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16n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597127 | |
005 | 20121005143320 | |
007 | ta | |
008 | 100604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2006767 ▼g 93510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6.12 ▼2 22 |
085 | ▼a 616.12 ▼2 DDCK | |
090 | ▼a 616.12 ▼b 2010z1 | |
100 | 1 | ▼a 高階經和, ▼e 1929- |
245 | 1 0 | ▼a 심장병의 청취법ㆍ대화법ㆍ진찰법 : ▼b 증례로 배우는 심장병진단의 접근 / ▼d 타카시나 츠네카츠 저 ; ▼e 권혁문, ▼e 이병권 역 |
246 | 1 9 | ▼a 心臟病の診かた, 聽きかた, 話しかた : ▼b 症例で學ぶ診斷へのアプロ―チ |
246 | 3 | ▼a Shinzobyo no mikata kikikata hanashikata : ▼b shorei de manabu shindan eno apurochi |
260 | ▼a 서울 : ▼b 가본의학, ▼c 2010 | |
300 | ▼a 218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부록: 심장주기에 있어서의 좌심계와 우심계의 순환 동태 | |
504 | ▼a 참고문헌(p. 210)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권혁문, ▼e 역 |
700 | 1 | ▼a 이병권, ▼e 역 |
900 | 1 0 | ▼a 타카시나 츠네카츠,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6.12 2010z1 | 등록번호 1310374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임상에서 환자를 대할 때,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는데 있어서 말이나 행동으로, 또는 몸에서 나는 소리로하게 된다. 「일상어(spoken language)」라 하여 환자가 말로 표현하는 것, 「신체어(body language)」라 하여 행동이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것, 마지막으로 「장기어(organ language)」라 하여 청진을 포함한진찰을 할 때 각 장기에서 들리는 것, 등의 3가지 「임상의 언어(clinical language)」로 환자와 대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학생 또는 전공의와의 실제 대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풀어나가고 있기 때문에 임상현장의 경험을 선배로부터 듣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유도하고 있다. 임상 심장학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처음 이 책의 번역 감수를 의뢰받았을 때, 목차만을 보고는 다른 의학 교과서와 별 다른 점을 알 수 없었으나, 내용을 하나하나 읽어 갈수록 심장학에 관한 임상을 시작하는 의과 대학 학생, 전공의, 또는 전임의들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실용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일반인들, 혹은 자기 병과 관련된 환자가 다소 전문적인 상식을 넓히려는 의지가 있다면 읽기를 권유해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심장학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의료기기의 발달에 힘입어 과거 20여년전까지만 해도 청진기에 의존하던 시절에서 현재는 다양한 전문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사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의료장비의 발달은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주지만 일차 의료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불필요한 검사가 과중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의료비용이 과도히 상승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더불어 의사가 환자를 대할 때 기본적인 병력정취나 진찰이 경시되는 경향이 있는 현실입니다.
임상에서 환자를 대할 때,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는데 있어서 말이나 행동으로, 또는 몸에서 나는 소리로하게 됩니다. 이 책은 바로 그 부분을 강조하고 있으며, 환자와의 대화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일상어(spoken language)」라 하여 환자가 말로 표현하는 것, 「신체어(body language)」라 하여 행동이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것, 마지막으로 「장기어(organ language)」라 하여 청진을 포함한진찰을 할 때 각 장기에서 들리는 것, 등의 3가지 「임상의 언어(clinical language)」로 환자와 대화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임상 일선에서도 이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다소 경시되는 것 같아 아쉬운 바가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학생 또는 전공의와의 실제 대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풀어나가고 있기 때문에 임상현장의 경험을 선배로부터 듣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임상 심장학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되는 이유입니다.
「장기어」라고 표현된 심장 청진 소견 중 심장음과 심장잡음은 영문으로 그 소리를 표현했는데, 94~9페이지에 「심장음성학」이라 하여 참고 자료를 두었으며 음의 강하고 약함을 대문자와 소문자로 음의 길고 짧음을 같은 문자의 반복횟수로 표현하였습니다. 일본어와 우리말의 발음법에 차이가 있어 정확히 그 소리의 느낌이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참고하는 정도로 읽으면 될 것 같고, 임상현장에서 직접 청진했던 소견과 비교하면서 그 경험을 축적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하게 되면 매우 유익할 것입니다.
번역에 있어 어색한 부분은 될 수 있으면 읽기 편하도록 변형하였고, 외래어의 경우도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외래어 표기는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그대로 두었습니다. 일본 의사에 의해 저술된 책이라 일본 문화적인 것이 있기는 하지만, 생활과 식사 문화가 현대화 및 서구화되어지는 과정이 유사하다고 여겨져 우리나라에 유추하여 적용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고 생각되어 우리나라에서 저술된 책처럼 번안하지는 않았고 원문에 충실하려 하였습니다. 독자들께서 이 점 널리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몇 가지 진단 및 치료 권고안이 너무 오래된 것은 최근 것으로 바꾸어 실었습니다.
타나시나 츠네카즈(高階經和) 선생과는 개인적 친분관계는 없지만 일본 심장학계의 원로로 임상의학은물론 의학 교육과 연구에 탁월한 열정이 있는 사람으로 생각되며, 이 책을 소개한 가본의학서적의 이석희 사장님과 번역 교정에 도움을 준 편집디자이너 김도연 씨와 윤봉현 씨에게 감사를 표하는 바이고, 모쪼록 이 책을 읽는 모든 분들께 임상 심장학의 기본적인 틀을 잡는데 다소간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10년 1월
역자 권혁문/이병권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1장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16세 남자 = 2 증례 = 2 진단 문답 - 원인은 무엇인가? = 2 신체 소견 = 2 진단 문답 - 짐작되는 질환은? = 4 제2장 고혈압으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82세 남성 = 8 증례 = 8 진단 문답 - 제 Ⅳ 심음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 = 8 심전도의 소견 = 8 진단 문답 - 심전도 소견에서 알 수 있는 것 = 10 그 후의 대처 = 10 고혈압과 대사증후군 = 12 혈압은 무엇을 나타내고 있을까? = 12 고혈압의 기준은? = 14 혈압은 어떻게 변동될까? = 14 고혈압은 어떤 원인으로 일어날까? = 16 혈압은 연령에 따라 함께 높아질까? = 16 본태성 고혈압의 병태 생리 = 18 고혈압 긴급증(응급증)이란? = 20 고혈압의 발생 빈도와 호발연령 = 20 고혈압의 증상은? = 20 고혈압의 치료법은? = 22 이차성 고혈압은? = 24 신장 혈관성 고혈압의 병태 생리 = 26 갈색 세포종 = 30 고혈압의 일상생활에서 주의점과 치료법은? = 30 제3장 당뇨병 및 고혈압으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49세 남성 = 34 증례 = 34 과거의 병력 = 34 신체 소견 = 34 진단 문답 - 적절한 치료는? = 34 치료 경과 = 34 진단 문답 - 혈압약에 의한 조절 = 36 그 후의 경과 = 36 진단 문답 - 수술 후 치료의 주의점은? = 36 허혈성 심장질환과 동맥경화성 심장질환은 같은 것인가? = 38 동맥경화는 연령과 함께 진행될까? = 38 고지혈증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 40 관동맥 순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 42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같은 질환인가? = 42 허혈성 심장질환의 증상이란? = 44 급성관동맥증후군과 어떤 관계일까? = 44 관동맥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인자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 46 심근경색의 합병증 = 48 협심증의 발작시에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가? = 54 갑작스런 심근경색 발생의 위험성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 = 54 관동맥 질환의 최근 치료법 = 54 급성기의 치료 = 56 제4장 부정맥으로 내원한 60세 여성 = 60 증례 = 60 진단 문답 = 60 그 후의 경과 = 62 진단 문답 = 62 생각치 못한 결과 = 62 진단 문답 -대화의 중요성 = 64 진단 문답 - 심장 신경증의 종류 = 64 심장 신경증의 증상 = 64 심장 신경증의 유발 요인과 치료 = 66 제5장 흉부 압박감과 두경감을 호소하는 65세 여성 = 70 증례 = 70 진단 문답 = 70 신체 소견 = 70 진단 문답 = 70 그 후의 경과 = 72 진단 문답 = 72 심장 판막증의 원인 = 72 류머티즘열의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74 승모판 협착증 = 76 승모판 폐쇄부전 = 78 승모판 일탈 = 80 삼첨판 폐쇄부전 = 82 대동맥판 폐쇄부전 = 84 대동맥판 협착 = 86 류머티즘열의 자각 증상 = 86 심장 판막증의 재발 예방과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 86 류머티즘열의 재연 방지에 대한 주의점 = 88 심장 판막증의 수술 = 88 제6장 건강 진단으로 심전도의 이상이 지적된 60세 남성 = 96 증례 = 96 신체 소견 = 96 진단 문답 - 소견으로 알 수 있는 것 = 96 그 후의 경과 = 96 심근증은 도대체 어떤 질환인가? = 98 비후성 심근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 98 확장성 심근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 102 심근염이란 = 102 심근증은 어떤 증상이 생기는가? = 104 심근증이라고 진단되었을 경우의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 106 심근증의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06 제7장 심실 중격 결손이라고 진단된 65세 남성 = 110 증례 = 110 진단 문답 = 110 신체 소견 = 110 진단 문답 = 110 검사 결과 = 112 진단 문답 = 112 임신과 선천성 심장질환 = 112 사지의 발육 이상과 선천성 심장질환의 관계 = 114 흔히 볼 수 있는 선천성 심장질환 = 114 심방 중격 결손 = 116 심실 중격 결손 = 120 동맥관 개존 = 122 대동맥 축착 = 126 폐동맥 협착 = 128 곧바로 진단ㆍ치료를 필요로 하는 유아의 증상 = 132 유아기 이후의 주의점과 증상 = 132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의 적응 = 134 제8장 두근거림과 빈맥을 호소하는 55세 여성 = 136 증례 = 136 진단 문답 - 어떤 질환을 생각할 수 있을까? = 136 그 후의 경과 = 136 진단 문답 - 치료의 포인트 = 136 부정맥은 왜 발생하는가 = 138 심방ㆍ심실 기외수축 = 138 방실접합부에서의 회귀(re-entry) = 140 심방 조동ㆍ심방 세동 = 142 방실 블록 = 146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 146 동기능 부전 증후군(SSS) = 148 전해질 장해 = 152 제9장 코의 폐색감(코막힘)과 기침을 호소하는 70세 남성 = 154 증례 = 154 신체 소견 = 154 진단 문답 - 소견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을까 = 154 그 후의 경과 = 154 폐성심을 일으키는 원인 = 156 폐성심은 어떻게 진단할까 = 160 폐성심의 치료와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 162 제10장 만성 울혈성 심부전 치료 중의 65세 여성 = 166 증례 = 166 신체 소견 = 166 진단 문답 - 소견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을까? = 166 치료와 경과 = 168 진단 문답 - 수술의 적응증 = 168 심부전이라는 것은 어떤 상태인가? = 168 급성 좌심실 부전 = 170 좌심실 부전을 일으키는 원인 = 172 좌심실 부전의 증상 = 176 우심실 부전 = 178 양실 부전의 원인 = 178 심부전에 대한 치료법 = 178 제11장 날카로운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43세 여성 = 182 증례 = 182 진단 문답 - 어떤 질환을 생각할 수 있을까? = 182 그 후의 병력 = 184 신체 소견 = 184 그 후의 경과 = 186 감염성 심질환이란 어떤 것인가? = 188 심막 질환이란 어떤 질환인가? = 190 빈혈성 심질환이란 어떤 것인가? = 192 갑상선 기능항진에 의한 심질환 = 192 증례 = 192 진단 문답 - 갑상선의 기능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 194 그 후의 경과 = 194 진단 문답 - 어떤 치료가 좋았던 것일까? = 194 심질환의 여성은 임신할 수 없는 것일까? = 196 심장에 종양은 생길 수 있을까? = 196 제12장 생활습관과 심질환 = 198 식사 요법은 왜 중요한가? = 200 일식은 세계에서 최고의 레시피입니다 = 202 부록 - 심장주기에 있어서의 좌심계와 우심계의 순환 동태 = 206 참고 문헌 = 210 집필 후기 = 211 저자 소개 = 212 찾아보기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