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46camccc200337 k 4500 | |
001 | 000045594494 | |
005 | 20100805064537 | |
007 | ta | |
008 | 100518s2009 ulkaj AL 001c kor | |
020 | ▼a 9788979868357 | |
020 | 1 | ▼a 9788979868333(세트) |
035 | ▼a (KERIS)BIB000011971165 | |
040 | ▼a 211040 ▼c 211040 ▼d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a chi ▼h chi |
082 | 0 4 | ▼a 320 ▼2 22 |
090 | ▼a 320 ▼b 2009z4 | |
100 | 1 | ▼a 嚴復 , ▼d 1854-1921 |
245 | 1 0 | ▼a 정치학이란 무엇인가 : ▼b 중국의 근대적 정치학의 탄생 / ▼d 옌푸 지음 ; ▼e 양일모 역주. |
246 | 1 9 | ▼a 政治講義 |
260 | ▼a 서울 : ▼b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c 2009. | |
300 | ▼a 290 p. : ▼b 삽도, 연보 ; ▼c 24 cm. | |
440 | 0 0 | ▼a 동아시아 자료총서 ; ▼v 02 |
500 | ▼a 색인 및 부록수록 | |
500 | ▼a 권말에 원문 수록 | |
536 | ▼a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00 | 1 | ▼a 양일모 ▼g 梁一模 , ▼e 역주 |
900 | 1 0 | ▼a Yan, Fu |
900 | 1 0 | ▼a 옌푸 |
940 | ▼a Zheng zhi jiang yi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 2009z4 | Accession No. 1115813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 2009z4 | Accession No. 1115813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청나라 말기의 개혁사상가 옌푸의 <정치강의>를 우리말로 옮겼다.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여 년 전 상하이 기독교청년회(YMCA)에서 옌푸가 직접 강의했던 '정치학 강의'의 강연 원고로, 옌푸는 이 강의에서 정치학은 과학적 방법론에 의거하여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을 수립하려 하였다.
청나라 말기의 개혁사상가 옌푸(嚴復, 1854-1921)의 『정치강의』(1906)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옌푸는 근대 중국을 대표하는 계몽 사상가로, 청일전쟁 이후 서유럽의 학술.사상의 번역에 심혈을 기울여온 지식인이었다.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뿐만 아니라 헉슬리의 관점을 받아들여 중국에 최초로 사회진화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였으며, 당대 중국인 가운데 서양의 언어와 학문에 가장 정통했던 학자였다.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약100여 년 전 상하이 기독교청년회(YMCA)에서 옌푸가 직접 강의했던 ‘정치학 강의’의 강연 원고로, 근대적 의미에서 중국 최초의 정치학 과목의 교과서였다. 그는 이 강의에서 정치학은 과학적 방법론에 의거하여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을 수립하려 하였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정치학이 탄생하는 모습을 여실히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인 것이다.
중국의 근대적 정치학의 탄생
―‘과학으로서의 정치학’
상하이YMCA에서 강의한 <정치학이란 무엇인가>는 중국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처방이라기보다는 바로 정치학의 원리에 대한 탐구였으며, 동시에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와 같은 유교적 정치론과는 방법을 달리하는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정치학을 구축하는 작업이었다.
이 책이 씌어졌던 때는 청나라 조정에서 입헌국가의 실현을 대체할 새로운 중국을 구상하면서 치열한 정치적 논쟁을 펼치고 있던 시기였으며, 또 한편으로는 혁명의 방법을 통해 군주제를 청산하고 공화제를 실시하자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되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옌푸는 입헌군주제인가 아니면 혁명인가 하는 정치적 선택에서 한 걸음 물러나 중국의 현실을 관조하는 견지에서 정치학의 원론을 강의하고자 한 것이다.
그는 첫 강의에서 “내가 강의하고자 하는 것은 정치의 학문[學]이며, 정치의 기술[術]이 아니다.”라고 선언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정치의 학문이라는 것은 대상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격물궁리格物窮理의 탐구 과정이었다. 이에 비해 정치의 기술이란 어떤 일에 대하여 그 대처 방안을 묻는 것으로서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는 과정이었다. 이어서 그는 “정치학이라는 분야는 서양에서 이미 과학이 되어 있다.”라고 강의의 서두에서 분명하게 밝히면서 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기한 ‘과학’은 과학적 연구방법론이었다. 그는 두 번째 강의에서 “진화론적 방법, 역사적 방법, 비교적 방법, 귀납적 방법”에 의거하여 정치학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양의 생물학적 진화론뿐만 아니라 사회진화론을 수용한 그는 정치와 사회를 다루는 학문 또한 과학적 방법론에 입각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중국에서 처음으로 정치학의 과학화를 제창한 것이다. 그는 자신이 번역한 헉슬리의 윤리학이나 스펜서의 사회학을 포함한 서양의 학문 자체가 과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과학적 방법과 태도에 의거한 탐구야말로 진정한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옌푸(지은이)
푸젠성 출신으로 영국 그리니치 해군대학을 수료하고, 푸젠선정학당교사, 북양수사학당 교장, 푸단공학 교장, 안징고등학교 교장, 베이징 대학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 근대 중국을 대표하는 계몽 사상가이며 저작집으로서는 《엄복집》《엄복집 보편》《엄복합집》《엄역명저총간》 등이 있다.
양일모(옮긴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현대한국총서』 1~7, 『옌푸: 중국의 근대성과서양사상』, 『민본과 민주의 개념적 통섭』(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천연론』(공역), 『관념사란 무엇인가』(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한학에서 철학으로-20세기 전환기일본의 유교 연구」,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중국철학사의 탄생―20세기 초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Translating Darwin’s Metaphors in East Asia”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옮긴이 서문 해제 엔푸의 서문 제1회 정치학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제2회 정치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제3회 국가는 어떻게 성립하고 진화해 왔는가 제4회 국가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제5회 민권과 자유란 무엇인가 제6회 정부의 권력과 국민의 자유란 무엇인가 제7회 자치와 다수의 통치는 어떤 관계인가 제8회 전제와 입헌의 차이 및 정치학의 주요 법칙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