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행정학의 기초 이론
제1절 행정의 특성과 본질 = 19
1. 행정의 개념 = 19
2. 행정의 변수 = 27
3. 행정수요와 행정기능 = 30
4. 행정과정 = 34
5. 행정문화 = 38
조직문화의 형성, 보존(적응), 변동, 개혁 = 41
6. 정치와 행정 = 43
7. 행정과 경영(공행정과 사행정) = 49
8. 행정과 법 = 54
제2절 행정의 변천과 현대행정의 특징 = 58
1.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 58
2. 시장실패와 정부팽창 = 65
복지행정과 사회보장제도 = 67
3. 정부규제 = 70
Wilson의 규제정치모형과 집단행동의 딜레마 = 75
집단행동의 딜레마 극복방안 = 76
행정지도 = 76
4. 행정국가의 한계와 정부실패 = 80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비교 = 8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원인별 대응방식 = 84
Keynesian식의 정부개입의 한계 - Stagflation과 정부실패 = 85
5. 감축관리(소정부화전략Ⅰ) = 87
6. 공공부문의 민간화(소정부화전략Ⅱ) = 92
민간위탁(계약공급) = 96
공공재의 적정 공급규모에 관한 논의 = 96
섹터의 구분(제3섹터 및 중간조직) = 98
현대시민사회의 의의와 특징 = 104
사회적 자본 = 105
제3절 행정의 가치와 지도이념 = 108
1. 행정과 가치 = 108
2. 행정이념의 변천과 유형 = 111
3. 주요 행정이념 = 115
효과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 122
제4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달 = 141
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141
2. 행정학의 접근법 분류 = 147
기타 접근법 = 151
3.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 154
우리나라 행정연구의 특징 = 159
제5절 행정이론의 변천 = 162
1. 과학적 관리론 = 162
2. 인간관계론 = 167
3. 행태론적 접근법 = 171
4. 생태론적 접근법 = 177
5. 체제론적 접근법 = 183
개방체제의 특징 = 187
6. 비교행정론 = 189
7. 발전행정론 = 193
비교행정과 발전행정의 차이 = 196
기관형성 = 197
8. 신행정론 = 199
신행정론과 발전행정론의 비교 = 203
현상학ㆍ비판행정학ㆍ담론이론 : 반실증주의 철학 = 203
현상학 = 203
비판행정학 = 205
담론행정 = 206
9. 공공선택이론 = 210
10. 신제도론적 접근법 = 224
11. 신공공관리론 = 233
신보수주의ㆍ신자유주의ㆍ제3의길 - 신공공관리론의 정치적 토대 = 238
12. 거버넌스와 뉴거버넌스 = 247
제2장 정책론
제1절 정책과 정책과학의 본질 = 261
1. 정책의 본질과 유형 = 261
분배정책과 재분배정책의 특성 = 265
2. 정책과학의 특성 및 본질 = 270
제2절 정책의제와 정책목표 = 274
1. 정책의제 = 274
무의사결정 = 285
정책망모형 = 286
2. 정책목표 = 292
3. 목표관리(MBO) = 298
제3절 정책결정 = 304
1. 정책결정 일반 = 304
정책결정요인이론 = 310
2.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314
흐름창(정책창(Policy Window))모형 = 328
제4절 정책분석 = 333
1. 정책대안의 탐색과 평가기준 = 333
2. 정책분석 = 336
3. 불확실성과 미래 예측 = 353
제5절 정책집행과 기획 = 361
1. 정책집행 = 361
2. 기획 = 374
제6절 정책평가와 환류 = 386
1. 정책평가 = 386
정부업무평가(심사평가) = 399
시차이론 = 400
2. 정책변동과 환류 = 404
3. 사회지표 = 407
제3장 조직론
제1절 조직의 기초이론 = 413
1. 조직의 본질과 유형 = 413
2. 조직이론의 변천과 체계 = 422
혼돈이론(Chaos Theory) = 427
복잡성이론 = 429
3. 조직의 원리 = 431
조직의 수평적/수직적 조정기제 = 435
부성화(部省化)의 원리(부처편성의 원리) = 438
4. 조직과 개인 - 인간관, 인간관리 및 동기부여이론 = 440
개인의 성격형에 관한 이론 = 454
5. 조직과 환경 (Ⅰ) = 458
6. 조직과 환경 (Ⅱ) = 465
제2절 조직의 구조와 양태 = 475
1. 조직의 구조 = 475
기타 상황변수 = 480
복잡성의 다양한 의미 = 482
2. 관료제 = 487
3. 관료제와 민주주의 = 496
4. 대표관료제 = 500
5.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 = 506
소집단 = 509
6. 계선(Line)과 막료(Staff) = 511
담당관제도 = 516
7. 위원회 (합의제 행정기관) = 518
8. 공기업 = 524
9. 정부조직체계 = 530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주요변천 = 531
10. 책임운영기관제도(Agency) = 536
각국의 책임운영기관 = 536
핵심정부 (P. Dunleavy) = 540
대리정부 (D. Kettle) = 541
관청형성론 (P. Dunleavy) = 541
제3절 조직의 관리와 쇄신 = 545
1. 의사전달 = 545
2. 갈등 = 551
3. 권위와 권력 = 558
조직내 정치적 행동 = 562
4. 리더십(Leadership) = 564
기타 현대적 리더십 이론 = 574
중간관리층과 최고관리층 = 575
5. 사무관리 : 사무개선과 자동화 = 579
6.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 581
농업사회ㆍ산업사회ㆍ정보사회의 비교 = 582
행정정보체계의 몇 가지 원칙 = 595
지식정보사회와 행정 = 596
지식정부 조직모형 = 599
지식행정 관리 = 602
지식공유의 방법 = 604
7. 행정정보공개제도 = 609
개인정보보호제도 = 613
행정절차법제도 = 614
8. 공공관계(행정PR) = 616
9. 행정참여 = 621
10. 후기관료제모형 = 626
11. 조직의 동태화(Adhocracy) = 631
애드호크라시의 구조적 특성 = 635
12. 조직발전(OD) = 638
조직혁신(OI) = 642
전략적 관리 = 644
위기 관리 = 645
제4장 지방자치론
제1절 지방행정 = 649
1. 지방행정의 개념과 특징 = 649
2. 집권과 분권(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652
권한의 위임(분권화의 수단) = 655
3.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 658
4. 일선기관 = 663
일선관료제론 = 666
5. 중앙통제 = 669
6. 광역행정 = 674
7. 지방자치와 분쟁조정 = 680
8. 정부간 관계론 = 683
기타 정부관계모형 = 684
제2절 지방자치 = 687
1.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 687
자치권 = 690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와 현실 = 691
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과 조직 = 694
미국의 지방정부형태 및 도시헌장 = 704
자치구역 획정방식 = 704
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707
4.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715
5. 지방자치의 과제 = 732
제3절 도시행정 = 746
1. 도시행정 = 746
다양한 도시화현상 = 748
도시적정규모이론 = 748
제5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 753
1. 인사행정의 특징과 흐름 = 753
2. 엽관주의 = 757
3. 실적주의 = 763
실적주의의 기여요인과 저해요인 = 766
4. 적극적 인사행정 = 768
후기인간관계론 = 769
직무설계와 재설계 = 769
고위공무원단 제도(SES) = 771
고위공무원단 도입을 위한 국가공무원법 개정 = 776
5. 직업공무원제 = 779
6. 중앙인사행정기관 = 785
7. 공직의 분류 = 791
정무직 및 별정직으로 규정되었던 자 = 793
일반행정가와 전문행정가 = 793
교류형과 비교류형 = 793
8. 인사행정의 개방형과 폐쇄형 = 796
9. 직위분류제 = 803
10.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비교 = 810
제2절 공무원의 모집과 능력발전 = 813
1. 인력계획 = 813
2. 임용 = 816
3. 모집 = 820
4. 시험 = 824
5. 근무성적평정 = 828
직무성과 계약제도 = 837
6. 교육훈련 = 842
7. 승진 = 848
8. 배치전환(전직ㆍ전보ㆍ파견) = 853
제안제도 = 854
고충처리 및 인사상담 = 855
우리나라 각종 인사실무제도 = 855
제3절 공무원의 사기관리 = 858
1. 사기 = 858
2. 신분보장 = 863
3. 보수 = 870
우리나라의 성과인센티브 제도 = 876
생산성(성과) 향상을 위한 인적 자원 활용방안 = 877
4. 연금 = 879
공무원 후생복지 = 881
선택적 복지제도 = 881
5. 공무원단체(공무원조합) = 884
6. 정치적 중립 = 891
7. 행정윤리 = 896
행정윤리의 중요성과 확립방안 = 900
8. 공직부패 = 904
내부고발자보호제도 = 909
제6장 재무행정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본질 = 919
1. 예산의 개념과 본질 = 919
2. 정부회계의 계리(발생주의와 현금주의) = 931
3. 예산의 원칙 = 935
4. 예산의 종류 = 940
5. 예산의 분류 = 954
6. 기획과 예산 = 960
중기재정계획 = 961
제2절 예산제도 = 963
1. 예산결정의 기초이론 = 963
예산제도의 변천 = 969
2. 품목별 예산(LIBS) = 973
3. 성과주의 예산(PBS) = 976
4. 계획예산(PPBS) = 981
5. 영기준예산(ZBB) = 987
예산제도간 비교 = 990
일몰법 예산 = 991
6. 자본예산(CBS) = 993
7. 예산제도의 개혁 = 998
우리나라의 자율예산편성제(사전재원 배분제 : Top-Down방식) = 1003
제3절 예산의 과정 = 1006
1. 예산과정의 본질 = 1006
2. 예산의 편성 = 1009
3. 예산의 심의 = 1015
4. 예산의 집행 = 1020
5. 정부회계와 수입ㆍ지출 = 1032
국고금관리법 제정(2003.1.1)에 따른 국가회계제도 개편내용 = 1034
김대중정부하에서의 주요 재정개혁내용 = 1034
6. 회계검사 = 1037
회계검사와 직무감찰의 차이 = 1040
현대적 회계감사의 초점 변동 = 1040
7. 결산 = 1043
세계잉여금 = 1045
8. 구매행정 = 1047
예산과정과 정부회계의 연계 = 1050
제7장 행정환류론
제1절 행정책임과 통제 = 1055
1. 행정책임 = 1055
2. 행정통제 = 1062
제2절 행정개혁 = 1075
1. 행정개혁 = 1075
2. 최근 OECD 국가의 정부혁신과 교훈 = 1087
선진국(영미)의 주요행정개혁사 = 1096
3. 한국행정개혁의 특징과 방향 = 1100
제3절 미래의 바람직한 정부 모습 = 1114
1. 기업형정부 = 1114
2. 고객지향적 정부 = 1120
3. 총체적품질관리(TQM) = 1124
4. 행정서비스헌장제도(시민헌장제도) = 1130
우리나라의 행정서비스헌장제도 = 1132
5. 성과(결과)중심의 정부 = 1135
색인 =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