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잘 키우는 방법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잘 키우는 방법 (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tewart, Kathryn. 정재석 , 옮김 이대환 , 옮김 조미화 , 옮김
서명 / 저자사항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잘 키우는 방법 / Kathryn Stewart 지음 ; 정재석, 이대환, 조미화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   2010.  
형태사항
xv, 312 p. ; 23 cm.
원표제
Helping a child with nonverbal learning disorder or Asperger's disorder : a parent's guide. 2nd ed.
ISBN
9788958327691
서지주기
참고문헌(p. 309-312) 및 부록수록
일반주제명
Asperger's syndrome in children.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000 01025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593711
005 20100805063952
007 ta
008 100514s2010 ulk b 000c kor
020 ▼a 9788958327691
035 ▼a (KERIS)BIB000012025940
040 ▼a 221016 ▼c 221016 ▼d 22101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2/85889 ▼2 22
090 ▼a 618.9285889 ▼b 2010
100 1 ▼a Stewart, Kathryn. ▼0 AUTH(211009)16308
245 1 0 ▼a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잘 키우는 방법 / ▼d Kathryn Stewart 지음 ; ▼e 정재석, ▼e 이대환, ▼e 조미화 옮김.
246 1 9 ▼a Helping a child with nonverbal learning disorder or Asperger's disorder : a parent's guide. 2nd ed.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 ▼c 2010.
300 ▼a xv, 312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09-312) 및 부록수록
650 0 ▼a Asperger's syndrome in children.
650 0 ▼a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700 1 ▼a 정재석 , ▼e 옮김 ▼0 AUTH(211009)104568
700 1 ▼a 이대환 , ▼e 옮김
700 1 ▼a 조미화 , ▼e 옮김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5889 2010 등록번호 1115805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5889 2010 등록번호 1115805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학습과 발달을 돕는 실제적인 방법을 알려준다. 이 책은 시공간적 기능, 정보처리 과정, 조직화 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아이의 강점과 약점을 알아내는 방법을 담고 있다. 또한 아이가 유머와 공감을 통해 사회화되고 자신의 일상적 활동, 다중업무 등을 조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쉽게 같이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제시한다.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학습과 발달을 돕는 실제적인 방법

백 명의 아이들 중 한 명 정도는 비언어성 학습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1% 정도의 아이들은 아스퍼거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 두 장애는 진단적으로 특성이 다른 질환이지만 다루는 접근방식이 중복된다.
이 책은 시공간적 기능, 정보처리 과정, 조직화 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아이의 강점과 약점을 알아내는 방법을 담고 있다. 또한 아이가 유머와 공감을 통해 사회화되고 자신의 일상적 활동, 다중업무 등을 조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쉽게 같이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자녀가 사회적 능력과 감정적 능력, 언어와 쓰기 기술, 상호작용적 능력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아스퍼거 장애나 연관된 질환이 실제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려 주고, 이 질환과 관련된 아이들의 일반적인 생각과 학습방식, 그리고 교실에서 중재하는 매우 명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Simon Baron-Cohen(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자폐연구센터의 실험심리학·정신의학 담당자, 『마음맹』과 『자폐 아동도 마음읽기를 배울 수 있다』의 저자)


역자 소개

정재석은 정신과 전문의이자 의학박사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 의과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전공의를 수련한 뒤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임상강사로 근무하였다. 현재 서울아이정신과(수원점, www.seouliclinic.kr) 원장으로 있다.

이대환은 정신과 전문의이자 의학박사로,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임상강사를 거쳐 상계백병원 외래교수로 근무하였다. 그 후 서울시립 축령복음병원 정신과장과 남양주시 정신보건센터장, 남양주시 청소년상담센터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서울아이정신과(노원점, www.seoul iclinic.kr)원장과 서울시 아동사회복귀시설 노원 아이존 자문의사로 있다.

조미화는 고려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테솔 전문가 지도과정을 수료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캐서린 스튜어트(지은이)

소아기의 신경인지질환을 치료하는 전문가 중 선두주자로, 캘리포니아 주 마라에 있는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장애 학생을 위한 최초의 대학 준비 고등학교인 오리온학교의 설립자이며 총괄 책임자이다.

정재석(옮긴이)

서울아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서울대 의과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을 받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되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에서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전임의 과정을 밟았다. 현재 한국난독증협회 대표를 맡고 있다. 난독증, 난산증이 주된 연구 분야로 난독증 치료 프로그램인 『읽기자신감』과 난산증 프로그램인 『계산자신감』, 영어난독증 프로그램인 『영어자신감』 등을 펴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 및 관련 질환에 대한 개관
 제1장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장애란 무엇인가?
  올리버 이야기 = 4
  신경인지장애란 무엇인가? = 5
  넓은 의미의 학습장애 = 6
  비언어성 학습장애 = 7
  뇌 : 최근에 알려진 사실 = 10
  비언어성 학습장애는 얼마나 많은가? = 13
  아스퍼거 장애 = 24
  렌 이야기 = 25
  아스퍼거 장애, 비언어성 학습장애 그리고 고기능 자폐 = 29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장애의 공통점 = 33
  올리버의 이야기(앞에서 계속) = 35
 제2장 강점과 약점의 영역 
  일단 좋은 소식부터 : 강점 = 38
  마이클 이야기 = 39
  래드클리프 이야기 = 43
  약점 : 정확히 말해서 나쁜 뉴스는 아님 = 46
  아리 이야기 = 49
 제3장 왜 비언어성 학습장애나 아스퍼거 장애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가?
  필요한 프로그램 = 61
  주의력결핍장애(ADHD) = 62
  불안장애 = 67
  데이비드 이야기 = 71
  린다 이야기 = 73
  학군 진단 대 임상적 진단 = 78
제2부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장애가 미치는 영향
 제4장 좀 다른 언어구사 : 사회적 기술의 발달과 사회정서적 기능
  시스템이 어디에서 고장 났을까? = 84
  앤디 이야기 = 87
  화용언어의 실패 = 88
  언어의 상호작용적 측면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 91
  다양한 상호작용에 대한 동시 추적의 어려움 = 99
  청소년기 = 100
 제5장 공간감각 부족 : 시공간 정보처리 및 감각통합 
  시공간적 문제점 = 105
  감각통합 = 108
  이사벨라 이야기 = 111
 제6장 문제의 근원 : 정보처리와 조직화 문제 
  실행기능 = 114
  틀에 박힌 일상과 경직된 사고 = 115
  정보 저장 : 옷장 서랍 = 116
  느린 정보처리 속도 = 116
  은유, 유추 그리고 유머 = 118
  정보처리의 결함 = 122
제3부 중재와 프로그램 계획 
 제7장 조직화 기술과 정보처리 과정의 결함 다루기 
  정보처리 장애 = 128
  저장의 문제 = 130
  이반 이야기 = 132
  피튜니아 이야기 = 141
  회상의 문제 = 146
  스트레스 관리 = 151
  조직화 기술 가르치기 = 154
 제8장 학습기술 배우기 : 학습 성공을 위한 중재 
  계획된 노출 이용하기 = 160
  높아진 사회적 기대를 위한 계획 = 161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기 = 161
  브라이언 이야기 = 162
  결과 예측하기 = 163
  새로운 대처 전략 = 164
  주의와 집중 유지하기 = 164
  시간 관리 문제 = 166
  학습 방식과 스타일 = 170
  멀티태스킹 = 176
  학습에서 개념 형성과 문제 = 179
  숙제와 학습기술 = 181
  가르칠 때 고려할 점 = 191
 제9장 움직이는 몸 : 시공간 지각과 감각 - 운동 통합
  감각 과부하 = 198
  제이미 이야기 = 200
  감각통합 기술 = 202
  무력증 = 203
  난서증 = 207
  신체적 문제에 대한 다른 중재 = 209
 제10장 사회적 능력 : 자신, 타인, 자존감의 문제 
  레이첼 이야기 = 214
  거울 보기 대 창밖 내다보기 = 216
  단순한 사회기술 = 220
  복잡한 사회기술 = 234
  리처드 이야기 = 237
  다쉘 이야기 = 244
  괴롭히기와 괴롭힘 당하기 = 246
  종합 = 249
 제11장 미래에 생각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스퍼거 장애와 다른 질환들이 서로 관련이 있는가? = 260
  대충하는 것을 참지 않기 = 261
  양질의 특수교육 서비스 = 262
  효과적 프로그램 개발 = 265
  진자운동 = 270
  가족에 미치는 영향 = 271
  성인기로의 전환 = 272
  향후 연구과제 = 280
부록 A 자원 = 281
부록 B 교실 권장사항 목록 = 288
부록 C 비언어성 학습장애나 아스퍼거 장애 아이들을 위한 활동 = 291
부록 D 정보처리 결함 = 295
부록 E 오리온학교의 사회기술과 이행기 프로그램 : 개요와 목표 = 299
참고문헌 = 3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