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5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594628 | |
005 | 20101202164722 | |
007 | ta | |
008 | 100519s2010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6209416 ▼g 02060 | |
035 | ▼a (KERIS)BIB000011998888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324.7209519 ▼2 22 |
085 | ▼a 324.720953 ▼2 DDCK | |
090 | ▼a 324.720953 ▼b 2010 | |
100 | 1 | ▼a 이광재, ▼d 1964- ▼0 AUTH(211009)10072 |
245 | 1 0 | ▼a 이오공감 매니페스토 = ▼x Manifesto : ▼b 6ㆍ2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작성매뉴얼 / ▼d 이광재 지음 |
260 | ▼a 서울 : ▼b 코리아매니페스토, ▼c 2010 | |
300 | ▼a 309 p. : ▼b 삽도 ; ▼c 23 cm | |
740 | ▼a 이오공감 매니페스토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115814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115814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512876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115814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115814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720953 2010 | Accession No. 1512876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매니페스토 관련법으로 치러지는 최초 전국 선거를 위해 한국매페스토 실천본부 이광재 사무처장이 쓴 매니페스토 작성법. 제목에서 이오(理誤)는 매니페스토를 바르게 이해하자는 뜻이다. 또 공감(共感)이라는 말은 특별히 민선5기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후보자들에게 있어, 지역의 상황을 알고 주민의 마음에 공감하는 매니페스토가 힘이 있다는 것을 전달해준다.
저자는 덧붙여 매니페스토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Ⅷ장. 매니페스토 만들기를 위한 10대 제언’에서는 후보자들이 공약 작성에 앞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열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리고 ‘Ⅸ장. 매니페스토 작성 시트’에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작성을 위한 순서와 툴(tool)을 제공 한다.
한국의 매니페스토 운동은 해외 사례와는 다르게 시민의 주도로 도입되었다. 이는 ‘공약’과 ‘이행’이라는 두 가지 도구를 통해, 신뢰 사회를 구축하자는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는 운동이다.
이번 민선5기 지방선거는 매니페스토 관련법으로 치러지는 최초의 전국선거다. 그만큼 국민과 정치권 모두가 이 운동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역사가 짧은 만큼 매니페스토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고 그에 대한 사례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단지 정치에만 머무르지 않을 매니페스토 운동을 인식시키고, 공약을 만들어 나갈 정치인 및 후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국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이광재 사무처장이 펜을 들었다.
「이오공감(理誤共感) 매니페스토 만들기」는 매니페스토를 작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일종의 매뉴얼이라고 볼 수 있다. 제목에서 이오(理誤)는 매니페스토를 바르게 이해하자는 뜻이다. 아직까지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고, 매니페스토가 정치적인 부분에만 국한된다고 생각하는 등의 오해가 많다. 그래서 책의 초입에서는 매니페스토가 무엇이며, 우리의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이것이 왜 필요한지 설명하고 있다.
또 공감(共感)이라는 말은 특별히 민선5기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후보자들에게 있어, 지역의 상황을 알고 주민의 마음에 공감하는 매니페스토가 힘이 있다는 것을 전달해준다. 구체적인 매니페스토 작성 방법에 앞서 후보자가 생각해야 할 핵심은 바로 이것이다. 매니페스토 관련법이 적용된 선거는 이미지 선거가 아닌 활자 선거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이제 주민들의 마음을 사려면 제대로 된 정책을 가지고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출마하려는 지역의 상황과 형편을 알고, 그곳의 주민들의 삶을 이해할 때 진정한 매니페스토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저자는 그것에 덧붙여 매니페스토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Ⅷ장. 매니페스토 만들기를 위한 10대 제언’에서는 후보자들이 공약 작성에 앞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열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리고 ‘Ⅸ장. 매니페스토 작성 시트’에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작성을 위한 순서와 툴(tool)을 제공 한다.
본 저서가 민선5기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후보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광재 사무처장이 소개한 해외와 국내의 매니페스토 선거 사례를 분석하여 최적의 정책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출판사의 입장에서, 우리가 발간하는 이 책을 통해 성숙한 선거 문화가 뿌리를 내리고 신뢰가 바탕이 된 사회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바라마지않는다.
목 차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광재(지은이)
추위와 가난한 마음을 이기고 온다는 3월 새벽녘,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에서 태어났다. 효창동, 공덕동, 서계동 사이 만리시장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남대문시장에서 청과물 도매상을 하던 아버지가 파산함에 따라 초등학교를 다섯 번이나 옮겨 다니기도 했다. 지금은 종로구 현대그룹 계동 사옥이 들어선 자리에 있던 휘문중학교에 입학했지만, 강남 개발 당시 명문고 강남 강제 이전 정책으로 졸업은 강남구 대치동에서 해야 했다. 고등학교는 북아현동에 소재한 한성고등학교를 다녔고, 대학은 성북구 정릉에 있는 국민대 무역학과를 다녔다. 중학교 시절부터 대학까지는 내부순환도로 밑에 있는 모래내 주변 판자촌에서 살았다. 그마저도 셋방을 전전하거나 무허가 건물에 살다가 강제철거를 당하는 등, 몇 번의 이사를 했는지 세기조차 힘들 정도였다. 어린 시절 가난 때문에 겪은 열등감은 그 어딘가에 생체학적으로 ‘각인’되었을 것이다. 1980년대 대학을 다니면서 했던 방황과 고뇌는 그 상흔일지도 모른다. 가난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가 지금까지 시민단체에서 일하게 하는 평생의 족쇄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그곳에서 평생의 벗들을 만났다. 유명 정치인이 된 짝꿍, 산부인과 의사가 된 약국집 딸, 공기업 법률팀장인 기름집 아들, 벤처 1세대인 신발가게 아들, 일본 야쿠자가 되었다는 통장 아들, 베이스 기타리스트로 활동 중인 배추가게 아들 등. 어렸던 우리들이 나름대로 힘을 가졌는데, 내가 보고 있는 세상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 이 불편함이 노동부 일자리 공시제 평가위원, 한국능률협회 자문위원,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외래교수 등으로 활동하는 것은 청년들을 가슴에 담고 살아가는 이유이다. 현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으로 살아가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제Ⅰ장항아리장사 이야기 20| 1. 민선5기 지방선거는 23| 2. 항아리를 빚고 거래하고, 사용하는 것과 같다 25| 3. 역사와 문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27| 4. 기초 작업 튼튼히 하고 잘 익혀야 한다 30| 5. 소소한 대화, 주민소통이 우선이다 33| 6. 항아리장사가 바라본 여의도 풍경 제Ⅱ장매니페스토의 이해 36| 1. 트위터(Twitter)와 마음쓰기(Mindfulness) 39| 2. 외국사례로 살펴보는 생활, 문화 매니페스토 43| 3. 매니페스토는 재즈를 닮았다 45| 4. 매니페스토의 어원과 실체, 그리고 구분점 49| 5. 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 제Ⅲ장영ㆍ미ㆍ일ㆍ프 매니페스토 52| 1. 영국의 매니페스토 55| 2. 미국의 플랫폼과 정책정당대회 58| 3. 일본, 54년만의 정권교체 원동력은 매니페스토 61| 4. 프랑스 사르코지의 ‘나의 계획(mon projet)’과 루아얄의 ‘대선협약(pacte presidentiel)’ 제Ⅳ장우리나라 매니페스토의 도입과 로컬매니페스토 활동현황 64| 1. 매니페스토의 도입 69| 2. 민선4기 공약이행 평가활동 74| 3.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경진대회 76| 4. 매니페스토운동 이후의 정치·사회적 변화들 제Ⅴ장한나라당과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매니페스토, 안티테제의 한계 80| 1. 한나라당의 비전대회(정책전당대회)와 대선후보 선출과정, 그리고 매니페스토 84| 2. 대통합민주신당의 후보 선출과정과 대선 매니페스토 87| 3. 글로벌 선거경향과 Anti테제의 한계, 그리고 매니페스토 제Ⅵ장민선5기 동시지방선거의 특징과 사회 경향 92| 1. 2010 지방선거의 특징 96| 2. ‘나 홀로 볼링(Bowling Alone)’과 ‘가라오케 자본주의(Karaoke Capitalism)’ 98| 3. 소셜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 제Ⅶ장매니페스토 뜯어보기 102| 1. 2009년도 일본 중의원선거 민주당 매니페스토 구성 살펴보기 106| 2. 마쓰자와 시게후미...(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