Voice-Leading in Minor 2-5-1) = 100
제3과 : 스케일과 코드의 관계(Scale-Chord Relations)
A. 테트라코드(Tetrachords) = 106
B. 펜타토닉 스케일 & 모드(Pentatonic Scales & Modes) = 110
a. 메이저 펜타토닉(Major Pentatonic) = 110
b. 펜타토닉 스케일의 모드(Modes) = 110
c. 메이저 펜타토닉(Major Pentatonic)과 마이너 펜타토닉(Minor Pentatonic)의 관계 = 112
C. 메이저 스케일 & 모드(Major Scale & Modes) = 114
D. 마이너 스케일 & 모드(Minor Scales & Modes) = 120
a.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Scale) = 120
b. 화성단음계(Harmonic Minor Scale) = 121
c. 가락단음계(Melodic Minor Scale)=재즈 마이너 스케일(Jazz Minor Scale) = 122
d. 콤퍼지트 마이너 코드(Composite Minor Chords) = 123
E. 균형적 스케일(Symmetrical Scales) = 126
a. 디미니시드 스케일(Diminished Scales) = 126
b. 홀 톤 스케일(Whole Tone Scale) = 131
c. 오그멘티드 스케일(Augmented Scales) = 135
d. 크로매틱 스케일(Chromatic Scale) = 138
F. 블루스 스케일(Blues Scale) = 140
G. 비밥 스케일(Bebop Scales) = 145
a. 메이저 비밥 스케일(Major Bebop Scale) = 145
b. 마이너 비밥 스케일(Minor Bebop Scale) = 147
c. 도미넌트 비밥 스케일(Dominant Bebop Scale) = 149
d. 도미넌트 비밥 스케일의 응용(Applying Dominant Bebop Scale) = 151
e. 그 밖의 비밥 스케일(Other Bebop Scales) = 154
H. 서스 코드 스케일(Scales for Sus Chords) = 155
a. 서스 코드 스케일의 종류 = 155
b. 서스 스케일의 분석 = 155
I. 그 밖의 스케일(Other Scales) = 160
a. 하모닉 메이저(Harmonic Major) = 161
b. 멜로딕 마이너 #5(Melodic Minor #5) = 162
c. 테트라코드를 응용한 그 밖의 스케일 = 163
d. 마이너 6 펜타토닉 스케일 = 165
제4과 : 멜로디 분석(Melodic Analysis)
A. 하모닉 리듬(Harmonic Rhythm) = 170
a. 하모닉 리듬의 화성적 이해 = 170
b. 하모닉 리듬의 선율적 이해 = 173
B. 논 코드 톤(Non Chord Tones) = 174
a. 액센티드 논 코드 톤(Accented Non Chord Tones) = 174
b. 언액센티드 논 코드 톤(Unaccented Non Chord Tones) = 174
C. 패싱 노트(Passing Note) = 176
D. 네이버링 노트(Neighboring Note) = 178
E. 앤티시페이션(Anticipation) = 180
F. 서스펜디드 노트(Suspended Note) = 181
G. 리타데이션(Retardation) = 184
H. 아포자투라(Appoggiatura) = 186
I. 에스케이프 노트(Escape Note) = 188
J. 캄비아타(Cambiata) = 190
K. 페달 포인트(Pedal Point) = 192
제5과 : 기초 대리화음과 분석(Basic Chord Substitutions and Analysis)
A. 동일 기능 대리화음(Like Function Substitution) = 196
a. 으뜸화음(Tonic Function) = 196
b. 버금딸림화음(Subdominant Function) = 197
c. 딸림화음(Dominant Function) = 197
d. 동일 기능 코드 대리화음의 응용 = 199
B. 근음 진행(Root Movements) = 201
a. 강진행(Primary Movement) = 201
b. 약진행(Secondary Movement) = 201
c. 강진행과 약진행의 분석 및 응용 = 202
C.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 익스텐디드 세컨더리 도미넌트(Primary, Secondary & Extended Secondary Dominant) = 204
a. 프라이머리 도미넌트(Primary Dominant) = 204
b. 세컨더리 도미넌트(Secondary Dominant) = 204
c. 익스텐디드 세컨더리 도미넌트(Extended Secondary Dominant) = 206
D. 메이저 & 마이너 2-5-1 진행(2-5-1 in Major & Minor) = 207
a. 메이저 2-5-1(2-5-1 in Major) = 207
b. 마이너 2-5-1(2-5-1 in Minor) = 208
c. 메이저 2-5-1 & 마이너 2-5-1의 혼합 = 211
E. 서스 코드의 사용(Use of Sus Chords) = 213
a. 조성음악에서의 서스 코드 = 213
b. 모들 재즈에서의 서스 코드 = 214
F. I 메이저와 I 마이너의 대리화음(Substitutions for I Major & I Minor Chords) = 217
a. I 메이저의 대리화음(Substitutions for I Major) = 217
b. I 마이너의 대리화음(Substitutions for I Minor) = 219
G.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코드(Subdominant Minor Chords) = 221
a.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코드의 종류 = 221
b. 화성 진행에서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코드의 사용 = 222
제6과 : 고급 대리화음(Advanced Reharmonization)
A. 모션(Motions) = 226
a. 패럴렐 모션(Parallel Motion) = 226
b. 콘트러리 모션(Contrary Motion) = 226
c. 오블리크 모션(Oblique Motion) = 227
B. 트라이톤 대리화음(Tritone Substitution) = 228
a. 트라이톤 대리화음의 원리 = 228
b. 트라이톤 대리화음과 스케일의 관계 = 230
c. 트라이톤 대리화음의 보이싱 개념 = 232
d. 트라이톤 대리화음을 화성 진행에서 응용하기 = 233
C. 평행 진행(Linear Progressions) = 235
a. 크로메틱 2-5 진행 = 235
b. m$$\i^{ㆍ7}$$ 코드의 평행 진행 = 236
c. 크로매틱 평행 진행 = 238
d.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의 'Moment's Notice', 찰리 파커(Charlie Parker)의 'Blues for Alice' = 239
D. 모들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s) = 240
a. 메이저 화성과 모들 인터체인지 화성의 관계 = 240
b. 모들 인터체인지 개념을 사용한 코드 진행 = 241
E. 디미니시드 코드의 사용(Use of Diminished Chords) = 245
a. 디미니시드 알터드 코드의 대리화음($$\C^{7}$$, $$\E^{b7}$$, $$\G^{b7}$$, $$\A^{7}$$) = 245
b. 패싱 디미니시드(Passing Diminished), VII 코드 = 246
c. 디미니시드 오그질리어리(Diminished Auxiliary) = 248
d. 디미니시드 어프로치(Diminished Approach) = 248
e. $$\I^{o}$$ 코드 = 249
f. $$\I^{o7}$$ 코드 = 250
F. 딜레이드 레절루션(Delayed Resolution) = 251
a. 멜로디적 딜레이드 레절루션(Delayed Resolution of Melody) = 251
b. $$\o^{7}$$ 코드를 사용한 딜레이드 레절루션(Use of $$\o^{7}$$ for Delayed Resolution) = 251
G. 페달 포인트(Pedal Point) = 254
a. 조성음악에서의 페달 포인트(Pedal Point in Tonal Music) = 254
b. 모들 재즈에서의 페달 포인트(Pedal Point in Modal Jazz) = 255
c. 비조성 페달 포인트(Atonal Pedal Point) = 256
H. 콜트레인 대리화음(Coltrane Substitutions) = 257
a. 3토닉 시스템(Three Tonic System) = 257
b.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의 'Giant Steps' = 258
c. 2-5-1에서의 콜트레인 대리화음(Coltrane Substitution in 2-5-1) = 259
d. 콜트레인 대리화음의 응용 = 259
I. 도미넌트 사이클(Dominant Cycle) = 262
a. 도미넌트 사이클의 원리 = 262
b. 도미넌트 사이클 대리화음의 원리와 타깃 코드(Target Chord) = 262
c. 도미넌트 사이클을 이용한 화성 진행의 변형 = 264
d. 도미넌트 사이클 패턴 = 264
제7과 : 화성의 응용(Applying Harmony)
A. 전조(Key Modulations) = 268
a. 피벗 전조(Pivot Modulation) = 268
b. 다이렉트 전조(Direct Modulation) = 274
c. 사이클 전조(The 'Cycle' Modulation) = 275
d. 시퀀셜 전조(The Sequential Modulation) = 277
e. 어브럽트 전조(The Abrupt Modulation) = 279
B. 케이던스(Cadences) = 280
a. 도미넌트 케이던스(Dominant Cadences) = 280
b. 서브도미넌트 케이던스(Subdominant Cadences) = 282
c. 디셉티브 케이던스(Deceptive Cadences) = 282
d. 하프 케이던스(Half Cadences) = 282
C. 턴어라운드(Turnarounds) = 284
a. IMa$$\j^{ㆍ7}$$에서 IMa$$\j^{ㆍ7}$$으로 가는 턴어라운드 = 284
b. IMa$$\j^{ㆍ7}$$에서 IIm$$\i^{ㆍ7}$$으로 가는 턴어라운드 = 285
c. Im$$\i^{ㆍ7}$$에서 Im$$\i^{ㆍ7}$$으로 가는 턴어라운드 = 286
D. 모들 화성(Modal Harmony) = 288
a. 모드(Modes) = 288
b. 모들 화성 진행(Modal Chord Progressions) = 290
c. 모들 보이싱(Modal Voicing) = 290
E. 트라이어드를 사용한 모던 재즈 화성(Modern Jazz Harmony Using Triads) = 293
a. 트라이어드와 모드의 관계 = 293
b. 트라이어드 모던 코드를 사용한 화성 진행(Chord Progressions Using Triads with Different Bass Note) = 298
F. 재즈 화성의 진행(Common Chord Progressions) = 300
a. 재즈 화성의 진행(Common Chord Progressions) = 300
b. 공통 화성 진행을 이용한 스탠더드 곡의 분석 = 301
c. 공통 화성 진행을 이용한 전조의 원리 = 301
제8과 : 리듬 & 형식(Rhythm & Forms)
A. 리듬(Rhythm) = 306
a. 찰스턴 리듬의 응용(Applying Charleston Figures) = 306
b. 싱커페이션(Syncopation) = 307
c. 2박 3연음 리듬의 응용(Applying 1/4 Note Triplets) = 308
d. 폴리리듬(Polyrhythm) = 309
e. 재즈에서 많이 사용되는 리듬 패턴(Common Rhythmic Patterns Used in Jazz) = 313
f. 재즈 그루브(Jazz Grooves) = 314
B. 재즈의 형식(The Forms in Jazz) = 320
a. 스탠더드 형식 = 320
b. 블루스(Blues) = 322
c. 리듬 체인지(Rhythm Changes) = 324
d. 자유 형식(Free Forms) = 326
e. 편곡의 형식 = 326
제9과 : 재즈 보이싱(Jazz Voicing)
A. 2-5-1 보이싱 = 330
B. 윈턴 켈리 보이싱(Wynton Kelly Voicing) = 334
C. 어퍼 스트럭처 트라이어드 보이싱(Upper Structure Triad Voicing) = 337
D. 어퍼 스트럭처 7th 코드 보이싱(Upper Structure 7th Chord Voicing) = 346
E. 패럴렐리즘(Parallelism) = 354
a. 다이어토닉 패럴렐리즘(Diatonic Parallelism) = 354
b. 논 다이어토닉 패럴렐리즘(Non Diatonic Parallelism) = 354
F. 디미니시드 보이싱(Diminished Voicing) = 359
G. 홀 톤 보이싱(Whole Tone Voicing) = 365
a. 스탠더드 보이싱에서 텐션의 변형을 주는 방법 = 365
b. 대리화음을 어퍼 스트럭처 개념으로 코드 위에 사용하는 방법 = 366
c. 위의 A와 B Form의 방법을 평행으로 움직여 응용하는 방법 = 367
제10과 : 즉흥연주 기법(Improvisation Techniques)
* 전반적 개념과 응용방법(General Concepts and Applying Methods)
A. 다이어토닉 패턴(Diatonic Patterns) = 373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373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373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383
B. 코드 톤(Chord Tones) = 387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387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387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389
C. 논 다이어토닉 음정을 이용한 아이디어(Non Diatonic Intervallic Ideas) = 396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396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396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s) = 399
D. 비밥 스케일(Bebop Scales) = 402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02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02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10
E. 어퍼 스트럭처 트라이어드(Upper Structure Triads) = 415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15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15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17
F. 디미니시드 패턴(Diminished Patterns) = 420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20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20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29
G. 홀 톤 아이디어(Whole Tone Ideas) = 438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38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38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39
H. 펜타토닉(Pentatonics) = 446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46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47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50
I. 대리화음 아이디어(Substitution Ideas) = 457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57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58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63
J. 7th 코드의 연결(7th Chord Connections) = 474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74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76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80
K. 오그멘티드 스케일의 사용(Using Augmented Scales) = 483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83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83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87
L. 블루스 스케일의 사용(Use of Blues Scale) = 490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90
b. 블루스 라인(Blues Lines) = 490
M. 가이드 톤 아이디어(Guide Tone Ideas) = 496
a. 기본 개념(Basic Concepts) = 496
b. 패턴의 연습(Practicing Patterns) = 497
c. 패턴의 응용(Applying Patterns) = 499
연습문제 정답 = 503
Index =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