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재료역학의 발달사
1-1 재료역학의 역사와 의의 = 2
1-2 재료역학의 영역 및 해석 범위 = 5
1-3 하중의 종류 및 단위 = 6
1-4 지지점에 대한 일반적 선도 표시법과 합리적 설계방법 = 8
제2장 응력과 변형률
2-1 응력의 종류와 단위 = 12
2-2 변형과 변형률 = 15
2-3 응력-변형률 선도 = 18
2-4 후크의 탄성체와 탄성계수 = 22
2-5 일반화한 후크의 법칙 = 30
2-6 부하 환경 조건에 대한 재료의 기계적 성질 = 34
2-7 허용응력과 안전률 = 38
2-8 재료의 물질적 구조와 생브랑의 원리와 겹침 원리 = 40
제3장 인장, 압축 및 전단
3-1 인장, 압축, 전단탄성 변형에너지 = 56
3-2 충격응력 = 59
3-3 축하중을 받는 부정정 구조물 = 63
3-4 복합재료의 응력 = 71
3-5 자중을 고려한 봉의 인장 압축 = 73
3-6 얇은 벽의 압력용기가 받는 응력 = 78
3-7 열응력 = 83
제4장 조합응력과 모어의 응력원
4-1 경사단면에서 응력의 변화 = 98
4-2 이축 응력 및 변형률 상태 = 104
4-3 모어의 응력원 = 114
4-4 순수전단 상태 = 123
4-5 탄성계수 사이의 관계식 = 126
제5장 평면도형의 성질
5-1 면적 도심 = 140
5-2 관성모멘트 = 142
5-3 평행축 정리 = 143
5-4 극관성모멘트 = 149
5-5 상승 모멘트 = 152
제6장 비틀림과 변형
6-1 비틀림을 받는 봉 = 170
6-2 비틀림을 받는 원형단면봉의 응력과 변형 = 170
6-3 전단과 비틀림으로 인한 변형에너지 = 176
6-4 탄성-완전소성 원형 봉의 비틀림 = 179
6-5 얇은 관의 비틀림 = 184
6-6 전동축의 설계 = 190
제7장 보 속의 전단력과 굽힘모멘트
7-1 보의 종류와 하중 = 204
7-2 축력, 전단력과 굽힘모멘트 = 210
7-3 전단력 선도와 굽힘모멘트 선도 = 213
7-4 이동하중을 받는 단순지지 보 = 234
제8장 보의 응력 분포
8-1 보의 굽힘응력 = 246
8-2 보의 전단응력 = 257
8-3 조립보의 응력 분포 = 266
8-4 합성보의 응력 분포 = 269
8-5 보의 주응력 = 273
8-6 굽힘과 비틀림으로 인한 조합응력 = 276
8-7 두께가 얇은 부재의 전단응력과 전단중심 = 280
8-8 탄소성보 = 283
제9장 보의 처짐
9-1 개요 = 296
9-2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 = 297
9-3 굽힘모멘트 방정식의 적분에 의한 처짐 = 300
9-4 전단력과 하중방정식의 적분에 의한 처짐 = 304
9-5 모멘트-면적법 = 308
9-6 중첩법 = 316
9-7 불균일단면 보 = 319
9-8 굽힘의 변형에너지 = 323
9-9 충격하중에 의한 처짐 = 326
9-10 불연속함수 = 328
9-11 보의 처짐을 구하기 위한 불연속함수의 이용 = 335
9-12 온도의 영향 = 338
제10장 부정정 보
10-1 부정정 보 = 358
10-2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에 의한 해석 = 359
10-3 모멘트-면적법 = 362
10-4 중첩법 = 365
10-5 연속보 = 368
10-6 온도의 영향 = 374
제11장 특수단면보
11-1 균일 강도의 보 = 390
11-2 비대칭면내의 굽힘 = 398
11-3 전단중심 = 404
제12장 기둥
12-1 기둥의 정의 = 418
12-2 짧은 기둥 = 418
12-3 긴 기둥 = 418
12-4 기둥에 대한 실험공식 = 424
제13장 에너지법
13-1 일과 변형에너지 = 460
13-2 변형에너지밀도 = 467
13-3 수직응력에 의한 변형에너지 = 470
13-4 전단응력에 의한 변형에너지 = 477
13-5 일반응력상태에서의 변형에너지 = 480
13-6 일과 에너지 = 484
13-7 Castigliano 제 2정리 = 490
13-8 에너지법에 의한 충격하중 = 501
제14장 파손 및 파괴기준
14-1 항복 및 파손이론 = 524
14-2 피로하중 = 535
14-3 응력집중 = 544
14-4 파괴역학 = 553
14-5 피로파괴 = 568
부록 =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