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환자의학 2판

중환자의학 2판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대한중환자의학회
Title Statement
중환자의학 = Critical care medicine / 대한중환자의학회 지음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군자,   2010  
Physical Medium
xiii, 656 p. : 삽화 ; 29 cm
ISBN
978896278256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88namcc2200241 c 4500
001 000045597136
005 20121005142759
007 ta
008 100604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62782561 ▼g 93510
040 ▼d 211009
082 0 4 ▼a 616.028 ▼2 22
085 ▼a 616.028 ▼2 DDCK
090 ▼a 616.028 ▼b 2010
110 ▼a 대한중환자의학회
245 1 0 ▼a 중환자의학 = ▼x Critical care medicine / ▼d 대한중환자의학회 지음
250 ▼a 2판
260 ▼a 서울 : ▼b 군자, ▼c 2010
300 ▼a xiii, 656 p. : ▼b 삽화 ; ▼c 29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10 0 ▼a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e
910 0 ▼a KSCCM,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6.028 2010 Accession No. 13104080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8-05-0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616.028 2010 Accession No. 13103747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3-09-1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3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616.028 2010 Accession No. 13104080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4-01-12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대한중환자의학회(엮은이)

<중환자의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역사 / 정성수
 Ⅰ. 중환자의학의 역사 = 1
 Ⅱ. 대한중환자의학회 역사 = 2
 Ⅲ. 한국중환자실의 현황 = 7
 Ⅳ. 요약 = 9
Chapter 2. 중환자실의 구조와 운영 / 신증수
 Ⅰ. 중환자실 기준 = 11
 Ⅱ. 의료 인력 = 11
 Ⅲ. 중환자실의 종류 = 12
 Ⅳ. 중환자실 공간 구성 = 13
 Ⅴ. 중환자실 공간 평면 구조 = 14
 Ⅵ. 중환자실의 설비와 환경 = 15
Chapter 3. 중증도 분류 / 이영주
 Ⅰ. 예측 척도 = 17
 Ⅱ. 장기 부전 점수 = 21
Chapter 4. 중환자 영양관리 / 김동찬
 Ⅰ. 중환자의 대사적 변화에 대한 이해 = 25
 Ⅱ. 중환자의 영양상태 평가 = 27
 Ⅲ. 에너지 요구량 계산 = 29
 Ⅳ. 영양소 = 31
 Ⅴ. 영양지원 방법 결정 = 32
 Ⅵ. 경장영양법에서 영양지원 처방 = 32
 Ⅶ. 정맥영양법에서 영양지원 처방 = 34
 Ⅷ. 경장영양법과 정맥영양법의 합병증 = 35
 Ⅸ. 2009년 미국중환자학회와 미국영양학회의 중환자 영양지원 지침서 = 36
 Ⅹ. 맺음말 = 39
Chapter 5. 감염관리 / 유희구
 Ⅰ. 감염관리 기본 = 41
 Ⅱ. 감염관리 지침 = 42
 Ⅲ. 멸균 = 44
 Ⅳ. 격리 = 46
 Ⅴ. 직원의 감염 관리 = 47
 Ⅵ. 공기전염에 의한 폭발적인 전염력을 가진 질병의 병원감염예방 관리지침의 예 = 48
Chapter 6. 질 관리 / 윤석화
 Ⅰ. 깊은정맥혈전증 = 51
 Ⅱ. 스트레스 궤양 = 54
 Ⅲ. 환기기연관 폐렴 예방 다발 = 56
 Ⅳ. 중증 패혈증 다발 = 58
Chapter 7. 안전 관리 / 김동옥
 Ⅰ. 전기 및 전자파 = 61
 Ⅱ. 감염 = 64
 Ⅲ. 라텍스 알레르기 = 66
 Ⅳ. 약물 농도 모니터링 = 66
 Ⅴ. 억제대 = 67
Chapter 8. 중환자 이송 / 김재열
 Ⅰ. 병원 내 이송 = 69
 Ⅱ. 병원간 이송 = 71
Chapter 9. 사전의사결정 / 백승완
 Ⅰ. 사전의사결정의 정의와 배경 = 77
 Ⅱ. 사전의사결정의 종류 및 용어 정리 = 78
 Ⅲ. 사전의사결정 제도의 영향 = 79
 Ⅳ. 국내 현황 = 79
 Ⅴ. 연명치료 중지 절차 = 80
 Ⅵ. 맺음말 = 81
Chapter 10. 치료의 유보와 중지 / 고윤석
 Ⅰ. 중환자실의 의료 윤리적 특성 = 83
 Ⅱ. 중환자치료의 유보와 중지 결정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 = 83
 Ⅲ. 치료 유보와 치료 중지 = 85
 Ⅳ. 연명치료 유보와 중지 지침 = 85
Chapter 11. 임상 연구를 위한 윤리와 법 / 유병식
 Ⅰ. 임상 연구의 정의 = 89
 Ⅱ. 임상 연구 피험자 보호의 역사 = 90
 Ⅲ.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연구 윤리 원칙 = 91
 Ⅳ. 임상 연구와 관련된 국제 문서들 = 92
 Ⅴ. 우리나라의 임상 시험 관련 법령 = 95
 Ⅵ. 임상 연구의 윤리를 확보하기 위한 제안 = 96
Chapter 12. 중환자 인지 및 평가 / 홍성진
 Ⅰ. 위험도가 높은 환자의 인지 = 99
 Ⅱ. 중환자의 초기 평가 = 100
 Ⅲ. 정보를 통한 치료방침 수립 = 104
Chapter 13. 외상환자의 평가 및 생리적 변화 / 최세영
 Ⅰ. 외상 환자의 평가 = 105
 Ⅱ. 외상환자의 생리적 변화 = 107
Chapter 14. 감시 / 박영철
 Ⅰ. 심전도 = 11
 Ⅱ. 혈압 = 114
 Ⅲ. 중심정맥압 = 116
 Ⅳ. 폐동맥압 = 117
 Ⅴ. 기타 심박출량 측정법 = 123
 Ⅵ. 심장초음파 = 124
 Ⅶ. 맥박산소측정기 = 124
 Ⅷ.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 125
 Ⅸ. 두개강 내압 감시 = 126
Chapter 15. 수기 / 곽영란
 Ⅰ. 직접 동맥압 측정 = 129
 Ⅱ. 중심정맥 도관삽입술 및 말초정맥 도관삽입술 = 132
 Ⅲ. 폐동맥카테터 = 135
 Ⅳ. 흉강천자와 흉강삽관 = 142
Chapter 16. 기도관리 / 장철호
 Ⅰ. 기도 관리 = 147
 Ⅱ. 어려운 기관내삽관, 기관절개술 = 151
 Ⅲ. 미국-유럽 학회 알고리즘 = 156
 Ⅳ. 삽관시 필요한 약물 = 157
Chapter 17. 심폐/뇌소생술 / 조헌
 Ⅰ. 성인 기본 인명구조술 = 164
 Ⅱ. 성인 전문 심장구조술 = 171
 Ⅲ. 서맥과 빈맥의 치료 = 175
Chapter 18. 유소아의 응급사항 / 박준동
 Ⅰ. 유아 및 소아의 호흡계 사정 및 감시 = 185
 Ⅱ. 유아 및 소아의 기도관리 = 188
 Ⅲ. 유아 및 소아에서의 상부 기도 질환 = 189
 Ⅳ. 유소아 천식 = 190
 Ⅴ. 대사성 이상 = 191
 Ⅵ. 소아의 심폐소생술 = 192
Chapter 19. 산-염기 평형과 동맥혈 가스분석 / 이병호
 Ⅰ. 산-염기 평형 = 201
 Ⅱ. 동맥혈 가스분석 = 204
 Ⅲ. 최근의 산-염기 평형 해석법 = 210
Chapter 20. 수액요법과 전해질 이상 / 전종헌
 Ⅰ. 수액요법 = 215
 Ⅱ. 전해질 이상 = 220
Chapter 21. 성분수혈 / 정성욱
 Ⅰ. 전혈 = 233
 Ⅱ. 성분수혈 = 234
Chapter 22. 진통, 진정제와 신경근차단제 / 이경민
 Ⅰ. 진통제 = 243
 Ⅱ. 진정제 = 247
 Ⅲ. 신경근차단제 = 252
Chapter 23. 급성관상동맥증후군 / 정남식
 Ⅰ. 급성관상동맥 증후군의 병태생리 = 259
 Ⅱ.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진단 = 260
 Ⅲ.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치료 = 262
 Ⅳ. 결론 = 264
Chapter 24. 심부전증 / 유기동
 Ⅰ. 심부전의 분류 = 265
 Ⅱ. 원인 = 266
 Ⅲ. 병태생리 = 266
 Ⅳ. 심부전의 임상증상 = 269
 Ⅴ. 신체검사 = 270
 Ⅵ. 진단 = 271
 Ⅵ. 심부전의 치료 = 272
 Ⅶ. 중환자실 상황에서의 특수한 심부전 - 급성심부전 = 275
Chapter 25. 부정맥 / 정명호
 Ⅰ. 부정맥의 접근 = 281
 Ⅱ. 발생기전 = 281
 Ⅲ. 혈역학적 의미 = 282
 Ⅳ. 심실성 부정맥 = 283
 Ⅴ. 심실상성 빈맥 = 286
 Ⅵ. 서맥성 부정맥 = 288
 Ⅶ. 직류 제세동 = 291
Chapter 26. 심장혈관계 약물 / 이상록
 Ⅰ. 강심제 = 293
 Ⅱ. 혈관 확장제 = 295
 Ⅲ. 항협심증 약물 = 296
 Ⅳ. 항혈소판제 = 298
 Ⅴ. 항고혈압제 = 298
Chapter 27. 호흡부전 / 권오정
 Ⅰ. 급성호흡부전 = 301
 Ⅱ. 상기도 폐쇄 = 302
 Ⅲ. 급성천식 = 304
 Ⅳ.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악화 = 306
 Ⅴ. 흡인성 증후군 = 308
 Ⅵ. 대량 객혈 = 309
 Ⅶ. 기흉 = 312
 Ⅷ. 흡입성 폐 손상 = 314
 Ⅸ. 폐색전증 = 317
Chapter 28. 급성호흡곤란증후군 / 고윤석
 Ⅰ. 폐부종의 분류 = 323
 Ⅱ.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 = 323
 Ⅲ.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발생의 원인 = 324
 Ⅳ. 병태생리 = 324
 Ⅴ. 조직학적 변화 및 임상경과 = 325
 Ⅵ. 방사선학적 소견 = 326
 Ⅶ. 진단 = 327
 Ⅷ. 치료 = 327
 Ⅸ. 합병증 = 330
 Ⅹ. 예후 = 330
Chapter 29. 산소요법 / 임동건
 Ⅰ. 산소화 과정 - 호흡 가스 교환 = 331
 Ⅱ. 저산소혈증의 원인 = 334
 Ⅲ. 산소투여 방법 = 335
 Ⅳ. 산소요법 평가 = 338
 Ⅴ. 산소요법의 부작용 = 338
Chapter 30. 양압 환기의 생리적 효과 / 유철규
 Ⅰ. 폐에 미치는 영향 = 343
 Ⅱ. 폐외 장기에 미치는 영향 = 352
Chapter 31. 기계환기 / 고신옥
 Ⅰ. 역사와 역학 = 359
 Ⅱ. 구동 양식 = 359
 Ⅲ. 환기보조 시작과 유지 = 366
 Ⅳ. 환기보조 동안의 감시 = 368
 Ⅴ. 환기보조 부작용 = 370
 Ⅵ. 환기보조에서의 이탈 = 371
 Ⅶ. 기계환기기 구조 = 372
Chapter 32. 비침습적 양압 환기법 / 임채만
 Ⅰ. 비침습적 환기법의 장단점 = 375
 Ⅱ. 마스크의 종류 = 375
 Ⅲ. 비침습적 환기법이 가능한 인공호흡기 = 376
 Ⅳ. 비침습적 환기법의 적응증 = 376
 Ⅴ. 비침습적 환기법의 요건 = 378
 Ⅵ. 비침습적 환기법의 시행 = 379
Chapter 33. 새로운 환기법 / 이국현
 Ⅰ. 고빈도환기 = 383
 Ⅱ. 체외막형산소섭취 = 385
 Ⅲ. 기관내 통기 및 기관내폐환기법 = 386
Chapter 34. 기계환기 중 보조요법 / 손장원
 Ⅰ. 헬리옥스 흡입 치료 = 389
 Ⅱ. 일산화 질소 흡입 = 390
 Ⅲ. 복와위 = 391
 Ⅳ. 폐포 동원술 = 392
Chapter 35.소아의 기계환기 / 김희수
 Ⅰ. 소아의 급성폐손상 = 395
 Ⅱ. 소아 급성폐질환의 인공호흡 = 396
 Ⅲ. 비침습 양압환기법 = 401
 Ⅳ. 고빈도환기법 = 402
 Ⅴ. 기타 방법 = 404
 Ⅵ. 특수상황에서 호흡보조 = 406
 Ⅶ. 소아 기계환기의 미래 = 408
Chapter 36. 쇼크의 진단과 치료 / 나성원
 Ⅰ. 분류 = 409
 Ⅱ. 저혈량성 쇼크 = 410
 Ⅲ. 진단 = 411
 Ⅳ. 치료 = 412
 Ⅴ. 요약 = 415
Chapter 37. 패혈증과 패혈쇼크 / 홍상범
 Ⅰ. 역학 및 정의 = 417
 Ⅱ. 기전 및 원인 = 417
 Ⅲ. 분류 및 임상 양상 = 418
 Ⅳ. 진단 및 감시 = 419
 Ⅴ. 치료 = 419
Chapter 38. 파종혈관내응고증 / 곽상현
 Ⅰ. 정의 = 423
 Ⅱ. 병태생리 = 423
Chapter 39. 중증폐렴과 항생제 선택 / 정기석
 Ⅰ. 중증폐렴의 정의 = 427
 Ⅱ. 주요 원인균 = 428
 Ⅲ. 항생제의 선택 = 430
 Ⅳ. 치료효과 판정 = 435
Chapter 40. 기구 관련 감염 / 김효열
 Ⅰ.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 439
 Ⅱ.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 448
Chapter 41.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 최상호
 Ⅰ. 역학 = 459
 Ⅱ. 발병기전 = 459
 Ⅲ. 임상양상 = 460
 Ⅳ. 진단 = 460
 Ⅴ. 치료 = 462
 Ⅵ. 예방 = 465
Chapter 42. 신부전증 / 장재원
 Ⅰ. 임상적 의의와 원인 = 469
 Ⅱ. 진단 = 471
 Ⅲ. 치료 = 472
 Ⅳ. 혈액투석 = 474
 Ⅴ. 지속성 신대체 용법 = 475
 Ⅵ. 맺음말 = 476
Chapter 43. 급성간부전증 / 윤승규
 Ⅰ. 정의 = 477
 Ⅱ. 원인 및 병인 = 477
 Ⅲ. 임상적 특징 = 479
 Ⅳ. 진단 = 481
 Ⅴ. 치료 = 482
 Ⅵ. 예후 = 487
 Ⅶ. 맺음말 = 488
Chapter 44. 위장관 부전증 / 정훈용
 Ⅰ. 중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급성 복증 = 491
 Ⅱ. 급성 췌장염 = 492
 Ⅲ. 중환자에서의 위장관 출혈 = 493
Chapter 45. 급성대사성 장애 / 서지영
 Ⅰ. 중환자실에서 접할 수 있는 고혈당과 연관된 문제 = 495
 Ⅱ. 중환자에서 부신 기능부전 = 498
 Ⅲ. 갑상선 기능 장애 = 500
Chapter 46. 경련, 두개내압상승 및 대사성 뇌질환 / 김재문
 Ⅰ. 경련 = 505
 Ⅱ. 두개내압상승 = 508
 Ⅲ. 대사이상 = 511
Chapter 47. 급성기 뇌경색 / 차재관
 Ⅰ. 뇌경색의 분류 = 517
 Ⅱ. 뇌허혈에 의한 뇌조직의 변화 = 519
 Ⅲ. 급성기 뇌경색의 진단 = 520
 Ⅳ. 급성기 뇌경색의 치료 = 523
Chapter 48. 두부 및 척수손상 / 황금
 Ⅰ. 척수손상 = 533
 Ⅱ. 두부손상 = 546
Chapter 49. 출혈성 뇌졸중 / 성재훈
 Ⅰ. 뇌출혈의 진단적 접근 = 557
 Ⅱ. 고혈압성 뇌출혈의 발생 부위별 신경학적 결손 = 559
 Ⅲ. 고혈압성 뇌출혈의 치료 = 563
 Ⅳ. 기타 이차성 뇌실질내 출혈의 특징 = 565
 Ⅴ.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뇌 지주막하 출혈 = 569
Chapter 50. 뇌 손상 환자의 뇌 보호 전략 / 김해규
 Ⅰ. 뇌 손상의 진단 = 573
 Ⅱ. 뇌 손상환자의 관리 = 574
Chapter 51. 뇌사 진단과 뇌사 장기공여자 관리 / 고신옥
 Ⅰ. 뇌사 진단 = 579
 Ⅱ. 뇌사 장기공여자 관리 = 583
Chapter 52. 수술 전후 환자관리 / 권재영
 Ⅰ. 고위험군의 수술 전후 관리 = 591
 Ⅱ. 중환자실에서 고위험 수술환자의 관리 = 598
 Ⅲ. 수술 후 통증관리 = 599
Chapter 53. 장기이식환자 관리 / 서경석
 Ⅰ. 면역억제요법 = 603
 Ⅱ. 신이식 환자 관리 = 605
 Ⅲ. 췌장 이식환자 관리 = 605
 Ⅳ. 간이식 환자의 관리 = 606
 Ⅴ. 심장 이식환자 관리 = 607
 Ⅵ. 이식 후 감염 관리 = 608
Chapter 54. 임산부의 중증 질환 / 권자영
 Ⅰ. 임신 중 생리 변화 = 611
 Ⅱ. 임신 중 고혈압성 질환 = 612
 Ⅲ. HELLP 증후군 = 614
 Ⅳ. 주산기 심근증 = 615
 Ⅴ. 혈전성 질환 = 616
Chapter 55. 중독 / 오범진
 Ⅰ. 중독의 역학 = 619
 Ⅱ. 중독 환자의 진단과 처지 = 620
 Ⅲ. 알코올 중독 = 627
 Ⅳ. 파라캇 중독 = 629
 Ⅴ. 유기인산염 살충제 중독 = 631
 Ⅵ. 해독제 = 635
찾아보기 = 63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Wood, Alex M. (2022)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