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02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588168 | |
005 | 20120919150436 | |
007 | ta | |
008 | 090325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249446 ▼g 93510 | |
035 | ▼a (KERIS)REQ000015353315 | |
040 | ▼a 224010 ▼c 224010 ▼d 22401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6/4 ▼2 22 |
085 | ▼a 612.64 ▼2 DDCK | |
090 | ▼a 612.64 ▼b 2010 | |
100 | 1 | ▼a Moore, Keith L. |
245 | 2 0 | ▼a (핵심) 인체발생학 / ▼d Keith L. Moore, ▼e T. V. N. Persaud ; ▼e 대한체질인류학회 역 |
246 | 1 9 | ▼a Before we are born : ▼b essentials of embryology and birth defects ▼g (7th ed.) |
260 | ▼a 서울 : ▼b 이퍼블릭, ▼c 2010 | |
300 | ▼a viii, 353 p. : ▼b 천연색삽화 ; ▼c 28 cm | |
500 | ▼a 편집위원(대한체질인류학회): 길영기, 김대광, 김대진 외 21인 | |
500 | ▼a 부록: 임상적응문제 해설 | |
504 | ▼a 참고문헌(p. 321-32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mbryology, Human |
650 | 0 | ▼a Abnormalities, Human |
650 | 1 2 | ▼a Embryonic Development |
700 | 1 | ▼a Persaud, T. V. N., ▼e 저 |
700 | 1 | ▼a 길영기, ▼e 편 |
700 | 1 | ▼a 김대광, ▼e 편 |
700 | 1 | ▼a 김대진, ▼e 편 |
710 | ▼a 대한체질인류학회,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2.64 2010 | 등록번호 1310375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람발생학과 관련되어 체외수정과 시험관아기, 복제 등은 의학이나 생명과학분야, 유전학분야에서도 최고의 연구과제이며 사람유전체지도는 물론 주문형 유전관련 난치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과학계 주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연구재료의 획득이나 종교적 및 윤리적 측면에서 엄청난 제한으로 인해 벽에 부딪치고 있다. 그러나 과학의 시대적 흐름과 생명과학의 진보는 많은 벽을 허물면서 미래 의학의 바람대로 움직일 것이다.우리나라의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학도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의학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과거에 비해 절반 정도로 줄어들거나 통합교육의 일부로만 활용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나 그 주변 분야에서도 더더욱 이와 관련된 교육시간이 감소되고 있다. 이에 『핵심 인체발생학』은 『인체발생학』의 내용을 재구성함으로써 시간의 제한성과 중점 내용의 간추림 등을 통해 또 다른 교과서를 제작하였다. 이는 사람발생학에 쉽게 접근하고 학습목표의 성취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는 의학도는 물론 의학주변 관련분야의 학생들과 새로운 교재를 필요로 하는 여러 교육자에게도 반가운 소식이라 생각된다.여덟째 판인 『The Developing Human』에는 내용이 사람발생학과 관련되어 기본발생학 과정과 분자생물학, 유전학, 기형학, 임상의학 등의 엄청난 지식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일곱째 판인 『Before We are Born』은 기본발생학 과정과 기초적인 기형학 및 임상의학 등에 관련되어 중점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Before We are Born』을 기본으로 한 『핵심 인체발생학』은 인체발생학의 중점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토대로 제작된 책이다. 우리나라 기초의학교육과정을 관찰하건데 임상의학이나 연구 분야에서 사람발생학 분야의 중요성은 커져가는 데 비해 기초의학 교육시간은 지난 10여년 전부터 계속적으로 줄고 있다. 시기적절하게 사람발생학 관련 내용이 압축되고 관련분야를 포함한 모든 새로운 교과서가 새로이 요구되는 상황에 도달되어 있었던 시점이다. 『인체발생학』의 기본 중점 내용을 살리면서 임상의학 및 기형학분야도 고루 다룬 『핵심 인체발생학』은 우리 의학도들에게도 시간에 덜 쫓기면서 발생학 학업성취도를 한 단계 끌어올리고 발생학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줄 새로운 교과서라고 굳게 믿는 바이다. 대한해부학회 『해부학용어』(제5판, 2005년)와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제5판, 2009년)이 새롭게 출간된 것을 기회로 대한체질인류학회 평의원회에서는 『인체발생학』에 이어 『핵심 인체발생학』을 우리말로 옮겨 시대적 부응에 따른 학생교육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는 데 의견을 함께하였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1 서론 = 1 발생학용어 = 2 발생학의 중요성과 접근 = 2 기술전문용어 = 8 임상적응문제 = 8 2 사람생식 = 9 생식기관 = 10 생식자발생 = 12 여성생식주기 = 16 생식자의 수송 = 21 정자의 성숙 = 22 생식자의 생존력 = 22 임상적응문제 = 22 3 사람발생: 배아나이 1주 = 23 수정 = 24 접합자의 분할 = 27 주머니배의 형성 = 28 임상적응문제 = 29 4 사람발생: 배아나이 2주 = 30 양막공간과 배아원반형성 = 31 융모막주머니의 발생 = 33 주머니배의 착상장소 = 33 임상적응문제 = 35 5 사람발생: 배아나이 3주 = 36 창자배형성: 종자층의 형성 = 37 신경배형성: 신경관의 형성 = 40 몸분절의 발생 = 42 배아속체강의 발생 = 45 심장혈관계통의 초기 발생 = 46 융모막융모의 발생 = 48 임상적응문제 = 48 6 사람발생: 배아나이 4~8주 = 49 배아의 주름형성 = 50 배엽층 파생물 = 50 배아발생의 조절 = 50 배아나이 4~8주의 특이 발달과정 = 54 배아나이의 추정 = 60 임상적응문제 = 61 7 태아기: 태아나이 9주에서 출생까지 = 62 태아나이의 산정 = 63 태아기 특이 사항 = 64 태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8 태아의 상태를 진단하는 여러 가지 방법 = 68 임상적응문제 = 70 8 태반과 태아막 = 71 태반 = 72 분만(출산) = 79 양막과 양수 = 84 배꼽소포(난황주머니) = 86 요막 = 87 뭇임신의 태아막 = 87 임상적응문제 = 91 9 체강과 창자간막 = 92 배아체강 = 93 가로막의 발생 = 95 임상적응문제 = 100 10 인두기관 = 101 인두굽이 = 102 인두주머니 = 107 인두고랑 = 109 인두막 = 109 갑상샘의 발생 = 109 혀의 발생 = 113 침샘의 발생 = 115 얼굴의 발생 = 117 코안의 발생 = 121 입천장의 발생 = 122 임상적응문제 = 128 11 호흡기관 = 129 후두의 발생 = 131 기관의 발생 = 131 기관지 및 허파의 발생 = 131 임상적응문제 = 137 12 소화계통 = 138 앞창자 = 139 지라의 발생 = 145 중간창자 = 146 뒤창자 = 148 임상적응문제 = 161 13 비뇨생식계통 = 162 비뇨계통의 발생 = 164 부신의 발생 = 173 생식계통의 발생 = 173 샅굴의 발생 = 186 임상적응문제 = 189 14 심장혈관계통 = 190 심장과 혈관의 초기발생 = 191 심장의 출생전 발달 = 195 심장과 큰혈관의 기형 = 205 인두굽이동맥의 파생물 = 214 인두굽이동맥 기형 = 214 태아순환과 신생아순환 = 217 림프계통의 발생 = 219 임상적응문제 = 224 15 근육뼈대계통 = 225 뼈대계통 = 226 뼈와 연골의 발생 = 227 관절의 발생 = 229 몸통뼈대의 발생 = 229 팔다리뼈대의 발생 = 236 근육계통 = 237 팔다리의 발생 = 242 임상적응문제 = 252 16 신경계통 = 253 신경계통의 기원 = 254 척수의 발생 = 254 척수의 선천기형 = 258 뇌의 발생 = 260 뇌의 선천기형 = 270 말초신경계통의 발생 = 274 자율신경계통의 발생 = 276 임상적응문제 = 277 17 눈과 귀 = 278 눈과 관련 구조물의 발생 = 279 귀의 발생 = 287 임상적응문제 = 290 18 외피계통 = 291 피부의 발생 = 292 털의 발생 = 294 손발톱의 발생 = 295 젖샘의 발생 = 295 치아의 발생 = 296 임상적응문제 = 301 19 사람의 출생결함 = 302 기형학: 비정상적 발생을 연구하는 분야 = 303 유전요인에 의한 이상 = 303 환경요인에 의한 이상 = 311 뭇인자유전에 의한 이상 = 319 임상적응문제 = 320 참고문헌 = 321 임상적응문제의 해설 및 답 = 326 한글 찾아보기 = 335 영어 찾아보기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