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소개 = ⅳ
옮긴이 머리말 = ⅴ
지은이 소개 = ⅸ
감사의 글 = ⅹ
서장 = 1
이행에서 발전으로 = 3
중국이 지나온 길 = 4
이중의 이행 = 6
중국경제의 성장 실적 = 7
"정상적인" 국가로 거듭나기 = 10
미래의 중국 = 13
이 책의 사용법 = 15
PART Ⅰ 유산과 환경 = 21
CHAPTER 01 지리적 환경 = 23
1.1 지형 = 24
1.2 기후와 강수 = 27
1.3 성(省)과 지역들 = 29
1.4 광물 자원 = 37
1.5 결론: 지역적 차이 = 38
CHAPTER 02 1949년 이전의 중국경제 = 43
2.1 전통경제(1127∼1911) = 45
2.2 산업화의 개시, 1912∼1937 = 56
2.3 전쟁과 내란, 1937∼1949 = 62
2.4 1949년 이전 시기의 경제가 남긴 유산 = 65
CHAPTER 03 사회주의 시기(1949∼1978): 빅 푸쉬 공업화와 정책의 불안정성 = 73
3.1 빅 푸쉬 발전전략 = 75
3.2 중국의 지령경제체제 = 79
3.3 정책적 불안정성 = 82
3.4 사회주의 시기의 유산들 = 103
CHAPTER 04 시장으로의 이행: 전략과 절차 = 111
4.1 시장경제로의 전환에 대한 중국의 접근방법 = 112
4.2 개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농촌지역에서의 최초의 돌파구 = 115
4.3 경제개혁의 2단계 접근법 = 118
4.4 1992년까지 중국에서 시장으로의 이행을 구성한 요소들 = 119
4.5 천안문 간주기 = 129
4.6 개혁의 두 번째 국면, 1993∼현재 = 132
4.7 현재 당면하고 있는 도전들 = 141
CHAPTER 05 도시-농촌의 분리 = 147
5.1 이중적 체제: 도시와 농촌의 분리 = 148
5.2 도시화 = 164
5.3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 = 168
5.4 도농간 분리의 경제적 결과 = 171
5.5 결론 = 175
PART Ⅱ 성장과 발전의 패턴 = 179
CHAPTER 06 성장과 구조적 변화 = 181
6.1 경제성장 = 183
6.2 투자 = 188
6.3 구조적 변화: 공통된 패턴 = 194
6.4 중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노동 = 197
6.5 중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GDP = 200
6.6 구조적 변화와 세계화 = 204
6.7 결론 = 206
CHAPTER 07 인구증가와 한 자녀 가족 = 211
7.1 인구학적 천이 = 212
7.2 중국의 인구학적 천이 = 215
7.3 정부 정책의 역할 = 220
7.4 한 자녀 정책의 결과 = 223
7.5 변화는 연령 구조 = 226
7.6 결론 = 231
CHAPTER 08 노동과 인적자본 = 235
8.1 중국 노동의 제도적 전환 = 237
8.2 중국의 노동시장은 얼마나 잘 작동하고 있는가? = 252
8.3 사회보장 = 266
8.4 결론 = 272
CHAPTER 09 생활수준: 소득, 불평등, 그리고 빈곤 = 277
9.1 소득 증가 = 278
9.2 빈곤 = 281
9.3 불평등 = 288
9.4 삶의 물리적 질을 나타내는 척도들 = 294
9.5 소득, 1인당 GDP, 구매력평가(PPP) 기준에 대한 재론 = 299
9.6 결론 = 301
PART Ⅲ 농촌 경제 = 305
CHAPTER 10 농촌조직 = 307
10.1 중국의 촌락 = 308
10.2 농업 집체 = 310
10.3 농촌에서의 두 번째 혁명: 농촌개혁, 1979∼1984 = 320
10.4 농촌 토지 시장의 등장 = 329
CHAPTER 11 농업: 산출, 투입 그리고 기술 = 335
11.1 1949년 이후의 농업에 대한 개관 = 337
11.2 농업에서 기술 선택과 기술 혁신 = 339
11.3 녹색혁명 = 343
11.4 농촌의 동력체계 = 350
11.5 총산출량과 단위 산출량: 집약화에 대한 도전 = 352
11.6 다양화와 미래의 도전 = 353
11.7 유전자변형농산물(GMO) = 355
11.8 세계화 = 356
CHAPTER 12 농촌의 산업화: 향진기업 = 361
12.1 향진기업의 기원 = 362
12.2 향진기업 발전의 황금기 = 365
12.3 급속한 성장의 원인 = 366
12.4 향진기업 발전의 지역적 다양성 = 376
12.5 새로운 세기에 들어선 향진기업 = 380
12.6 21세기 새로운 형태의 농촌산업의 출현 = 389
PART Ⅳ 도시 경제 = 395
CHAPTER 13 소유와 지배구조 = 397
13.1 소유구조의 변화: 다양한 산업적 기반 = 399
13.2 산업 금융 = 407
13.3 국유부문 기업지배구조의 전환 = 412
13.4 민영화와 혼합형 소유 = 432
13.5 결론 = 434
CHAPTER 14 구조적 변화: 산업, 에너지, 인프라 = 439
14.1 제조업의 성장 및 구조변화 = 440
14.2 에너지 = 445
14.3 통신 = 459
14.4 일반적 특징: 인프라 투자 = 462
14.5 결론 = 464
CHAPTER 15 기술 정책과 지식기반 경제 = 469
15.1 핵심 기술의 추구: 연구개발 활동 = 472
15.2 인적자본 자원 기반 = 485
15.3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 = 488
15.4 21세기 정부의 기술 정책 재정립 = 491
15.5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로의 깊숙한 통합 = 494
15.6 결론 = 499
PART Ⅴ 중국과 세계경제 = 505
CHAPTER 16 국제무역 = 507
16.1 배경 = 509
16.2 무역 개혁의 과정 = 511
16.3 이중 무역체계: 수출품 가공체계 = 519
16.4 개방 경제를 향하여 = 522
16.5 결과: 급속한 성장과 구조적 변화 = 528
16.6 무역의 중국 내 지역별 구성 = 533
16.7 결론 = 535
CHAPTER 17 외국인 투자 = 539
17.1 중국경제에서 외국인 직접투자 = 541
17.2 "특구들": 투자 체제의 점진적 자유화 = 545
17.3 오늘날의 투자 체제 = 551
17.4 중국에 대한 투자 자원들 = 555
17.5 중화권(China Circle) = 559
17.6 외국인 직접투자의 내용 = 562
17.7 결론 = 567
PART Ⅵ 거시경제와 금융 = 571
CHAPTER 18 거시경제적 추세와 순환 = 573
18.1 국민 저축의 추세 = 574
18.2 재정체계와 재정개혁 = 577
18.3 오늘날의 재정체계 = 584
18.4 재정적자와 재정정책 = 591
18.5 인플레이션과 거시경제적 순환 = 592
18.6 금융정책 = 595
18.7 결론 = 597
CHAPTER 19 금융체계 = 601
19.1 계획경제기 및 개혁기의 금융체계 = 603
19.2 은행체계 = 608
19.3 은행체계의 허약성 = 615
19.4 주식시장: 기는 법을 배우는 중? = 626
19.5 채권시장 = 638
19.6 기타 금융시장들 = 639
19.7 결론 = 640
PART Ⅶ 결론: 중국의 미래 = 647
CHAPTER 20 환경의 질과 성장의 지속가능성 = 649
20.1 오염 = 652
20.2 지속가능성 = 660
20.3 결론 = 669
찾아보기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