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8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586568 | |
005 | 20100805055443 | |
007 | ta | |
008 | 100226s2010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2162234 ▼g 03180 : ▼c \12,000 | |
035 | ▼a (KERIS)BIB000011944971 | |
040 | ▼a 241050 ▼c 241050 ▼d 244002 | |
082 | 0 4 | ▼a 154.7 ▼2 22 |
090 | ▼a 154.7 ▼b 2010 | |
100 | 1 | ▼a 최준식 |
245 | 1 0 | ▼a 내안의 아바타를 찾아서 : ▼b 최준식의 최면 이야기 / ▼d 최준식 지음. |
260 | ▼a 서울 : ▼b 북성재 : ▼b 허원미디어, ▼c 2010. | |
300 | ▼a 260 p. : ▼b 삽도 ; ▼c 23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154.7 2010 | Accession No. 1512859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아바타는 인도어로 지상에 나타난 신의 분신, 화신을 뜻한다. 이 화신은 모든 사람의 내면에 있는 신성을 뜻하기도 한다. <내 안의 아바타를 찾아서>는 우리가 바라는 소명, 혹은 숙제가 무엇인지 찾아가는 데 무의식이 답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저자 최준식 교수는 1부에서는 심리학 이야기를, 2부에서는 최면 이야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리의 의식은 타율적인 습관과 주변의 간섭, 특히 부모 등 가까운 사람들이 흔들어서 자신이 무얼 하고 살아야 하는지, 자신의 하고 싶은 게 무엇이었는지 다 놓치고 다 잊어버렸다. 그러나 우리의 무의식은 아직도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 즐거운지 다 저장고에 넣어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 보물창고로 가는 길은 쉽지는 않겠지만, 최면이라는 도구를 통하면 무의식의 보물창고에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닿을 수 있고 그곳에서 자신이 원하는 보물을 찾을 수 있다. 즉, 그 행복을 찾아가는 데 자신의 아바타를 만나는 것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이 책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내 안의 아바타를 찾는 쉬운 방법
아바타는 인도어로 지상에 나타난 신의 분신, 화신을 뜻한다. 이 화신은 모든 사람의 내면에 있는 신성을 뜻하기도 한다. 우리는 자신의 아바타를 쉽게 발견하지 못해 대부분 행복하지 못하게 산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겠지만 자신의 역할과 소명을 혼동하기 때문에 그런 면이 크다. 우리는 자신이 맡은 역할이 자기인 줄 알고 그것에만 충실하려고 한다. 그런데 그 역할이란 주위로부터 끊임없이 주입된 것이다. 부모의 의견에 휘둘려 매우 비주체적으로 살고 있다. 이것은 자신이 사는 게 아니니 불행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행복해질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은 주체를 회복하는 길이다. 그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워낙 주의의 간섭이 심하기 때문에 자신도 어디까지가 자기인지 알 수 없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자기의 본모습을 불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 바로 자기의 무의식과 만나는 것이다.
무의식은 답을 다 알고 있다?!
우리가 이번 생애에 태어난 진짜 목적을 알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의 무의식은 그 답을 알고 있다는 것이 심리학이나 최면 등을 통해 많이 밝혀지고 있다.
<내 안의 아바타를 찾아서>는 우리가 바라는 소명, 혹은 숙제가 무엇인지 찾아가는 데 지도가 되어줄 책이다. 숙제, 소명이라 하면 조금 생경하거나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어서, 이 책에서는 그것을 단 한 가지 질문으로 요약하였다.
“당신은 무엇을 할 때 가장 즐겁고 행복한가?”
우리의 의식은 타율적인 습관과 주변의 간섭, 특히 부모 등 가까운 사람들이 흔들어서 자신이 무얼 하고 살아야 하는지, 자신의 하고 싶은 게 무엇이었는지 다 놓치고 다 잊어버렸다. 그러나 우리의 무의식은 아직도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 즐거운지 다 저장고에 넣어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 보물창고로 가는 길은 쉽지는 않겠지만, 최면이라는 도구를 통하면 무의식의 보물창고에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닿을 수 있고 그곳에서 자신이 원하는 보물을 의식으로 끌어올려 그걸 하면서 살아가자고 저자 최준식 교수는 권하고 있다. 그 행복을 찾아가는 데 자신의 아바타를 만나는 것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이 책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1부 심리학 이야기, 2부 최면 이야기로 나뉜다.
특히 최준식 교수는 행복한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인간의식연구센터를 개설하여 매주 화요일이면 최면, 임사체험, 종교를 넘어선 종교 등을 주제로 강의도 하고 직접 무의식을 찾아가는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준식(지은이)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미국 템플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을 전공했다. 1992년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에 교수로 부임하면서 한국문화에 대해 폭넓은 공부를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국제한국학회’를 만들어 김봉렬 교수나 오주석 선생 등과 같은 동학들과 더불어 한국문화를 다각도로 연구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사단법인 ‘한국문화표현단’을 만들어 우리 예술문화를 공연 형태로 소개하는 운동을 시작했고 지금도 여전히 하고 있다. 2013년에는 ‘한국문화중심’이라는 복합문화공간을 만들어 한국문화 전반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 동북아문명의 창조와 보존』, 『행복은 가능한가』, 『한국문화 오리엔테이션』, 『한국문화 교과서』, 『한국의 문기』, 『한국의 신기』, 『서울 문화 순례』,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조선의 도인들』, 『죽음의 미래』 등 한국학과 종교학 그리고 죽음학 분야의 많은 책을 썼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감사의 글 '인간의식연구센터'의 발진(發進)에 붙여 = 4 서문 = 7 서설 행복으로 가는 내면여행 = 14 우리가 행복하지 못한 내면적인 이유 = 19 혼자서는 존재하지 못하는 우리들 = 24 다른 사람을 간섭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 32 1부 심리학 이야기 자유로부터 도피하는 인간 = 40 에리히 프롬의 최면 이야기 = 41 인간은 모두 최면에 걸려 살고 있다! = 46 의식은 몸보다 상위개념이다! = 52 세계는 우리의 마음이 만들어낸다 = 55 주체성을 무력화하는 세뇌 = 65 선분 맞히기 실험 = 66 세뇌의 노하우 = 73 어려운 세뇌 풀기 작업(deprogamming) = 77 마음은 물 흐르듯이 흘러야 한다 = 80 권위에 너무나도 약한 우리 = 85 밀그램의 전기 쇼크 실험 = 86 우리는 명령을 수행한 뿐이다 - 이성은 어디에? = 90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작은 독재자 = 94 외적인 권위에 약한 인간들의 여러 가지 모습 = 94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는 우리들 - 죄수와 간수 역할 분담 실험 = 103 남에게 휘둘리지 않는 성자들 = 109 주견이 없는 우리 = 114 주체적인 인간이 되려면 = 117 2부 최면 이야기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 126 제3심리학의 대두 - 인간의 행복을 찾아서 = 126 매슬로의 인간욕구 발달단계 = 130 자아를 찾아가는 방법 = = 138 인간의 무의식이란? - 최면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 과정 = 146 무의식으로 가기 전에 보아야 할 몇 가지 가정 = 147 프로이트가 인류에게 안긴 세번째 상처 = 154 융을 중심으로 한 무의식의 새로운 해석 = 158 무의식과 꿈에 대한 새로운 생각 = 168 최면을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 최면에 대한 선입견을 지워라 - 방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175 최면은 확실하게 인정받은 정통의학이다 = 180 광범위하게 쓰이는 최면법 = 189 최면에 대한 오해와 진실 = 192 최면은 수면이나 무의식 상태가 아니다 = 193 최면이 위험하다고? = 195 그 밖의 작은 오해들 = 198 최면의 역사 = 201 최면의 역사 = 202 최면의학계의 도인, 밀턴 에릭슨 = 209 에릭슨의 은유와 상징 체계 = 211 에릭슨만의 독특한 상담 이론 = 215 최면을 통해 잠자는 아바타를 깨워라 = 219 최면은 고도의 집중상태다 = 219 모든 잠재력은 인간의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다 = 224 에릭슨이 제시하는 최면의 과정 = 226 에릭슨의 독특한 최면 치료법 = 228 내 안의 아바타를 찾는 실제 방법 - 초보적 단계를 중심으로 = 235 최면감수성 측정하기 = 235 최면의 단계들 = 240 유도 단계 = 242 탐구 단계 = 245 소결 = 245 마치면서 마음의 지도를 들고 출발선에 서다 =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