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35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585315 | |
005 | 20100805054806 | |
007 | ta | |
008 | 100408s2010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36310318 | |
035 | ▼a (KERIS)BIB000011961999 | |
040 | ▼a 241027 ▼c 241027 ▼d 211009 | |
082 | 0 4 | ▼a 372.6 ▼2 22 |
090 | ▼a 372.6 ▼b 2010 | |
245 | 0 0 | ▼a 영유아 언어지도 / ▼d 이순형 [외]지음. |
260 | ▼a 파주 : ▼b 교문사 , ▼c 2010. | |
300 | ▼a 327 p. : ▼b 색채삽도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권미경, 최인화, 김미정, 서주현, 최나야, 김지현 | |
504 | ▼a 참고문헌(p. 314-323)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순형 , ▼e 저 ▼0 AUTH(211009)5487 |
700 | 1 | ▼a 권미경 , ▼e 저 ▼0 AUTH(211009)65183 |
700 | 1 | ▼a 최인화 , ▼e 저 ▼0 AUTH(211009)2565 |
700 | 1 | ▼a 김미정 , ▼e 저 ▼0 AUTH(211009)51988 |
700 | 1 | ▼a 서주현 , ▼e 저 ▼0 AUTH(211009)55438 |
700 | 1 | ▼a 최나야 , ▼e 저 ▼0 AUTH(211009)71191 |
700 | 1 | ▼a 김지현 , ▼e 저 ▼0 AUTH(211009)21610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10 | 등록번호 1115757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10 | 등록번호 1115757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교육의 실제 편에서는 영역별 언어지도의 원리와 실제, 언어교육 환경의 구성 및 활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교육과 언어발달 평가에 관한 최신 자료를 곁들여 현장에서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언어장애아,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아들을 위한 언어교육 내용을 따로 다루어 최근의 관심사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이 책은영유아의 언어발달과정을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누어 고찰하고 기존의 개론서들과 달리 영유아의 언어습득과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는 등 언어학적 기초를 다루었으며, 특히 한국어를 사용하는 영유아들의 차별화되는 발달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영유아들에게 언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세 장에 걸쳐서 교수학습방법과 언어교육자의 역할 및 언어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소개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순형(지은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2014, 공저)

목차
목차 머리말 = ⅳ PART 1 언어의 기초 CHAPTER 1 언어의 특성과 구성 = 2 1. 언어의 특성과 기능 = 4 2. 언어의 구성 = 6 3. 언어 이해의 영역 = 9 CHAPTER 2 언어습득이론 = 14 1. 경험주의이론 = 15 2. 생득주의이론 = 20 3. 상호작용주의이론 = 24 CHAPTER 3 구어발달 = 32 1. 구어의 발달과정 = 33 2. 영역별 구어발달 = 44 CHAPTER 4 문해발달 = 60 1. 문해에 대한 관점 = 61 2. 문해발달과정 = 64 3. 한글과 우리나라 유아들의 문해발달 = 81 PART 2 영유아 언어교육의 이론 CHAPTER 5 영유아 언어교육 접근법 = 92 1. 발음 중심 언어교육 = 93 2. 총체적 언어교육 = 96 3. 균형적 언어교육 = 103 CHAPTER 6 영유아 언어교육자의 역할 = 108 1. 영유아 언어교육과 교사의 역할 = 109 2. 영유아 언어교육과 부모의 역할 = 119 CHAPTER 7 영유아 언어교육과정 = 128 1.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영역 = 129 2.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생활 영역 = 143 PART 3 영유아 언어교육의 실제 CHAPTER 8 영유아 언어교육의 실제 = 158 1. 언어 영역별 언어교육의 원리와 실제 = 159 2. 통합적 언어교육의 원리와 실제 = 202 CHAPTER 9 영유아 언어교육환경 = 214 1. 영유아 교육기관의 언어환경 = 215 2. 가정의 언어환경 = 227 3. 매체와 환경 = 234 4. 지역사회 자원 이용 = 236 CHAPTER 10 영유아 언어교육과 문학 = 242 1. 유아문학의 종류 = 244 2.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문학 = 247 3. 문학작품의 교육적 활용 = 253 CHAPTER 11 영유아 언어교육 평가 = 268 1. 평가의 목적 = 269 2. 평가방법 = 269 3. 평가 결과의 활용 = 285 CHAPTER 12 특수집단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 286 1. 언어발달장애아를 위한 언어교육 = 287 2.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 296 3. 이중언어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 308 참고문헌 = 314 찾아보기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