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우리가 만난)한용운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광식 , 止虛.
Title Statement
(우리가 만난)한용운 / 김광식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참글세상 ,   2010.  
Physical Medium
317 p. : 삽도, 도판 ; 23 cm.
ISBN
9788996303831
주제명(개인명)
한용운   韓龍雲 ,   萬海 ,   1879-1944  
000 00649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94589
005 20100805064628
007 ta
008 100519s2010 ulkaf 000c dkor
020 ▼a 9788996303831
035 ▼a (KERIS)BIB000012004269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895.713 ▼a 951.903092 ▼2 22
085 ▼a 897.15 ▼2 DDCK
090 ▼a 897.15 ▼b 한용운 2010
100 1 ▼a 김광식 , ▼c 止虛. ▼0 AUTH(211009)90471
245 2 0 ▼a (우리가 만난)한용운 / ▼d 김광식 지음.
260 ▼a 서울 : ▼b 참글세상 , ▼c 2010.
300 ▼a 317 p. : ▼b 삽도, 도판 ; ▼c 23 cm.
600 1 4 ▼a 한용운 ▼g 韓龍雲 , ▼c 萬海 , ▼d 1879-1944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2010 Accession No. 111581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15 한용운 2010 Accession No. 1115813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만해 한용운의 알려지지 않았던, 숨겨져 있었던 여러 인연과 일화들을 소개한다. 1부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진 자료들을 담았다. 2부에는 만해 한용운과의 인연이 있는 만공, 박한영, 김경봉, 이춘성, 효당, 강석주, 김법린, 김관호 등과의 인연 이야기를 담았고, 마지막 3부에서는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일화들을 소개한다.

이 책은 기존의 역사적이고 불교적인 한용운과의 만남에서 다시 새로운 한용운을 만나고자 하는 노력이다.
본 저술은 필자가 만해(卍海) 한용운(韓龍雲) 연구를 하면서 기왕에 발표한 만해의 대중적인 글과 본서 발간에 즈음하여 만해의 일화를 정리한 것을 함께 묶은 것이다. 전문적, 학술적인 글들은 아니지만 만해 한용운의 연구 및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여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그리고 만해 한용운의 사진, 초상화, 유화 등도 집약하여 보았다. 이런 자료도 한용운 문화를 심화하여 이해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그래서 제1부에서는 사진으로 만나는 한용운을 통해 그 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진 자료들을 집성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모습이 아닌 새로운 모습의 한용운을 만날 수 있도록 하였다.
제2부 인연으로 만나는 한용운에서는 만해 한용운과의 인연이 있는 만공, 박한영, 김경봉, 이춘성, 효당, 강석주, 김법린, 김관호 등과의 인연이야기를 통해 그 시절 민족동지로서의 어려움과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리고 제3부 일화로 만나는 한용운에서는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만해의 성격(공인, 문화, 신비 및 전승)을 철저하게 살피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만해에 관련된 모든 자료, 내용, 전승, 변용 등을 총체적으로 집약하고, 분석할 필요성을 만난다. 그래서 필자는 본서에 수록된 한용운의 사진, 한용운과 수많은 인연을 가졌던 인물, 한용운에 대한 다양한 일화와 소문들은 이 땅에 살았던,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역사이자 문화로 본다. 본서가 그에 대한 답변을 모두 할 수는 없지만 그 방향에 하나의 가늠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다행이라 하겠다.

만해 한용운의 알려지지 않았던, 숨겨져 있었던 여러 인연이야기와 아름답고 소중한 일화를 소개한 책이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일성한다.

만해 한용운은 공인이다. 만해가 공인이라 함은 그의 삶, 역사, 고뇌, 사상, 지향 등이 그의 개인 역사에서 머물 수가 없음을 의미한다.
만해 한용운은 문화이다. 만해가 문화라 함은 그의 생애와 사상, 그의 영향 등이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문화적 현상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만해가 상징하는 독립운동, 문학, 불교개혁은 19~20세기에 나타난 특별한 가치이다.
만해 한용운은 신비이고, 전승이다. 만해가 신비이고, 전승이라 함은 그가 걸어갔던, 그의 영향을 받았던 내용들이 신화적인 내용을 띠고, 계속하여 변용됨을 말한다.

이러한 만해 한용운에 대한 진정한 연구는 바로 그가 남긴 저술뿐만 아니라 사진, 그리고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서도 올바로 알아야 하는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광석(지은이)

법명 만암(卍庵), 호 지허(止虛). 건국대 사학과를 졸업하고(문학박사), 독립기념관 책임연구원, 부천대 초빙교수, 조계종 불교사연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는 백담사 만해마을 연구실장, 동국대 연구교수이다. <한국 근대불교사 연구>,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민족불교의 이상과 현실>, <만해 한용운 평전>, <그리운 스승 한암스님>, <춘성> 등 근현대불교 관련분야의 저서가 20여 권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다시 한용운을 생각한다 = 5
제1부 사진으로 만나는 한용운
제2부 인연으로 만나는 한용운
 민족불교로 독립자존의 길을 개척하다 - 만해와 만공 = 35
 접점과 갈림길, 그리고 절묘한 이중주 - 만해와 박한영 = 51
 사제이자 동지인 아름다운 인연 - 한용운과 김경봉 = 68
 생활선의 계승과 구현 - 만해와 이춘성 = 90
 아름다운 추억, 역사가 되다 - 만해와 효당, 그리고 다솔사 = 110
 천진보살의 평생의 정신적 사표 - 만해와 강석주 = 124
 불교청년들을 단련시킨 용광로 - 한용운과 김법린 = 155
 지절시인(志節詩人)의 표상 - 한용운과 조지훈 = 176
 암흑기 청년의 삶의 나침반 - 한용운과 김관호 = 193
 만해 할아버지를 이야기합니다 - 한용운 손자 탐방기 = 210
제3부 일화로 만나는 한용운   
 다부진 몸, 당찬 기상 = 239
 만해가 스님이 된 까닭은 = 241
 만해가 일본에서 흘린 눈물 = 243
 만해의 모험, 세계일주 = 245
 마취도 않고 수술을 하다 = 247
 죽을 장소를 찾을 줄 알아야 = 249
 공약삼장은 내가 지어야 하겠소 = 250
 평생을 간직한 연설 = 252
 만해의 눈물 = 254
 재판정에서 할 말을 다하다 = 255
 만해가 똥통을 던진 사연 = 257
 만해는 깡패이다 = 259
 마중 받는 인간이 되라 = 261
 우리의 원수는 = 262
 조선의 부채를 팔아라 = 264
 형사를 발로 차 버리다 = 266
 만해는 성병에 걸리지 않았다 = 268
 일본을 불 질러 버리다 = 270
 펜촉이 부러지다 = 271
 어린 시절부터 소신은 움텄다 = 273
 고난의 칼날에 서라 = 275
 청춘이 다시 온다면 = 277
 나를 죽이고 가라 = 279
 낙산사 홍련암에서 파도소리와 맞서다 = 280
 일본말은 필요 없어 = 283
 그건 글자가 아니야 = 284
 호적을 거부한 만해 = 285
 옥중에 던져진 꽃다발 = 287
 세상에서 제일 더러운 것은 = 289 
 심우장은 사랑방 = 291
 만해의 생활, 참선과 취미 = 293
 육당 최남선, 부고장을 보내다 = 295
 춘원, 다시는 오지 마라 = 297
 친일파의 돈, 도로 가져가라 = 298
 카메라를 던지다 = 300
 살아서 돌아오라 = 301
 만해의 아들과 손녀가 북한에 살고 있는 사연 = 306
 만해의 님, 만해의 여인 = 311
 만해가 즐겨 찾은 술, 막걸리 = 314 
 만해의 입적, 타지 않은 치아 = 31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