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열려라, 말

열려라, 말 (2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지영, 1966-, 저 정희창, 1968-, 저 도원영, 1968-, 저 조태린, 1969-, 저 지연숙, 1970-, 저 유혜원, 1972-, 저
서명 / 저자사항
열려라, 말 / 신지영 [외]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011)  
형태사항
vi, 221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커뮤니케이션북스= CB ; 1374
ISBN
9788964060681
일반주기
공저자: 정희창, 도원영, 조태린, 지연숙, 유혜원  
소통과 공감, 새로운 관계 형성을 위한 말하기의 6가지 방법  
000 00976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588370
005 20130704093227
007 ta
008 100422s2010 ulka 000c kor
020 ▼a 9788964060681 ▼g 03710
035 ▼a (KERIS)BIB000011992634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808.5 ▼2 23
085 ▼a 808.5 ▼2 DDCK
090 ▼a 808.5 ▼b 2010z1
245 0 0 ▼a 열려라, 말 / ▼d 신지영 [외]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g (2011)
300 ▼a vi, 221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커뮤니케이션북스= ▼x CB ; ▼v 1374
500 ▼a 공저자: 정희창, 도원영, 조태린, 지연숙, 유혜원
500 ▼a 소통과 공감, 새로운 관계 형성을 위한 말하기의 6가지 방법
700 1 ▼a 신지영, ▼d 1966-, ▼e▼0 AUTH(211009)49205
700 1 ▼a 정희창, ▼d 1968-, ▼e▼0 AUTH(211009)66153
700 1 ▼a 도원영, ▼d 1968-, ▼e▼0 AUTH(211009)7533
700 1 ▼a 조태린, ▼d 1969-, ▼e
700 1 ▼a 지연숙, ▼d 1970-, ▼e
700 1 ▼a 유혜원, ▼d 1972-, ▼e▼0 AUTH(211009)30284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577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662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41081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577786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5210005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31041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5777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6624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41081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11577786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5210005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808.5 2010z1 등록번호 131041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혜원(지은이)

1972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국어학이라는 놀라운 학문을 접하고, 국어학자가 되겠다는 포부로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교양 과목과 전공 과목을 강의하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연구교수를 거치면서, 교육과 연구 경험을 쌓고, 현재는 단국대학교 교양학부에 재직 중이다. 교양학부에서 학생들에게 글쓰기와 말하기를 강의하면서 우리말의 다양한 표현 방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강의를 하면서 말하기라는 것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가를 체험하고 있다. 저자처럼 말하기를 통해 힘을 얻는 사람도, 또 표현보다는 생각의 힘이 큰 사람도 경험과 노력을 통해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믿기에, 많은 사람들이 세상과 잘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신지영(지은이)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5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1989년 학사학위를, 1991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학위과정을 수료했지만, 음성학 공부를 너무 하고 싶어 1993년 런던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다시 시작하였다. 1997년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와 나사렛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3년 3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로 자리를 옮겼다. 궁금한 것과 재미있는 것이 너무 많아 늘 질문이 많은 사람이며, 좋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사는 행복한 사람이다.

지연숙(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고전소설을 전공하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조선 후기 국문장편소설을 연구하며, 소설과 소설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교감본 한국한문소설』(1~7권)의 출간 작업에 참여했으며, 저서로 『장편소설과 여와전』, 공저로 『열려라, 말』이 있다

조태린(지은이)

나이, 출신지, 학력, 경력 등으로 선입견과 편견을 주고받는 것을 불편해 하지만, 어울리지 않는 신비주의로 불필요한 호기심을 자극한다는 비난이 두려워 신상 공개를 거부하지 못하는 소심한 사람이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파리10대학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과 언어정책론을 공부하여 박사를 마쳤다. 2005년 11월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사적인 자리에서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말재주가 없지만, 공적인 자리에서는 그나마 괜찮다는 무책임한 격려(?)에 고무되어 시작한 이 일 때문에 적지 않은 후회와 원망을 하기도 했다. 앞으로는 또다시 엮이면 안 된다고 다짐하면서도 즐거운 만남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리라는 불길한 예감에 설레는 줏대 없는 사람이다.

정희창(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국어학을 공부했다. 젊은 시절, 우연히 국립국어원에서 일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이후 십여 년간 국립국어원의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으로 재직하면서 국어사전, 맞춤법, 방송 언어, 학교 문법과 관련한 일을 담당했다.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국어의 의미와 문법을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어정서법》(공저), 〈수량 표현 ‘한 번’, ‘한’의 문법적 해석〉, 〈국어 준말의 연구〉 등이 있다.

도원영(지은이)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어사전, 중국어사전, 테툼어사전 등 평생 사전을 편찬하고 연구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 틈틈이 대학생들에게 유쾌하고 즐거운 언어생활을 위한 강의를 계속해 온 덕분에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여러 전문가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사전》, 《한국어 어휘론》, 《열려라, 말》 등을 썼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1장 말하기 
 말하기 능력이란 무엇인가? = 2
 우리에게 필요한 말하기 능력에는 무엇이 있을까? = 5
2장 자기소개 
 나, 너, 그리고 상황 이해하기 = 14
 내용 구성 = 24
 표현 전략 = 29
 예행 연습 = 34
3장 프레젠테이션 
 정보 전달 프레젠테이션 = 46
 설득 프레젠테이션 = 72
4장 면접 
 치밀해와 어설퍼, 면접의 재구성 = 86
 면접 길라잡이 = 102
5장 대화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 = 116
 민재의 하루 = 118
 이럴 땐 이렇게 말하자 = 131
 말하기의 자기 진단 = 139
6장 토론 
 토론에 나서게 된 조용한 = 144
 조용한의 토론 준비 = 145
 사회의 고수: 신속희의 진법 = 148
 논증의 고수: 강선검의 검법 = 154
 반박의 고수: 진상박의 권법 = 158
 위기 탈출의 고수: 구회생의 비법 = 163
 조용한의 깨달음과 꿈 = 166
7장 회의 
 회의를 위한 준비 = 173
 회의 진행의 기본 기술 = 182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회의 진행자 = 195
 더 나은 회의를 위한 기술 = 204
그리고 못 다한 이야기들 = 220 

관련분야 신착자료

박도형 (2022)
Dillon, Brian (2023)
Char, René (2023)
Saki (2022)
김은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