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총설
제1절 국가ㆍ국민ㆍ정부ㆍ행정 = 3
Ⅰ. 국가 = 3
1. 개념과 특성 = 3
2. 성격 = 4
Ⅱ. 국민 = 5
1. 개념 = 5
2. 지위 = 6
3. 행정의 대상인 국민 = 7
Ⅲ. 정부 = 9
1. 개념 = 10
2. 이론 = 10
Ⅳ. 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 15
1. 시장실패 = 15
2. 정부의 역할 = 16
3. 정부역할의 변화와 규모에 대한 논쟁 = 22
Ⅴ. 행정 = 27
1. 개념 = 27
2. 행정과 정책형성 = 29
3. 행정과 경영 = 31
제2절 행정지도원리(이념) = 34
Ⅰ. 의의 = 34
1. 개념 = 34
2. 특성 = 34
3. 역할 = 35
4. 행정지도원리의 변화 = 36
Ⅱ. 유형 = 37
1. 합법성 = 37
2. 능률성 = 39
3. 효과성 = 40
4. 민주성 = 40
5. 사회적 형평성 = 43
제3절 행정학 접근법 = 44
Ⅰ. 접근법 = 44
1. 사회학적 접근법 = 44
2. 생태학적 접근법 = 45
3. 이데올로기적 접근법 = 45
4. 사회심리학적 접근법 = 46
5. 역사적 접근법 = 48
6. 비교연구법 = 49
7. 사례연구법 = 49
Ⅱ. 접근법의 요약 = 50
제2장 행정학의 독립과 시대별 주요이론
제1절 행정학의 독립 = 55
Ⅰ. 행정학 독립의 배경 = 55
1. 행정학 독립 이전 = 55
2. 행정학의 독립 = 56
Ⅱ. 행정학 변천 시대구분 = 57
1. 2단계론 = 58
2. 3단계론 = 58
제2절 생성기의 주요이론 = 58
Ⅰ. 과학적 관리법 = 59
1. 내용 = 59
2. 공헌 = 61
Ⅱ. Weber의 관료제 = 62
1. 배경 = 62
2. 원리 = 63
3. 평가 = 65
4. 관료제와 민주주의 = 68
Ⅲ. 원리접근법 = 70
1. 배경 = 70
2. 조직편성원리 = 70
3. 원리접근법에 대한 비판 = 74
Ⅳ. 인간관계론 = 77
1. 호손 공장의 실험 = 77
2. 실험결과 = 79
3. 평가 = 80
4. 과학적 관리법과 인간관계론의 논쟁 = 82
제3절 발전ㆍ성숙기의 주요이론 = 84
Ⅰ. 동기부여이론 = 84
Ⅱ. 비교행정론 = 85
1. 배경 = 85
2. 발전계기 = 86
3. 접근법 = 86
4. 연구결과 = 87
5. 결론 = 88
Ⅲ. 조직-환경구성단위론 = 88
1. 의미 = 88
2. 제휴의 효과 = 89
Ⅳ. McGregor의 XㆍY이론 = 90
1. X이론 = 90
2. Y이론 = 91
Ⅴ. 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 = 93
1. 서론 = 93
2. 구성원 관리방법 = 93
3. 관리에서의 의미 = 94
제4절 전환기의 주요이론 = 95
Ⅰ. 개방체제이론 = 96
1. 서론 = 96
2. 체제의 개념 = 97
3. 체제과정 = 97
4. 특징 = 98
5. 평가 = 99
Ⅱ. 발전행정 = 99
1. 배경 = 99
2. 의의 = 99
3. 강조점 = 100
4. 문제점 = 101
Ⅲ. 행정국가 = 102
1. 성격 = 102
2. 배경 = 102
3. 특징 = 104
4. 기대와 문제점 = 107
Ⅳ. 상황이론 = 109
1. 의의 = 109
2. 특징 = 109
3. 평가 = 109
Ⅴ. 신행정학 = 110
1. 배경 = 110
2. 논의결과 = 110
3. 제안내용 = 112
4. 한계 = 112
5. 평가 = 113
Ⅵ. 조직발전이론 = 113
1. 개념 = 113
2. 특성 = 114
3. 임무(mission) = 115
4. 인간관계론과의 차이 = 116
5. 방법 = 116
6. 기능과 과정 = 118
7. 도입결과 = 119
Ⅶ. 작은 정부이론 = 119
1. 작은 정부이론 = 120
2. 감축관리 = 123
3. 민간화 = 127
4. 규제완화 = 131
Ⅷ. 신공공관리 = 132
1. 서론 = 132
2. 개념의 다양성과 공통점 = 133
3. 관리의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 = 133
4. 근거이론 = 135
5. 변화내용 = 138
6. 신공공관리 적용 결과 = 144
Ⅸ. 신제도론 = 144
1. 의의 = 144
2. 주요 특성 = 145
3. 문제점 = 146
Ⅹ. 거버넌스(Governance) = 147
1. 개념 = 147
2. 영향를 미친 이론 = 148
3. 제안 배경 = 148
3. 특성 = 149
4. 제약점 = 150
XI. 혼돈이론(Chaos Theory) = 150
1. 개념 = 150
2. 대상 = 151
3. 특성 = 151
4. 한계 = 152
XII. 후기관료제(Post-Bureaucracy) = 152
1. 등장 배경 = 152
2. 주장내용의 요지 = 153
제3장 조직이론
제1절 조직이론의 기초 = 159
Ⅰ. 개념과 유형 = 159
1. 개념 = 159
2. 유형 = 160
Ⅱ. 조직이론의 구분 = 163
1. 고전적 조직이론 = 163
2. 신고전적 조직이론 = 164
3. 현대적 조직이론 = 166
Ⅲ. 조직이론모형 = 167
1. 폐쇄모형 = 167
2. 개방모형 = 168
3. 폐쇄모형과 개방모형의 비교 = 168
4. 통합모형 = 171
Ⅳ. 조직의 목표 = 172
1. 의미 = 172
2. 유형 = 172
3. 목표의 변동 = 173
4. 조직목표와 개인목표의 일치 모형 = 175
제2절 조직구조론 = 177
Ⅰ.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 177
1. 공식조직 = 177
2. 비공식조직 = 178
Ⅱ. 계선과 막료 = 180
1. 개념 = 180
2. 기능 = 181
3. 계선과 막료간의 갈등 = 182
4. 개선책 = 184
Ⅲ. 집권과 분권 = 186
1. 개념 = 186
2. 경향성 = 186
3. 지배요인 = 187
4. 장ㆍ단점 = 189
Ⅳ. 특수 조직 = 190
1. 위원회 = 190
2. 조직의 동태화 = 194
제3절 구성원 관리이론 = 197
Ⅰ. 인간관의 변천 = 197
1. 고전적 조직이론 = 197
2. 초기 인간관계론 = 198
3. 현대적 인간관 = 199
Ⅱ. 동기의 개념과 과정 = 199
1. 동기의 개념과 역할 = 199
2. 동기과정 = 200
3. 동기이론의 유형 = 201
Ⅲ. 내용이론 = 202
1. Maslow의 욕구단계론 = 202
2. Alderfer의 ERG이론 = 204
3.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 206
4. Herzberg의 동기ㆍ위생이론 = 207
Ⅳ. 과정이론 = 209
1. 의미 = 209
2. 가정 = 210
3. Vroom의 선호-기대이론(VIE이론) = 210
4. Porter와 Lawler의 업적-만족이론 = 212
Ⅴ. 행태론자들의 동기이론 = 215
1. Adams의 형평이론 = 215
2. 학습과 강화이론 = 217
Ⅵ. 구성원의 개성과 인간형 = 221
1. 개성 = 221
2. Schein의 인간형 = 222
3. Presthus의 인간형 = 223
4. Downs의 관료의 효용극대화 함수와 행태유형 = 224
5. 기타 인간형 = 226
제4절 조직과 환경ㆍ문화 = 227
Ⅰ. 조직환경과 환경 = 228
1. 서론 = 228
2. 조직환경의 유형 = 229
3. 조직과 환경의 상호작용 = 230
Ⅱ.조직문화 = 232
1. 개념 = 232
2. 문화의 형성과 유지 = 232
3. 기능 = 233
제4장 관리론
제1절 관리일반 = 237
Ⅰ. 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 237
1. 개념 = 237
2. 관리 효율화의 필요성 = 237
Ⅱ. 관리의 효율화 방안 = 239
1. 행정수요 파악과 대처 = 239
2. 의사소통의 원활화 = 239
3. 참여 확대 = 239
4. 리더십의 발휘 = 240
5. 상황적응적 조직설계 = 240
6. 기타 = 240
제2절 권력과 리더십 = 241
Ⅰ. 권력 = 241
1. 개념과 속성 = 241
2. 권력과 권위 = 241
3. 권력의 원천 = 242
4. 권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45
5. 권력의 효과적인 활용 = 246
Ⅱ. 리더십 = 247
1. 의의 = 247
2. 접근법 = 248
3. 리더십 양식 = 262
Ⅲ. 최고관리자의 역할과 저해요인 = 265
1. 최고관리자의 역할 = 265
2. 효과적인 리더십의 조건 = 268
3. 역할 저해요인 = 269
Ⅳ. 중간관리자의 역할 = 270
1. 개념 = 270
2. 중간관리자에 대한 상반된 시각 = 270
3. 역할 = 271
Ⅴ. 갈등과 조정 = 272
1. 갈등 = 272
2. 조정 = 279
제3절 의사전달 = 282
Ⅰ. 조직 내 의사전달 = 282
1. 의의 = 282
2. 의사전달체계의 유형 = 283
3. 의사전달의 방향성 = 284
Ⅱ. 공공관계(PR) = 286
1. 개념 = 286
2. PR의 지도원리 = 287
3. 순기능과 역기능 = 287
Ⅲ. 정보공개 = 289
1. 의의 = 289
2. 정보공개의 목적 = 290
3. 정보공개제도의 내용 = 290
4. 정보공개거부의 구제제도 = 292
제4절 총체적 질 관리와 생산성 = 293
Ⅰ. 총체적 질 관리(TQM) = 293
1. 개념 = 293
2. 공공부문 도입의 필요성 = 294
3. 구성요소 = 294
4. 기대 = 296
5. 문제점 = 297
Ⅱ. 생산성 = 298
1. 의의 = 298
2. 생산성 측정의 접근법 = 299
3. 자료의 용도 = 301
4. 생산성 향상 방안 = 302
5. 생산성 측정의 제약점 = 304
제5장 공공정책론
제1절 정책의 일반 = 309
Ⅰ. 정책의의 = 309
1. 개념 = 309
2. 정책의 특성 = 310
3. 정책학 분야의 변천 = 310
Ⅱ. 정책결정과정 = 312
1. 정책결정 = 312
2. 정책결정 단계 = 312
Ⅲ. 정책의제설정 = 314
1. 개념 = 314
2. 성격 = 315
3. 정책의제설정 모형 = 316
4. 무의사결정 = 317
Ⅳ. 정책형성과정의 참여자 = 318
1. 공식적 참여자 = 319
2. 비공식적 참여자 = 320
3. 참여를 통한 바람직한 정책결정 = 322
4. 정책네트워크 = 322
Ⅴ.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정책 갈등 = 324
1. 영향요인 = 324
2. 정책갈등 = 325
제2절 정책결정모형 = 327
Ⅰ. 합리적 모형 = 327
1. 배경 = 327
2. 개념 = 328
3. 결정자 = 329
4. 제약요인 = 330
5. 재음미 = 331
6. 합리성의 정의와 장애요인 = 331
Ⅱ. 점증모형 = 333
1. 배경 = 333
2. 개념 = 334
3. 합리적 모형과의 비교 = 335
4. 이점 = 336
5. 문제점 = 337
Ⅲ. 혼합주사(走査) 모형(Mixed Scanning Model) = 338
1. 배경 = 338
2. 내용 = 339
3. 기대 = 340
4. 한계 = 340
Ⅳ. 최적모형(Optimal Model) = 341
1. 개념 = 341
2. 특징 = 341
3. 한계 = 342
Ⅴ. 만족모형 = 342
1. 개념 = 342
2. 특징 = 343
3. 한계 = 343
Ⅵ. Allison 모형 = 344
1. 의의 = 344
2. 모형의 내용 = 344
3. 평가 = 345
Ⅶ. 품의제 = 346
1. 개념 = 346
2. 의사결정 절차 = 346
3. 장ㆍ단점 = 346
제3절 계획ㆍ정책분석 = 349
Ⅰ. 계획화 = 349
1. 의미 = 349
2. 목표 = 349
3. 과정 = 350
4. 한계 = 352
Ⅱ. 정책분석 = 353
1. 개념 = 353
2. 기능 = 353
3. 분석단계 = 354
4. 한계 = 355
Ⅲ. 분석에 이용되는 기법 = 356
1. 비용-편익분석 = 356
2. 체제분석 = 360
3. OR = 362
제4절 정책집행 = 363
Ⅰ. 개념과 모형 = 3563
1. 개념 = 363
2. 정책집행 모형 = 364
Ⅱ. 정책결정과 집행의 괴리 = 365
1. 골격 정책화 = 365
2. 이익집단의 작용 = 366
3. 정치적 합의의 번복 = 367
4. 기타요인 = 367
Ⅲ. 정책집행의 문제점 = 367
1. 지시ㆍ통제에 대한 저항 = 367
2. 조직 내의 갈등 = 368
3. 관료들의 저항 = 368
4. 정책변경에 따른 저항 = 369
Ⅳ. 정책집행에 있어서의 순응과 불응 = 369
1. 의의 = 369
2.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70
3. 순응확보수단 = 371
Ⅴ. 정책집행 기법 = 372
1. PERT/CPM = 3763
2. 목표에 의한 관리 = 376
제5절 정책평가 및 정책변동 = 381
Ⅰ. 정책평가 = 381
1. 배경 = 381
2. 개념 및 기능 = 381
3. 절차 = 382
4. 접근방법 = 383
5. 문제점 = 385
Ⅱ. 정책변동 = 387
1. 개념 = 387
2. 유형 = 388
3. 변동원인 = 391
4.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 = 392
제6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 일반 = 397
Ⅰ. 인사행정의 의의 = 397
1. 개념 = 397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 = 398
3. 공무원 종류 = 398
4. 고위공무원단 = 400
Ⅱ. 중앙인사기관 = 402
1. 필요성 = 402
2. 유형 = 402
3. 우리나라의 중앙인사기관 = 404
4. 소청심사위원회 = 405
제2절 인사행정 유형론 = 407
Ⅰ. 엽관제 = 407
1. 개념 = 407
2. 성립과정 = 407
3. 폐해와 재인식 = 408
Ⅱ. 실적제 = 410
1. 개념 = 410
2. 성립배경과 과정 = 410
3. 특성 = 412
4. 평가 = 412
Ⅲ. 직업공무원제 = 413
1. 의의 = 413
2. 공헌과 문제점 = 414
3. 확립요건 = 415
Ⅳ. 대표관료제 = 416
1. 대두배경 = 416
2. 의의 = 416
3. 대표형태 = 417
4. 정당화의 근거와 문제 = 418
5. 우리나라의 대표관료제 = 419
Ⅴ. 관라융통성 제도 = 420
1. 개념 = 420
2. 이점 = 421
3. 문제 = 421
제3절 공직의 분류 = 422
Ⅰ. 직위분류제 = 422
1. 의의 = 422
2. 구조와 원리 = 423
3. 장ㆍ단점 = 424
4. 우리나라의 직위분류제 = 425
Ⅱ. 계급제 = 427
1. 의의 = 427
2. 장ㆍ단점 = 428
제4절 임용 = 429
Ⅰ. 인력계획 = 429
1. 의의 = 429
2. 중요성과 기대 = 430
3. 과정 = 430
Ⅱ. 모집 = 431
1. 의의 = 431
2. 적극적 모집의 필요성 = 432
3. 유능한 인재 확보를 위한 조건 = 432
3. 모집의 자격요건 = 432
5. 채용시험 = 434
Ⅲ. 임용 = 438
1. 임용절차 = 438
2. 특별채용 = 441
3. 개방임용 = 441
Ⅳ. 승진ㆍ전직ㆍ퇴직 = 445
1. 승진 = 445
2. 강임 = 446
3. 전보ㆍ전직 = 446
4. 퇴직 = 447
5. 감원에 의한 퇴직 = 449
제5절 능력발전 = 450
Ⅰ. 교육ㆍ훈련 = 450
1. 개념 = 450
2. 목표 = 450
3. 교육ㆍ훈련 수요 판단 = 451
4. 종류 = 452
5. 방법 = 453
6. 운영 = 457
Ⅱ. 근무성적평정 = 459
1. 의의 = 459
2. 요소와 방법 = 461
3. 운영 = 463
4. 활용 = 467
5. 한계 = 468
제6절 공무원의 사기 = 469
Ⅰ. 사기 = 469
1. 의의 = 469
2. 요인 = 471
3. 조사방법 = 473
Ⅱ. 공무원 보수 = 474
1. 의의 = 474
2. 기본원칙과 고려요인 = 475
3. 보수체계 = 478
4. 보수표 작성의 고려사항 = 481
5. 총액보수예산제 = 483
Ⅲ. 승급ㆍ연금 = 484
1. 승급 = 484
2. 연금 = 486
Ⅳ. 공무원단체 = 488
1. 공무원노동조합 = 488
2. 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상반된 시각 = 489
3. 활동내용 = 490
4. 한국의 공무원단체 = 492
Ⅴ. 정치적 중립 = 494
1. 개면 = 494
2. 필요성 = 494
3.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과 추세 = 496
4. 한국의 공무원의 정치활동 제한 = 497
제7절 공직자 윤리ㆍ부패 = 498
Ⅰ. 공직자의 윤리 = 498
1. 개념 = 498
2. 공직자 윤리 강화의 필요성 = 499
3. 공직자 윤리의 내용 = 499
4. 행정윤리의 한계에 대한 보완적 대안 = 502
Ⅱ. 우리나라 공직윤리규범(행동규범) = 503
1. 국가공무원법의 규정 = 504
2. 공무원의 윤리헌장 및 선서 = 506
Ⅲ. 공직의 부정부패 = 506
1. 개념 = 506
2. 부패의 유형 = 507
3. 부패의 폐해 = 508
4. 부패의 억제방안 = 509
Ⅳ. 공무원의 징계 = 511
1. 징계의 개념 = 511
2. 징계사유 = 511
3. 징계벌의 종류와 처분 = 512
제7장 재무행정론
제1절 재무행정조직ㆍ법률 = 517
Ⅰ. 재무행정조직 = 517
1. 중앙예산조직의 역할 및 유형 = 517
2. 우리나라의 재무행정조직 = 519
Ⅱ. 재무행정 관련법률 = 521
1. 국가재정법 = 521
2. 정부기업예산법 = 526
3. 국가 회계법 = 527
제2절 예산의 의의ㆍ종류ㆍ기금 = 529
Ⅰ. 의의 = 529
1. 예산의 개념 = 529
2. 예산의 성격 = 529
3. 정부예산과 기업예산의 유사점과 차이점 = 531
Ⅱ. 예산의 종류 = 533
1. 사업의 성질 = 533
2. 성립시기 = 537
3. 예산불성립시의 대처 = 538
4. 조세지출예산 = 540
5. 예산과 관련된 지표 = 542
Ⅲ. 우리나라의 기금제도 = 544
1. 의의 = 544
2. 필요성 = 545
3. 기금유형 = 545
4. 기금의 운용절차 = 546
5. 기금의 집행 = 548
6. 기금의 결산과 통제 = 550
제3절 예산기능ㆍ원칙ㆍ분류 = 552
Ⅰ. 예산기능 = 552
1. 의미와 가변성 = 552
2. 유형 = 552
3. 예산기능과 예산제도 = 555
4. 예산기능과 행정이념 = 556
Ⅱ. 예산원칙 = 556
1. 의의 = 556
2. 입법부 우위의 예산원칙 = 558
3. 행정국가론적 예산원칙 = 561
4. 우리나라의 예산원칙 = 563
Ⅲ. 예산분류 = 564
1. 의의 = 564
2. 방법 = 565
3. 한국의 예산분류 = 569
제4절 예산결정이론 = 570
Ⅰ. 합리모형 = 571
1. 요건 = 571
2. 제약점 = 572
Ⅱ. 점증모형 = 574
1. 개념 = 574
2. 문제점 = 576
Ⅲ. 정치적 결정 = 578
1. 개념 = 578
2. 영향 요인 = 579
3. 한계 = 581
Ⅳ. 공공선택이론 = 5852
1. 의의 = 582
2. 투표에 의한 선택 = 583
3. 공공선택이론의 결점 = 587
Ⅴ. 예산결정과정의 갈등 = 588
1. 예산갈등의 개념 = 588
2. 갈등 유발 형태 = 588
3. 예산상의 갈등조절 메커니즘 = 590
제5절 예산과정 = 593
Ⅰ. 예산과정 개요 = 593
1. 회계연도 = 593
2. 예산과정의 성격과 참여자 = 595
Ⅱ. 예산안 편성 = 597
1. 의의 = 597
2. 중앙예산기관의 역할 = 598
3. 예산안 편성과 예산전략 = 600
4. 우리나라의 예산안 편성 = 602
Ⅲ. 예산안 심의 = 608
1. 의의 = 608
2. 의회의 예산안 심의 역할과 영향요인 = 610
3. 의회통제의 강화 수단으로서 사전예산 보고제도 = 613
4. 우리나라의 예산안 심의 = 615
Ⅳ. 예산집행 = 621
1. 의의 = 621
2. 목표 = 623
3. 예산집행과정에 있어서 입법부 통제 = 624
4. 우리나라의 세출예산집행 = 626
5. 우리나라 예산집행에 있어서 신축성 유지제도 = 628
Ⅴ. 결산ㆍ회계검사 = 635
1. 결산 = 635
2. 회계검사 = 638
제6절 예산의 유형 = 644
Ⅰ. 품목별 예산 = 645
1. 개념 = 645
2. 특징 = 645
3. 장ㆍ단점 = 645
Ⅱ. 성과예산 = 647
1. 개념 = 647
2. 특성 = 647
3. 분류 = 648
4. 장ㆍ단점 = 648
Ⅲ. 계획예산 = 650
1. 의의 = 650
2. 사업구조와 주요문서 = 652
3. 장ㆍ단점 = 654
Ⅳ. 제로-베이스예산 = 656
1. 의의 = 656
2. 예산안 편성과정 = 657
3. 장ㆍ단점 = 658
4. Sunset Law(일몰법) 와 제로-베이스예산 = 660
Ⅴ. 정치적 관리예산 = 662
1. 개념 = 662
2. 구성요소 = 663
3. 도입의 결과 = 663
Ⅵ. 성과기준예산 = 664
1. 개념 = 664
2. 특성 = 664
3. 한계 = 665
4.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예산과 성과관리제도 = 666
Ⅶ. 예산변화 형태별 요약 = 669
Ⅷ. 자본예산 = 669
1. 개념 = 669
2. 절차와 기준 = 670
3. 장ㆍ단점 = 671
제7절 중기재정운용계획 = 673
Ⅰ. 계획과 예산 = 673
1. 개념 = 673
2. 계획과 예산의 공통점과 차이점 = 673
Ⅱ. 중기재정운용계획 = 675
1. 개념 = 675
2. 목적 = 675
3. 재정운용계획과 계획예산제도 = 676
4. 제약점 = 676
5. 주요 국가별 재정계획제도 = 677
제8장 행정책임ㆍ행정개혁
제1절 정부실패ㆍ행정책임ㆍ통제 = 681
Ⅰ. 정부실패 = 681
1. 개념 = 681
2. 실패 요인 = 682
Ⅱ. 행정책임 = 685
1. 행정책임의 의의 = 685
2. 종류 = 685
Ⅲ. 행정통제 = 688
1. 외부통제 = 688
2. 내부통제 = 695
3. 행정참여 = 695
제2절 행정개혁 = 697
Ⅰ. 개혁의 의미 = 697
1. 개념 = 697
2. 개혁과 변동 = 698
3. 개혁의 다양한 의미 = 698
Ⅱ. 동인과 필요성 = 699
1. 동인 = 699
2. 의도와 실제와의 괴리 = 700
Ⅲ. 접근방법 = 700
1. 구조적 접근방법 = 701
2. 관리기술적 접근방법 = 701
3. 인간관계론적 접근방법 = 701
4. 종합적 접근방법 = 702
Ⅳ. 절차 = 702
1. 개혁의 필요성 인식 = 702
2. 개혁목표와 전략의 정립 = 702
3. 개혁의 실행 = 703
4. 개혁의 평가 = 704
Ⅴ.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 = 704
1. 저항원인 = 705
2. 저항의 극복방안 = 705
참고문헌 = 707
찾아보기 = 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