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008)국민계정체계

(2008)국민계정체계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편
서명 / 저자사항
(2008)국민계정체계 =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편].
발행사항
서울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2010.  
형태사항
xv, 919 p.(일부접지) ; 30 cm.
ISBN
9788992858250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45594131
005 20220831151821
007 ta
008 100517s2010 ulk 001a korWB
020 ▼a 97889928582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9.3519 ▼2 22
085 ▼a 339.353 ▼2 DDCK
090 ▼a 339.353 ▼b 1971 ▼c 2008
245 2 0 ▼a (2008)국민계정체계 = ▼x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 ▼d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편].
260 ▼a 서울 : ▼b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c 2010.
300 ▼a xv, 919 p.(일부접지) ; ▼c 30 cm.
500 ▼a 색인수록
710 ▼a 한국은행. ▼b 경제통계국, ▼e▼0 AUTH(211009)4197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353 1971 2008 등록번호 111573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
 Ⅰ. 국민계정체계란 무엇인가? = 1
 Ⅱ. SNA의 개념적 요소 = 3
  1. 활동과 거래 = 4
  2. 제도부문 = 5
  3. 계정 및 경제활동의 기록 = 6
 Ⅲ. SNA의 용도 = 11
  1. 경제행위의 모니터링 = 12 
  2. 거시경제의 분석 = 12
  3. 국제비교 = 13
 Ⅳ. SNA의 범위 = 14
  1. 비화폐적 거래 = 14
  2. 생산의 범위 = 16
  3. 소비의 범위 = 19
  4. 자산의 범위 = 19
  5. 국민의 범위 = 20
  6. 최종소비, 중간소비 및 총고정자본형성 = 21
 Ⅴ. 통계의 조정체계로서의 SNA = 24 
  1. 상이한 통계체계 간의 조화 = 24
  2. 거시경제회계를 위한 미시적 자료의 이용 = 25
 Ⅵ. 기업회계와의 연결 = 27
  1. 국제회계기준 = 30
 Ⅶ. SNA 범위의 확대 = 30
 Ⅷ. SNA와 후생 측정치 = 32
  1. 후생 척도로서 지출의 해석 = 32
  2. 무급 서비스와 후생 = 33
  3. 외부사건의 후생에 대한 영향 = 34
  4. 외부효과의 후생에 대한 영향 = 35
  5. 후생에 대한 비경제적 영향 = 35
  6. 후생지표 및 거시경제의 총량치 = 36
제2장 개관 = 37
 Ⅰ. 서론 = 37
  1. 플로와 스톡의 분석 = 38
  2. 플로와 스톡의 기록 = 40
 Ⅱ. SNA의 개념적 요소 = 42
  1. 제도단위와 제도부문 = 42
  2. 거래와 기타플로 = 45
  3. 자산과 부채 = 50
  4. 생산물과 생산단위 = 51
  5. 목적 = 53
 Ⅲ. 회계원칙 = 53
  1. 서론 = 53
  2. 기록시점 = 57
  3. 평가 = 58
  4. 연결 및 순계 처리 = 61
 Ⅳ. 계정 = 62
  1. 서론 = 62
  2. 계정의 분류 = 64
  3. 계정의 통합표시 = 79
  4. 재화서비스계정 = 86
  5. 계정체계의 기타 부분 = 91
 Ⅴ. 통합중심체계와 신축성 = 95
  1. 중심체계의 신축적 적용 = 95
  2. 사회계정행렬의 도입 = 96
  3. 위성계정의 도입 = 97
제3장 스톡, 플로 및 회계원칙 = 99
 Ⅰ. 서론 = 99
  1. 스톡과 플로 = 100
  2. 균형항목 = 101
  3. 스톡과 플로의 분류 = 102
  4. 회계원칙 = 103
 Ⅱ. 스톡 = 105
  1. 편익 = 105
  2. 소유권 = 106
  3. 자산의 정의 = 108
  4. 금융자산과 부채 = 108
  5. 자산의 범위와 분류 = 110
  6. 대차대조표 상의 자산의 유입과 유출 = 112
  7. 자산 범위에서 제외되는 것 = 113
 Ⅲ. 플로 = 114
  1. 거래 = 114
  2. 기타플로 = 129
 Ⅳ. 균형항목 = 132
 Ⅴ. 회계원칙 = 133
  1. 4중기입 회계 = 133
  2. 가치평가 = 135
  3. 기록시점 = 150
  4. 집계, 순계처리 및 연결처리 = 160
제4장 제도단위와 제도부문 = 165
 Ⅰ. 서론 = 165
  1. 제도단위 = 165
  2. 거주성 = 168
  3. 부문 분류와 경제적 행태 = 171
  4. 국내 경제 = 173
  5. 제도부문의 개관 = 174
  6. 하위부문 = 177
  7. 국외부문 = 178
 Ⅱ. SNA에서의 법인기업 = 178
  1. 법인기업의 종류 = 178
  2. 특수한 경우 = 184
  3. 법인기업의 소유권 및 지배 = 190
 Ⅲ. 비영리단체 = 196
  1. 비영리단체의 특성 = 197
  2. 시장생산에 종사하는 비영리단체 = 198
  3. 비시장생산에 종사하는 비영리단체 = 200
 Ⅳ. 비금융법인기업 부문과 하위부문들 = 203
 Ⅴ. 금융법인기업 부문과 하위부문들 = 204
  1. 중앙은행 = 207
  2. 중앙은행을 제외한 예금취급기관 = 207
  3. 단기자금시장펀드 = 208
  4. 비단기자금시장펀드 = 209
  5. 기타 금융중개기관(보험회사와 연금기금 제외) = 209
  6. 금융보조기관 = 210
  7. 전속금융기관 및 대부업체 = 211
  8. 보험회사 = 212
  9. 연금기금 = 212
 Ⅵ. 일반정부와 하위부문들 = 213
  1. 제도단위로서의 정부 = 213
  2. 일반정부부문 = 217
  3. 일반정부의 하위부문 = 217
  4. 하위부문 분류의 대안(代案) = 223
 Ⅶ. 가계부문 = 224
  1. 제도단위로서의 가계 = 224
  2. 가계 내의 비법인기업 = 226
  3. 가계부문의 하위부문 = 227
 Ⅷ. 가계봉사비영리단체 부문 = 229
 Ⅸ. 국외부문 = 231
  1. 국제기구 = 231
  2. 통화동맹의 중앙은행 = 232
제5장 기업, 사업장 및 산업 = 233
 Ⅰ. 서론 = 233
 Ⅱ. 생산활동 = 235
  1. SNA에서의 생산활동 분류 = 236
  2. 주활동과 부차적 활동 = 236
  3. 부수적 활동 = 237
 Ⅲ. 동질적 단위로의 기업 분할 = 238
  1. 생산단위의 유형 = 238
  2. 사업장에 대한 자료와 계정 = 240
  3. 특수 상황에서의 원칙 적용 = 240
 Ⅳ. 부수적 활동 = 244
 Ⅴ. 산업 = 249
  1. 시장생산자, 자가계정생산자, 비시장생산자 = 249
  2. 산업과 생산물 = 250
 Ⅵ. 동질적 생산단위 = 251
제6장 생산계정 = 253
 Ⅰ. 서론 = 253
 Ⅱ. 생산의 개념 = 256
  1. 경제활동으로서의 생산 = 256
  2. 생산범위 = 260
 Ⅲ. 기초가격, 생산자가격, 구매자가격 = 271
  1. 기초가격과 생산자가격 = 272
  2. 구매자가격 = 277
  3. 기초가격, 생산자가격과 구매자가격 - 요약 = 278
 Ⅳ. 부가가치와 GDP = 279
  1. 총 부가가치와 순 부가가치 = 279
  2. 부가각치의 대안적 측정치 = 281
  3. 국내총생산 = 283
  4. 국내생산 = 284
 Ⅴ. 산출물의 측정 = 285
  1. 생산과 산출물 = 285
  2. 기록시점 = 287
  3. 산출물의 평가 = 288
  4. 시장산출물, 자가 최종사용목적 산출물과 비시장산출물 = 289
 Ⅵ. 개별 산업별 산출물 = 305
  1. 서론 = 305
  2. 농림어업 = 306
  3. 기계, 장비 및 건설업 = 307
  4. 운수, 보관업 = 307
  5. 도소매업 = 310
  6. 중앙은행의 산출물 = 312
  7. 보험 및 연금기금을 제외한 금융서비스 = 315
  8. 보험 및 연금기구 관련 금융서비스 = 322
  9. 연구개발 = 330
  10. 원본 및 복사본의 생산 = 331
 Ⅶ. 중간소비 = 332
  1. 중간소비의 범위 = 332
  2. 중간소비의 기록시점과 금액평가 = 334
  3. 중간소비와 피용자보수의 구분 = 335
  4. 중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구분 = 337
  5. 생산자에 제공되는 정부서비스 = 339
  6. 현물사회이전 = 339
  7. 사업협회 서비스 = 340
  8. 외주제작 = 340
  9. 고정자산의 임차 = 340
 Ⅷ. 고정자본소모 = 342
  1. 고정자본소모의 범위 = 342
  2. 고정자본소모와 고정자산 임차 = 344
  3. 고정자본소모의 계산 = 346
  4. 영구재고법 = 347
제7장 소득분배계정 = 351
 Ⅰ. 서론 = 351
  1. 소득발생계정 = 352
  2. 본원소득분배계정 = 358
  3. 기업소득계정 = 362
  4. 기타 본원소득분배계정 = 363
 Ⅱ. 피용자보수 = 366
  1. 피고용자의 정의 = 366
  2. 피용자보수의 구성 = 370
 Ⅲ. 생산 및 수입세 = 382
  1. 생산 및 수입세의 기록 = 382
  2. 생산물세 = 389
  3. 기타생산세 = 394
 Ⅳ. 보조금 = 396
  1. 생산물보조금 = 396
  2. 기타생산보조금 = 399
 Ⅴ. 재산소득 = 399
  1. 재산소득의 정의 = 399
  2. 이자 = 404
  3. 법인기업의 분배소득 = 409
  4. 투자소득 지불금 = 414
  5. 임료 = 417
제8장 소득재분배계정 = 421
 Ⅰ. 서론 = 421
  1. 2차 소득분배계정 = 422
  2. 처분가능소득 = 425
  3. 현물소득재분배계정 = 430
  4. 조정처분가능소득 = 430
 Ⅱ. 경상이전 = 431
  1. 경상이전과 자본이전의 구분 = 434
  2. 이전의 기록방법 = 435
 Ⅲ. 소득, 부 등에 대한 경상세 = 440
  1. 일반조세 = 440
  2. 소득세 = 444
  3. 기타경상세 = 445
 Ⅳ. 사회보험기구 = 447
  1. 사회수혜금의 범위 = 448
  2. 사회보험기구의 조직 = 450
 Ⅴ. 순사회부담금 = 454
  1. 사회부담금의 구성항목 = 457
  2. 고용주의 실제사회부담금 = 457
  3. 고용주의 의제사회부담금 = 457
  4. 가계의 실제사회부담금 = 457
  5. 가계의 추가사회부담금 = 458
 Ⅵ. 사회수혜금(현물사회이전 제외) = 458
  1. 제도 구분 = 458
  2. 사회수혜금의 종류 = 460
  3. 2차 소득분배계정에 기록되는 사회수혜금 = 464
 Ⅶ. 기타 경상이전 = 467
  1. 보험관련 거래 = 467
  2. 일반정부내 경상이전 = 472
  3. 경상적 국제협조 = 473
  4. 잡경상이전 = 473
 Ⅷ. 현물사회이전 = 477
  1. 현물소득재분배계정 = 478
  2. 비거주자 제도단위에 대한 현물사회이전 = 478
제9장 소득사용계정 = 481
 Ⅰ. 서론 = 481
  1. 처분가능소득사용계정 = 487
  2. 조정처분가능소득사용계정 = 487
  3. 두 소득사용계정의 관계 = 489
  4. 연금수령권 증감조정 = 490
  5. 저축 = 491
  6. 저축률의 계산 = 492
 Ⅱ. 재화와 서비스의 지출, 취득 및 소비 = 493
  1. 지출 = 493
  2. 취득 = 494
  3.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 = 495
 Ⅲ. 비화폐 거래액의 간접적 측정 = 497
  1. 물물교환 = 498
  2. 현물소득으로 수취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 = 498
  3. 자가계정으로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 = 499
 Ⅳ. 가계의 최종소비지출 = 500
  1. 서론 = 500
  2. 가계소유 비법인기업의 지출 = 501
  3. 특수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 = 502
  4. 가계 최종소비지출의 분류 = 505
  5. 가계 최종소비지출의 시기 및 평가 = 506
  6. 거주자 및 비거주자 가계의 지출 = 508
 Ⅴ. 가계의 실제최종소비 = 508
 Ⅵ. 일반정부의 소비지출 = 509
  1. 시장 및 비시장 생산자의 산출물에 대한 지출 = 510
  2. 개별적 및 집합적 재화ㆍ서비스에 대한 지출 = 511
 Ⅶ. 일반정부의 실제최종소비 = 515
 Ⅷ. 가계봉사비영리단체의 소비지출 = 516
 Ⅸ. 가계봉사비영리단체의 실제최종소비 = 518
 Ⅹ. 최종소비지출과 실제최종소비(요약) = 519
  1. 최종소비지출 = 519
  2. 실제최종소비 = 519
  3. 국내경제의 최종소비 총액 = 520
제10장 자본계정 = 523
 Ⅰ. 서론 = 523
  1. 소유권과 자산의 정의 = 525
  2. 비금융자산 = 526
  3. 자본계정의 구조 = 529
 Ⅱ. 총자본형성 = 533
  1. 총고정자본형성 = 533
  2. 재고증감 = 561
  3. 귀중품의 취득 및 처분 = 570
 Ⅲ. 고정자본소모 = 572
  1. 소유권 이전비용 = 573
  2. 종결비용 = 574
 Ⅳ. 비생산비금융자산의 취득 및 처분 = 575
  1. 자연자원 = 575
  2. 계약ㆍ리스ㆍ면허권 = 581
  3. 영업권 및 마케팅자산 = 584
 Ⅴ. 자본이전 = 585
  1. 자본이전과 경상이전의 구분 = 585
  2. 현금이전 및 현물이전 = 588
  3. 자본세 = 589
  4. 투자교부금 = 589
  5. 기타 자본이전 = 590
제11장 금융계정 = 593
 Ⅰ. 서론 = 593
  1. 금융자산 및 부채 = 595
  2. 4중기입 회계 = 596
  3. 비금융거래의 대응거래 = 597
  4. 금융자산 및 부채의 교환 = 598
  5. 순대출 = 599
  6. 우발거래 = 601
 Ⅱ. 금융자산과 부채의 거래 = 603
  1. 금융자산과 부채의 분류 = 603
  2. 양도가능성 = 608
  3. 거래의 평가 = 608
  4. 기록 시점 = 609
  5. 순계 및 연결처리 = 611
 Ⅲ. 개별 금융상품의 기록 = 613
  1. 화폐용 금 및 SDRs = 613
  2. 현금통화 및 예금 = 615
  3. 채무증권 = 620
  4. 대출금 = 624
  5. 지분 및 투자펀드주식 = 627
  6. 보험, 연금, 표준보증기구 = 633
  7. 파생금융상품과 스톡옵션 = 636
  8. 기타 수취채권 및 지급채무 = 643
  9. 주석항목 = 644
제12장 자산의 기타증감계정 = 645
 Ⅰ. 서론 = 645
 Ⅱ. 자산량기타증감계정 = 646
  1. 자산량기타증감계정의 기능 = 646
  2. 비거래적 요인에 의한 자산의 출현 및 소멸 = 649
  3. 외부사건이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 = 661
  4. 분류의 변경 = 668
  5. 요약 = 673
 Ⅲ. 재평가계정 = 674
  1. 보유손익의 개념 = 674
  2. 특정 자산에 대한 보유이익 = 683
제13장 대차대조표 = 697
 Ⅰ. 서론 = 697
  1. 대차대조표 = 697
  2. 자산계정 = 699
  3. 대차대조표의 구조 = 700
  4. 자산계정의 구조 = 706
 Ⅱ. 금액평가의 일반원칙 = 708
  1. 시장에서 관측되는 금액 = 710
  2. 거래 누계 및 재평가를 통해 측정한 금액 = 711
  3. 미래수익의 현재가치 = 711
  4. 외화표시 자산 = 711
 Ⅲ. 대차대조표 구성항목 = 712
  1. 생산자산 = 712
  2. 비생산자산 = 717
  3. 금융자산 및 부채 = 720
  4. 순자산 = 731
  5. 주석항목(memorandum items) = 733
제14장 공급사용표와 재화서비스계정 = 735
 Ⅰ. 서론 = 735
  1. 생산물 균형식 = 736
  2. 재화서비스계정 = 737
  3. 공급사용표 = 739
  4. 산업 차원 = 740
  5. 수치 예시 = 741
 Ⅱ. 공급표 = 741
  1. 생산물과 생산단위 = 741
  2. 회계원칙 = 743
  3. 생산 = 743
  4. 수입 = 745
  5. 금액평가 = 748
 Ⅲ. 사용표 = 764
  1. 생산단위의 생산물 사용 = 765
  2. 최종소비목적의 생산물 사용 = 767
  3. 자본형성목적의 생산물 사용 = 770
  4. 수출 = 774
  5. 부가가치의 개요 = 775
  6. 부가가치의 확대 = 776
  7. 다른 변수의 추가 = 777
 Ⅳ. 사용표의 추가설명 = 778
  1. 산업 및 제도부문의 교차분류 = 778
  2. 기초가격 표시 사용표 = 778
  3. 물량기준으로 표시한 사용표 = 784
 Ⅴ. 수치 예시 = 791
  1. 전체 공급사용표 = 791
  2. 마진과 조세 = 792
  3. 기초가격 표시 사용표 = 793
  4. 수입행렬 = 793
제15장 가격 및 물량 측정치 = 801
 Ⅰ. 서론 = 801
  1. 지수이론 = 802
  2. 가격 및 물량의 시계열 = 802
  3. 국제가격 비교 = 803
  4. 추가 정보 = 803
 Ⅱ. 지수이론의 개요 = 804
  1. 수량, 가격 및 금액 = 804
  2. 시점간 가격지수 및 물량지수 = 806
  3. 연쇄지수 = 814
  4. 가격 다양화의 원인 = 825
  5. 시간경과에 따른 품질변화의 측정 = 829
  6. 연쇄지수 편제의 실무적 이점 = 836
 Ⅲ. 국민계정에서 물량측정치의 도출 = 837
  1. 서론 = 837
  2. 가격 디플레이션과 물량 재평가 = 838
  3. 사용 가능한 물가지수 = 840
  4. GDP 물량 측정의 기반이 되는 공급사용표 = 841
  5. GDP의 물량측정 = 842
  6. 지출 GDP의 물량 추정치 = 851
  7. 고정자산 스톡 및 고정자본소모의 물량과 가격 = 858
  8. 부가가치의 구성 = 860
  9. 분기 및 연간 추정 = 862
  10. 요약 = 862
 Ⅳ. 국내경제 전체의 실질소득 측정치 = 864
  1. 실질소득의 개념 = 864
  2.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무역손익 = 865
  3. GDP 물량측정치와 실질소득 측정치의 상호관계 = 868
 Ⅴ. 국제적 가격 및 물량의 비교 = 870
  1. 서론 = 870
  2. 지수에 관한 문제점 = 871
  3. 국민계정 작성시의 고려사항 = 880
제16장 요약 및 종합 = 887
 Ⅰ. 서론 = 887
 Ⅱ. 계정통합 = 887
  1. 경상계정의 요약 = 888
  2. 축적계정의 요약 = 893
  3. 재화서비스계정 = 896
  4. 국외부문계정 = 897
  5. 스톡과 플로 자료의 통합 = 899
  6. 계정의 연결처리 = 901
 Ⅲ. SNA에서의 거시 총량지표 = 903
  1. GDP 항등식 = 903
  2. 산출물 평가와 관련된 사항 = 904
  3. 국내총생산과 국내순생산 = 905
  4. 국민총소득과 국민순소득 = 906
  5. 국민처분가능소득 = 907
 Ⅳ. 통합경제계정의 예 = 908
  1. 제도부문계정 = 915
  2. 국외부문계정 = 917
  3. 재화서비스계정 = 918
  4. 국내경제의 열(列) = 919
색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