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증보개정판(증보개정5판)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증보개정판(증보개정5판)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길형석 손충기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길형석, 손충기.
판사항
증보개정판(증보개정5판)
발행사항
서울 :   동문사 ,   2005.  
형태사항
449 p. : 삽도 ; 25 cm.
ISBN
898251181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47-449
000 00642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593197
005 20100805063622
007 ta
008 100513s2005 ulka b 000c kor
020 ▼a 8982511814
035 ▼a (KERIS)BIB000009043039
040 ▼d 211048 ▼a 211048 ▼c 211048 ▼d 241002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5c1
100 1 ▼a 길형석 ▼0 AUTH(211009)42209
245 1 0 ▼a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d 길형석, ▼e 손충기.
250 ▼a 증보개정판(증보개정5판)
260 ▼a 서울 : ▼b 동문사 , ▼c 2005.
300 ▼a 449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 p. 447-449
700 1 ▼a 손충기 ▼0 AUTH(211009)1342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75 2005c1 등록번호 1115694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길형석(지은이)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Ⅰ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제1절 인본주의적 교육과정 = 20
   1. 인본주의적 교육과정의 특징 = 21
   2. 인본주의적 교육과정의 비판 = 24
  제2절 학습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27
   1. 수업과정 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 = 27
   2. 계획된 학습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 28
   3. 학교 후원하의 경험 교육과정 = 28
   4. 학습결과의 구조체로서의 교육과정 = 29
  제3절 교육과정 - 교육행위 논쟁 = 29
   1. 교육행위에 따른 계획적 교육과정 = 30
   2. 교육과정의 계획과 기능 = 31
  제4절 교육과정 설계 = 37
   1. 교육과정의 구성 = 37
   2. 교육과정의 전개 = 38
   3. 교육과정의 실천 = 38
   4. 교육과정의 조작 = 39
   5.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39
   6. 교육과정과 비교육과정과의 문제점 = 40
  탐구 과제 = 42
  더 읽어야 할 책 = 42
 제2장 교육과정계획의 기초
  제1절 철학적 기초 = 44
   1. 이상주의 = 45
   2. 실재주의 = 46
   3. 실용주의 = 47
   4. 실존주의 = 48
  제2절 심리적 기초 = 51
   1. 학습자의 발달 특성 = 52
   2. 학습자의 지적 발달 = 53
   3. 학습자의 정서적 발달 = 54
   4. 학습심리 = 56
  탐구 과제 = 60
  더 읽어야 할 책 = 60
 제3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초
  제1절 사회와 문화 = 63
  제2절 사회와 문화의 구별 = 64
  제3절 문화개념의 복잡성 = 64
  제4절 문화의 구조 = 66
  제5절 문화와 가치 = 69
  더 읽어야 할 책 = 71
 제4장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제1절 교수요목시대 = 73
  제2절 교과과정시대 = 75
  제3절 교육과정시대 = 78
  제4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천 = 80
   1. 교육과정의 구성방향 = 88
   2.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본방향 = 88
   3.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 89
   4. 수준별 교육과정 = 91
  탐구 과제 = 98
  더 읽어야 할 책 = 98
 제5장 교육과정의 형태
  제1절 교육과정의 제유형 = 102
   1. Casewell의 분류 = 102
   2. Hopkins주의 분류 = 104
   3. Maryland주의 분류 = 105
   4. 기타의 분류 = 106
  제2절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성격 = 108
   1. 기본성격 = 108
   2. 장점 = 110
   3. 단점 = 111
  제3절 광역 교육과정의 성격 = 112
   1. 기본성격 = 112
   2. 장단점 = 113
  제4절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제성격 = 115
   1. 활동 교육과정 = 116
   2. 생활영역 교육과정 = 125
  제5절 중핵 교육과정의 성격 = 130
   1. 중핵 교육과정의 특징 = 132
   2. 장단점 = 133
  제6절 학문중심 교육과정 = 134
  탐구 과제 = 138
  더 읽어야 할 책 = 138
 제6장 진로교육
  제1절 진로교육의 기본적 가정 = 141
  제2절 과업중심의 교육과정 = 142
  제3절 지역사회의 기초교육 = 144
  제4절 태도에 관한 고찰 = 145
  제5절 복수매체 교육과정 = 147
  제6절 기술에 관한 고찰 = 148
  더 읽어야 할 책 = 151
 제7장 교육내용의 선정
  제1절 교육내용의 개념 = 153
   1. 교육내용의 분류 = 154
   2. 학습경험으로 본 교육내용 = 155
   3. 교육내용의 새 개념 = 156
  제2절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 164
   1. 교육내용 선정의 원칙 = 164
   2. 학습경험 선정의 원칙 = 168
  제3절 교육내용 선정의 방법 = 170
   1. 판단적 방법 = 172
   2. 실험적 방법 = 173
   3. 분석적 방법 = 173
   4. 합의적 방법 = 173
  탐구 과제 = 175
  더 읽어야 할 책 = 175
 제8장 교육내용의 조직
  제1절 교육내용 조직의 원칙 = 177
   1. 계속성 = 178
   2. 계열성 = 179
   3. 통합성 = 179
  제2절 교육내용 조직의 방법 = 180
   1. 논리적 방법 = 180
   2. 심리적 방법 = 181
   3. 절충식 방법 = 181
  제3절 교육내용의 배열 = 182
   1. 판단적 방법 = 182
   2. 실험적 방법 = 184
  제4절 최근 교육내용의 동향 = 185
   1. 수학의 교과개혁운동 = 188
   2. 과학의 교과개혁운동 = 193
  탐구 과제 = 200
  더 읽어야 할 책 = 200
 제9장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제1절 교수-학습의 개념 = 201
  제2절 교수-학습과정의 연구경향 = 204
  제3절 교수-학습과정의 형태 = 205
   1. 교수-학습과정 형태의 학습 = 205
   2. 프로그램 학습의 정의와 특징 = 215
   3. 프로그램 학습의 원리 = 216
  탐구 과제 = 218
  더 읽어야 할 책 = 218
 제10장 잠재적 교육과정
  제1절 인간교육과 잠재적 교육과정 = 219
   1.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 219
   2. 학교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 223
   3. 인간교육의 과제 = 225
  제2절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 226
   1. 잠재적 교육과정의 정의 = 226
   2.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계 = 229
  제3절 잠재적 교육과정의 교육사회학적 관점 = 234
   1.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론적 관점 = 234
   2.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관점 = 238
  제4절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 241
   1. 학교의 생태와 잠재적 교육과정 = 242
   2. 학교의 인적요소 및 사회환경과 잠재적 교육과정 = 245
  탐구 과제 = 248
  더 읽어야 할 책 = 248
 제11장 열린교육의 교육과정
  제1절 열린교육의 의미 = 250
   1. '열린'이란 무엇인가? = 250
   2. 열린교육의 정의 = 251
   3. 열린교육의 원리와 성격 = 254
   4. 열린교육의 특징 = 256
  제2절 열린교육의 환경구성 = 256
   1. 물리적 환경 = 256
   2. 심리·사회적 환경 = 260
  제3절 열린교육의 교육과정 = 262
   1. 열린교육의 관점에서 보는 교육과정 = 262
   2. 열린교육의 교육과정 유형 = 263
  제4절 열린교육의 과제 = 266
  탐구 과제 = 269
  더 읽어야 할 책 = 270
 제Ⅰ부 참고문헌 = 271
제Ⅱ부 교육평가
 제1장 교육평가의 기초
  제1절 교육평가의 뜻 = 275
   1. 교육평가의 주변 개념들 = 276
   2. 교육평가란? = 277
  제2절 교육평가의 기능 = 279
  제3절 교육평가의 영역과 문제점 = 281
   1. 교육평가의 영역 = 281
   2. 교육평가의 문제점 = 283
  탐구 과제 = 287
  더 읽어야 할 책 = 287
 제2장 교육평가의 과정
  제1절 교육목표의 설정과 분석 = 290
  제2절 평가장면의 결정 = 292
  제3절 평가도구의 제작 = 293
  제4절 검사의 실시와 결과의 정리 및 분석 = 293
   1. 검사의 실시 = 293
   2. 검사결과의 정리 = 295
   3. 검사의 질 분석 = 296
   4. 결과의 기록 및 보존 = 296
  제5절 결과의 해석 및 활용 = 300
  탐구 과제 = 303
  더 읽어야 할 책 = 303
 제3장 교육평가의 유형
  제1절 임의평가, 규준지향평가, 준거지향평가 = 305
   1. 임의평가 = 305
   2. 규준지향평가 = 306
   3. 준거지향평가 = 309
   4.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와의 관계 = 313
  제2절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 314
   1.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 314
   2.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 315
   3.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 317
  제3절 주관식 평가, 객관식 평가 = 318
  제4절 교육평가의 발전 모형 : 수행평가 = 322
   1. 수행평가의 개념과 성격 = 323
   2. 수행평가 도입의 필요성 = 326
   3. 수행평가의 방법 = 328
   4. 수행평가의 과정 = 331
  탐구 과제 = 334
  더 읽어야 할 책 = 334
 제4장 평가도구의 구비요건
  제1절 구비요건 = 337
  제2절 타당도 = 339
   1. 타당도(validity)란? = 339
   2. 타당도의 확인방법 = 340
  제3절 신뢰도 = 344
   1. 신뢰도(reliability)란? = 344
   2. 신뢰도 추정방법 = 345
   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49
  제4절 객관도와 실용도 = 350
   1. 객관도(objectivity) = 350
   2. 실용도(usuability) = 352
  탐구 과제 = 354
  더 읽어야 할 책 = 354
 제5장 교육평가를 위한 도구의 제작
  제1절 학력평가를 위한 도구 = 355
   1. 선택형의 문항형식 = 356
   2. 선택형의 장단점 = 365
   3. 선택형 검사의 작성요령 = 367
   4. 서답형의 문항형식 = 372
   5. 서답형의 장단점 = 375
   6. 서답형의 문항 출제 요령 = 377
  제2절 정의적 행동특성의 평가를 위한 도구 = 380
   1. 관찰법 = 381
   2. 질문지법 = 384
   3. 면접법 = 395
  탐구 과제 = 399
  더 읽어야 할 책 = 399
 제6장 평가도구의 양호도
  제1절 문항분석 = 401
   1. 문항분석의 필요성 = 401
   2. 문항분석의 과정 = 402
  제2절 문항분석의 실제 = 404
   1. 문항곤란도 = 404
   2. 문항변별력 = 410
   3. 문항반응분포 분석 = 412
   4. 문항분석 카드와 문제은행 = 413
  탐구 과제 = 416
  더 읽어야 할 책 = 416
 제7장 교육평가를 위한 통계적 방법
  제1절 집단의 특성을 기술하고 비교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 = 417
   1. 집중경향치 = 418
   2. 변산도 = 420
   3. 표준편차 = 421
   4. 상관도와 상관계수 = 423
  제2절 점수의 비교를 위한 통계적 방법 = 426
   1. 원점수 = 426
   2. 등위점수 = 428
   3. 백분위와 백분위 점수 = 428
   4. 표준점수 = 430
  탐구 과제 = 434
  더 읽어야 할 책 = 434
 제8장 교육평가의 동향
  제1절 국가수준의 교육성취도 평가 = 436
   1. 국가수준의 교육성취도 평가의 개념과 성격 = 437
   2. 국가수준의 교육성취도 평가의 기능과 목적 = 438
   3. 국가수준의 교육성취도 평가의 원리와 방향 = 439
  제2절 교육기관의 교육체제 평가 = 440
  제3절 교육평가에서 컴퓨터 활용의 보편화 = 441
  제4절 교수-학습과정 개선평가 = 442
  제5절 학습자 개인과 집단적인 수행평가 = 444
  탐구 과제 = 446
  더 읽어야 할 책 = 446
 제Ⅱ부 참고문헌 = 4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