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46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590867 | |
005 | 20100805062051 | |
007 | ta | |
008 | 100504s2010 ulkaj 001c kor | |
020 | ▼a 9788986377408 | |
035 | ▼a (KERIS)BIB000011955077 | |
040 | ▼a 211014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781.68 ▼2 22 |
090 | ▼a 781.68 ▼b 2010 | |
245 | 2 0 | ▼a (쾰른음대 교수들이 엄선한)클래식 음악에 관한 101가지 질문 / ▼d 아네테 크로이치거헤르 , ▼e 빈프리트 뵈니히 엮음 ; ▼e 홍은정 옮김. |
246 | 1 9 | ▼a Die 101 Wichtigsten Fragen : Klassische Musik |
260 | ▼a 서울 : ▼b 경당 , ▼c 2010. | |
300 | ▼a 343 p. : ▼b 삽도, 연표 ; ▼c 21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a Music ▼x History and criticism. | |
700 | 1 | ▼a Kreutziger-Herr, Annette , ▼e 엮음 ▼0 AUTH(211009)127628 |
700 | 1 | ▼a Bonig, Winfried , ▼e 엮음 ▼0 AUTH(211009)2906 |
700 | 1 | ▼a 홍은정 , ▼e 옮김 |
900 | 1 0 | ▼a 크로이치거헤르, 아네테 |
900 | 1 0 | ▼a 뵈니히, 빈프리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115792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115792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512866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115792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115792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8 2010 | Accession No. 1512866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독일 쾰른음대의 아네테 크로이치거헤르와 빈프리트 뵈니히 교수가 사람들이 클래식 음악에 좀 더 친숙해지도록 돕기 위하여 핵심적이고 중요한 질문 101가지를 골라냈다. 어떤 페이지를 펼쳐 보아도 상관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질문과 답변들을 따라가다 보면, 클래식 음악에 저절로 관심을 갖게 되고, 듣고 싶은 마음이 들며, 호기심이 자극되어, 자연스럽게 클래식 음악의 세계로 들어서게 될 것이다.
이 책에는 “클래식 음악이란 무엇인가?” 또는 “왜 남성 작곡가에 비해 여성 작곡가의 수가 훨씬 적을까?”같이 좀처럼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려울 듯한 질문도 있고, “어떻게 베토벤은 청력을 잃은 후에도 계속 작곡을 할 수 있었을까?” 같은 누구나 궁금해 하는 질문도 있으며, “음악가는 음악회가 끝난 뒤에 무엇을 할까?” 같은 사소한 질문에 이르기까지 클래식 음악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가득하다.
음악의 탄생부터 현대 음악까지 쾰른음대 교수와 학생들이 묻고 답한 클래식 음악의 모든 것
플로레스탄, 유세비우스, 요하네스 크라이슬러, 크로슈……, 이 생소한 이름들의 주인공은 대체 누구일까?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음악가인 로베르트 슈만, E.T.A. 호프만, 클로드 드뷔시가 공개적인 음악비평을 위해 사용한 가명들이다. 슈만은 역동적이고 원기 왕성한 플로레스탄(Florestan)과, 그와는 성격이 정반대로 섬세하고 감성적인 유세비우스(Eusebius)라는 두 가상인물의 이름으로 비평활동을 전개했다. 음악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비평하기 위해서였다.
작가이기도 한 호프만은 자신이 쓴 소설에서 독창적인 천재 음악가로 등장하는 요하네스 크라이슬러(Johannes Kreisler)의 이름을 내걸고 비평가로 활동했다. 드뷔시는 시인이자 수필가인 폴 발레리가 창조한 크로슈(Croche)라는 인물의 이름을 빌렸다. 스스로를 안티 딜레탕트라 칭하는 크로슈는 불쾌하고 오만한 인물로서 동시대의 음악과 맞서기에 가장 적합한 주인공이었을 것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런 흥미로운 사실 외에도 클래식 음악에 관련된 여러 가지 일이나 현상들에 대한 궁금증은 끝이 없다. 독일 쾰른음대 교수인 아네테 크로이치거헤르와 빈프리트 뵈니히는 이 많고 많은 질문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질문 101가지를 엄선한 뒤 자신들이 가르치고 있는 음악대학 학생들과 함께 답변을 정리하여 ??쾰른음대 교수들이 엄선한 클래식 음악에 관한 101가지 질문??을 펴냈다.
이 책은 우선 음악의 특징과 요소, 장조와 단조의 차이 등 음악의 기초에 관련된 질문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고음악과 신음악, 그레고리오 성가, 다성음악(多聲音樂)의 출현 등과 같은 음악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 나서, 작곡가의 수입, 음악가의 직업병이나 독특한 습관 등 음악가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이어서 실제 음악회에서 이루어지는 연주와 감상 행위에 숨어 있는 비밀 아닌 비밀들을 상세히 알려준다.
그리고 오페라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비롯하여, 리하르트 바그너와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에 담긴 사연 등 오페라에 얽힌 온갖 이야기를 전해준다. 그런 다음 작곡가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오케스트라의 악기나 합창단에 관련된 질문들에 답변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음악의 미래, 우주의 음악 등 클래식 음악에 대한 철학적 문제까지 다루면서 101가지의 질문을 마무리한다.
책 말미의 <추천 음악 목록>에서는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근대음악, 현대음악 등 시대별 추천 음악을 골라놓았다. 이미 들어본 익숙한 작품들도 있지만, 독자들이 새로운 음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일부러 잘 연주되지 않는 작품들을 많이 선곡했다. 끝으로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책 앞쪽에 <오케스트라 배치도>, 뒤쪽에 <음악사 연표>를 실었다.
이 책에 들어 있는 답변들에는 엮은이들의 세심한 관점과 견해가 녹아 있다. 엮은이들은 머리말에서, 무엇보다도 심사숙고하여 뽑은 질문들 자체가 독자들에게 신선한 매력으로 다가가길 바라며, 쾰른음대 학생들이 한 것처럼 독자들도 101개의 질문을 놓고 스스로 그 답을 고민하고 적어본다면 훨씬 유익하고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아네테 크로이치거헤르(엮은이)
독일 함부르크대와 킬대, 이탈리아 볼로냐대에서 음악학, 이탈리아어문학, 중세학을 공부하고, 중세시대의 작곡가이며 음악이론가인 요하네스 치코니아(Johannes Ciconia)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노버음대를 비롯하여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연구와 강의를 했고, NDR 방송국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했으며, 1990년대 초반 베를린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던 클라우디오 아바도의 자문 역할을 맡기도 했다. 현재 쾰른음대의 음악학 교수이다.
빈프리트 뵈니히(엮은이)
독일 밤베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13세 때부터 오르간 연주를 시작했다. 그의 첫 오르간 스승은 밤베르크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인 볼프강 뷘슈였다. 뮌헨음대에서 오르간, 지휘, 교회음악을 공부하고 나서 아우크스부르크대에서 음악학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이에른주 메밍겐에 있는 장크트요제프교회의 오르가니스트 겸 성가대 지휘자로 일했으며, 그 밖에도 여러 대학과 컨서버토리에서 강의했다. 현재 쾰른음대의 오르간 교수이자 쾰른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홍은정(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독일 베를린 홈볼트 대학교에서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예술 교육 분야에서 일했으며, 음악 서적을 꾸준히 번역, 소개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말러를 찾아서』, 『프란츠 슈베르트』, 『베토벤』, 『젊은 예술가에게』(공역), 『음반의 역사』, 『아름다운 불협음계』, 『리트, 독일예술가곡』, 『혹등고래가 오페라극장에 간다면』, 『그가 사랑한 클래식』, 『피아노를 듣는 시간』, 『세계의 오케스트라』, 『클래식 음악에 관한 101가지 질문』, 『지휘의 거장들』, 『음악가의 탄생』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 5 음악의 기초 001 음악은 언제부터 존재했으며, 음악이란 대체 무엇인가요? = 17 002 클래식 음악(고전 음악)이란 무엇인가요? = 19 003 유럽 클래식 음악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21 004 음악의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25 005 음역이란 무엇인가요? = 28 006 무엇이 먼저일까요? 북일까요, 아니면 피리일까요? = 30 007 음악을 기록하는 방식은 예나 지금이나 같을까요? = 32 008 인간은 누구나 다 음악적일까요? = 36 009 절대음감은 무엇인가요? = 38 010 테너라는 말은 어떻게 생겨났나요? = 40 011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바실리카, 빈의 무지크페어아인은 어떤 공통점을 갖고 있나요? = 43 012 작곡은 배울 수 있는 건가요? = 47 013 모티브는 무엇이고, 테마는 무엇인가요? = 49 014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것과 즉흥으로 연주하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나은가요? = 52 015 표준음이란 무엇인가요? = 54 016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은 어떤 음률에 맞추어 작곡된 작품인가요? = 56 017 장조는 유쾌하고, 단조는 슬픈가요? = 59 018 음악에도 악마와 늑대가 존재하나요? = 62 음악사 019 유럽의 음악사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 67 020 왜 음악 용어는 대부분 이탈리아어인가요? = 72 021 독일을 음악의 나라라고 부르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 75 022 그레고리오 성가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가 만들었나요? = 79 023 언제부터 노래를 여러 성부로 부르기 시작했나요? = 82 024 미네징거와 마이스터징거란 무엇인가요? = 85 025 고(古)음악이란 무엇인가요? = 89 026 신(新)음악은 언제 등장하나요? = 93 027 빈 악파란 무엇인가요? = 96 028 모차르트의 시체는 정말 구덩이묘에 버려졌나요? 바흐의 무덤은 어디인가요? = 99 029 플로레스탄, 유세비우스, 요하네스 크라이슬러, 크로슈는 누구인가요? = 102 030 왜 여성 작곡가의 수는 적은가요? = 105 031 음악은 넘칠 정도로 충분한데, 왜 계속 새로운 음악을 작곡하나요? = 110 음악가 032 왜 바흐의 아들들은 모두 음악가가 되었나요? = 115 033 컨서버토리란 무엇인가요? = 117 034 음악가는 얼마나 많이 연습해야 하나요? = 119 035 비르투오소란 무엇인가요? = 121 036 작곡가는 돈을 많이 벌까요? = 125 037 음악사에서 메세나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 128 038 어떻게 베토벤은 청력을 잃은 후에도 계속 작곡을 할 수 있었나요? = 132 039 왜 음악학이 필요한가요? = 134 040 음악가는 어떤 직업병에 시달리나요? = 138 041 음악가는 음악회가 끝난 뒤에 무엇을 하나요? = 140 음악회 042 음악에 대해 얼마만큼 이해해야 음악회에 갈 수 있나요? = 145 043 지휘자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148 044 어떻게 지휘자는 그 복잡한 오케스트라 총보를 읽을 수 있나요? = 152 045 왜 악장(樂長)이 필요한가요? = 155 046 왜 바이올린 주자들이 항상 오케스트라 앞줄에 앉나요? = 158 047 교향악과 실내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161 048 왼손을 위한 피아노곡은 있는데, 왜 오른손을 위한 피아노곡은 없을까요? = 164 049 똑같은 곡을 연주하는데, 왜 음악가에 따라 연주가 달라지나요? = 166 050 왜 음악회에서는 마음대로 박수를 치거나 팝콘을 먹으면 안 되나요? = 169 051 집에서도 원하는 음악을 다 들을 수 있는데, 왜 굳이 음악회에 가야 하나요? = 173 오페라 052 오페라는 어떻게 생겨났나요? = 179 053 오페라는 어떻게 오랫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나요? = 183 054 오페라 중에서 가장 긴 오페라는 무엇인가요? = 186 055 리브레토란 무엇인가요? = 188 056 카스트라토는 프리마 돈나였나요? = 191 057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의 노랫소리가 다른 오페라 극장에 비해 더 잘 들리는 이유는무엇일까요? = 193 058 오페라 극장의 1층 앞좌석은 옛날에도 가장 비싼 자리였나요? = 195 059 성직자로 둔갑한 돈 조반니 - 예술일까요, 아니면 외설일까요? = 198 060 오페라와 정치는 관련이 있을까요? = 201 061 바그너가 말하는 '종합 예술 작품'이란 무엇인가요? = 204 062 발레는 클래식 음악에서 어떤 의미일까요? = 207 063〈오페라의 유령〉은 오페라인가요? = 210 064 오페라 입장료는 왜 그렇게 비싼가요? = 213 작곡, 작곡가 065 대표적인 음악 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219 066 지금까지 작곡된 음악을 우리가 모두 안다고 할 수 있을까요? 또 그중에서 녹음되어 전해지는 음악은 얼마나 될까요? = 222 067 작곡가들이 직접 녹음한 자료들이 존재하나요? 그 녹음 원본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나요? = 225 068 종교음악과 세속음악은 다르게 들리나요? = 228 069 표제음악이란 무엇인가요? = 231 070 마쇼, 모차르트, 스트라빈스키의 미사곡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요? = 234 071 바흐는 음악의 전문 기술자인가요, 아니면 천재인가요? = 236 072 왜 교향곡은 4악장이고 협주곡은 3악장인가요? = 238 073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이 유명한 것은 당연한가요? = 241 074〈월광 소나타〉의 달은 어디를 비추나요? = 244 075 작곡가들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거나 서로에게 배울까요? = 246 076 국가(國歌)도 예술음악인가요? = 250 077 민속음악도 클래식 음악에 속하나요? = 253 078 예술음악과 오락음악은 어떻게 다른가요? = 255 079 클래식 음악이 록 음악이나 팝 음악에 영향을 미칠까요? = 258 악기, 오케스트라, 합창단 080 오케스트라를 조율할 때, 왜 오보에가 기준이 되나요? = 265 081 왜 기타는 오케스트라 악기가 아닌가요? = 267 082 쳄발로와 피아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바로크 바이올린은 일반 바이올린과 어떻게 다른가요? = 269 083 왜 낡은 스트라디바리 바이올린 한 대 값이 백만 유로나 할까요? = 273 084 왜 오르간이 악기의 여왕인가요? = 276 085 왜 유독 비올라에 관한 유머들이 그렇게 많은가요? = 279 086 색소폰으로 클래식 음악을 연주하기도 하나요? = 281 087 남성 악기, 여성 악기가 따로 존재하나요? = 283 088 오케스트라와 록 밴드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소리가 큰가요? = 286 089 혼성합창단이란 무엇인가요? = 288 090 아카펠라는 카펠레(예배당)와 무슨 관련이 있나요? = 291 음악, 저 너머 091 음악은 보편 언어일까요? = 295 092 행성들도 노래를 할까요? = 297 093 인간만이 음악을 창조할까요? = 301 094 음악은 듣기 위해서만 존재할까요? = 303 095 음악의 클래식(고전)은 유럽에만 존재할까요? = 306 096 음악에는 치유의 기능이 있을까요? = 310 097 음악은 다른 예술과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을까요? = 312 098 음악은 얼마나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 317 099 음악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요? = 320 100 음악을 배우는 것은 시간 낭비일까요? = 324 101 음악은 영원히 존재할까요? = 327 추천 음악 목록 = 329 옮긴이의 말 = 335 인명 찾아보기 = 337 음악사 연표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