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벡터 분석 = 9
1.1. 개요 = 9
1.2. 벡터 및 스칼라 = 9
1.3. 벡터의 연산 = 10
1.4. 경도 = 13
1.5. 발산 = 17
1.6. 벡터의 항등식 = 22
1.7. 소스 및 필드점 = 23
1.8. 체적 및 표면 = 25
1.9. 1/r의 경도 및 발산 = 27
1.10. 입체각 = 30
1.11. 연산 요약 = 33
Chapter 2 소스와 필드 = 35
2.1. 필드 = 36
2.2. 조직의 저항 및 컨덕턴스 = 36
2.3. 필드 및 전류 = 37
2.4. 소스의 필드 및 그 역 = 39
2.5. 쌍대성 = 40
2.6. 단극자필드 = 41
2.7. 쌍극자필드 = 43
2.8. 소스변수에 관한 ▽(1/r) 계산 = 46
2.9. 단극자의 쌍이 쌍극자를 이루는가? = 47
2.10. 커패시턴스 = 52
2.11.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단위 = 54
2.12. 전기량의 단위 = 58
Chapter 3 생체전위 = 59
3.1. 용액의 전류 = 60
3.2. 몰과 암페어 = 60
3.3. 이온성분 = 61
3.4. 이온종류에 관한 표기법 = 62
3.5. 네른스트-플랑크 방정식 = 63
3.6. 이동도 = 64
3.7. 온도 변화 = 65
3.8. 확산과 전계를 합한 유동율 = 66
3.9. 막의 구조 = 70
3.10. 네른스트전위 = 73
3.11. 전해질 = 77
3.12. 지금까지의 요약 = 79
3.13. 병렬컨덕턴스 모델 = 80
3.14. 염소의 기여도 = 84
3.15. 참고치 = 87
Chapter 4 채널 = 89
4.1. 개요 = 89
4.2. 전자현미경법에 의한 채널구조 = 89
4.3. 채널구조 : 분자 유전학 = 90
4.4. 이온채널 : 생체물리법 = 94
4.5. 거시적 채널 동역학 = 107
4.6. 채널 통계학 = 109
4.7. Hodgkin-Huxley의 막 모델 = 113
Chapter 5 활동전위 = 117
5.1. 실험적 활동전위 = 119
5.2. 전압클램프 = 130
5.3. Hodgkin-Huxley의 컨덕턴스 방정식 = 141
5.4. 막 활동전위의 모의실험 = 152
5.5. Hodgkin-Huxley 모델을 넘어서 = 167
5.6. 부록 : GHK 정전계 방정식 = 175
Chapter 6 임펄스 전파 = 183
6.1. 핵심도체모델 = 183
6.2. 케이블 방정식 = 187
6.3. 전파 = 196
6.4. 유수신경섬유의 전파 = 216
Chapter 7 흥분조직의 전기자극 = 221
7.1. 구형세포의 자극 = 222
7.2. 섬유의 자극 = 229
7.3. 섬유의 자극 = 232
7.4. 축전류의 과도 = 241
7.5. 각개 섬유의 필드자극 = 244
7.6. 자극, 그 다음 초과 임계 반응 = 253
7.7. 섬유의 입력임피던스 = 257
7.8. 자계 자극 = 262
Chapter 8 세포외 필드 = 265
8.1. 배경 = 265
8.2. 섬유의 세포외 전위 = 269
8.3. 세포의 전위 = 299
Chapter 9 심장의 전기생리학 = 313
9.1. 세포 사이의 통신 = 314
9.2. 심장의 세포 모델 = 339
9.3. 심전도 = 354
Chapter 10 신경근연접 = 381
10.1. 개요 = 381
10.2. 신경근연접 = 383
10.3. 양자 전도체 방출 = 386
10.4. 전도체 방출, 포아송 통계 = 387
10.5. 전도체 방출, $$Ca^++$$ 및 $$Mg^++$$ = 390
10.6. 연접후부의 전도체반응 = 392
Chapter 11 골격근 = 399
11.1. 골격 구조 = 399
11.2. 근육수축 = 400
11.3. 활동필라멘트 이론 = 408
11.4. 흥분-수축 = 412
Chapter 12 기능적 전기자극 = 415
12.1. 개요 = 415
12.2. 전극에 대한 고려사항 = 415
12.3. 가역영역 밖의 동작 = 422
12.4. 전극의 재료 = 424
12.5. 신경의 흥분 = 427
12.6. 자극전극의 형태 = 436
12.7. 전극의 성능 분석 = 437
12.8. 임상 적용 = 450
12.9. 프랑켄하우서-헉슬리 막 = 450
12.10. FES 전망 = 452
Chapter 13 연습문제 = 455
제1장 벡터 분석 = 455
제2장 소스와 필드 = 462
제3장 생체전위 = 473
제4장 채널 = 485
제5장 활동전위 = 497
제6장 임펄스 전파 = 524
제7장 흥분조직의 전기자극 = 540
제8장 세포외 필드 = 557
제9장 심장의 전기생리학 = 571
제10장 신경근연접 = 595
제11장 골격근 = 597
제12장 기능적 전기자극 = 598
Chapter 14 연습문제 해답 = 607
제1장 벡터 분석 = 607
제2장 소스와 필드 = 609
제3장 생체전위 = 613
제4장 채널 = 617
제5장 활동전위 = 623
제6장 임펄스 전파 = 632
제7장 흥분조직의 전기자극 = 637
제8장 세포외 필드 = 640
제9장 심장의 전기생리학 = 644
제12장 기능적 전기자극 = 650
찾아보기 = 663
INDEX = 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