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재무행정 서설
제1장 재무행정의 의의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 21
제2절 재무행정의 개념 = 22
제3절 재무행정의 학문적 의의와 연구영역 = 24
제2장 재무행정조직
제1절 재무행정조직의 의의와 체계 = 26
제2절 중앙예산기관 = 29
제3장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제1절 예산과 법률 = 39
제2절 예산관련법규의 기능 = 41
제3절 예산관련법규의 내용 = 44
제2부 예산 일반
제4장 예산의 개념과 기능
제1절 예산의 개념 = 65
제2절 예산의 기능 = 73
제5장 예산의 원칙
제1절 예산원칙의 의의 = 81
제2절 전통적 예산원칙 = 82
제3절 현대적 예산원칙 = 86
제6장 예산의 종류와 분류
제1절 예산종류의 의의 = 93
제2절 일반회계예산과 특별회계예산 = 96
제3절 본예산ㆍ수정예산ㆍ추가경정예산 = 99
제4절 잠정예산ㆍ가예산ㆍ준예상 = 101
제5절 통합예산 = 103
제6절 기금 = 108
제7절 예산의 분류 = 118
제3부 예산과정의 관리
제7장 예산의 과정
제1절 예산과정 = 133
제2절 예산운용권한의 배분 = 137
제8장 예산편성
제1절 예산편성의 개념 = 142
제2절 예산편성의 형태적 접근 = 145
제3절 예산편성절차 = 164
제9장 예산심의
제1절 예산심의의 의의와 기능 = 171
제2절 입법부의 구조와 예산심의 = 175
제3절 예산심의의 절차 = 179
제4절 예산심의의 특징 = 184
제10장 예산집행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와 목표 = 190
제2절 예산집행의 통제와 신축성 유지 = 195
제3절 예산집행의 과정과 활동 = 208
제11장 결산과 회계감사
제1절 결산 = 222
제2절 회계검사 = 231
제4부 예산이론과 예산분석
제12장 예산이론
제1절 예산이론의 의의와 발전 = 247
제2절 총체주의 = 252
제3절 점증주의 = 257
제13장 예산분석
제1절 예산분석의 개념 = 265
제2절 비용-편익분석 = 271
제5부 예산개혁론
제14장 예산개혁
제1절 예산개혁의 개념 = 285
제2절 품목별 예산제도 = 293
제3절 성과주의 예산제도 = 297
제4절 계획예산제도 = 304
제5절 영기준예산제도 = 310
제6절 성과관리예산제도 = 316
제15장 자본예산
제1절 자본예산의 의의 = 324
제2절 자본예산의 구성 = 326
제3절 자본예산의 효용과 한계 = 330
제16장 신공공관리와 예산개혁운동
제1절 신공공관리론 = 333
제2절 신공공관리론적 예산개혁 = 343
제3절 신공공관리론적 개혁의 한계와 방향 = 350
제6부 세입관리와 구매행정
제17장 조세제도와 세무행정
제1절 조세와 조세제도 = 358
제2절 세무행정의 조직과 기능 = 370
제18장 구매행정과 정부계약
제1절 구매행정의 개념 = 375
제2절 집중구매제도 = 379
제3절 구매행정의 절차 = 382
제4절 정부계약 = 385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