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부 PR

정부 PR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재웅
서명 / 저자사항
정부 PR / 유재웅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0.  
형태사항
366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커뮤니케이션북스 = CB ; 1361
ISBN
978896406060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4-362) 및 색인(p. 363-366)수록
000 00690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84961
005 20100805054628
007 ta
008 100303s2010 ulkd b 001c kor
020 ▼a 9788964060605 ▼g 03300
035 ▼a (KERIS)BIB000011946396
040 ▼a 241050 ▼c 241050 ▼d 244002
082 0 4 ▼a 659.2/935 ▼2 22
090 ▼a 659.2935 ▼b 2010
100 1 ▼a 유재웅
245 1 0 ▼a 정부 PR / ▼d 유재웅 지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10.
300 ▼a 366 p. : ▼b 도표 ; ▼c 23 cm.
440 0 0 ▼a 커뮤니케이션북스 = ▼x CB ; ▼v 1361
504 ▼a 참고문헌(p. 344-362) 및 색인(p. 363-366)수록
536 ▼a 이 책은 방일영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술·출판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2935 2010 등록번호 1512857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책이 곧 PR’이란 말처럼 정부 PR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국민과의 소통 부족’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왜 그럴까? 이 문제에 대한 원인과 해답을 고민한 것이 이 책이다. 오로지 정부 PR 현장에서 일해 온 필자가 정부 PR의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독자들의 고민과 아쉬움을 덜어줄 것이다.

1부 정부 PR의 이론
정부 PR도 PR의 한 분야다. 정부 PR을 잘하려면 새로운 기법도 중요하지만 PR의 기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부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PR과 정부 PR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PR 활동의 핵심 연결 고리라고 할 수 있는 조직, 공중, 관계성 개념, PR의 주요 이론들을 살펴본다.

2부 정부 PR의 실제
정부 PR은 정책이나 국가적 차원의 이슈를 다루지만 기본 과정은 일반 PR과 크게 다르지 않다. PR 과정에 대한 단계 구분은 학자마다 상이하지만 공통점을 묶어보면 리서치, 기획, 실행, 평가로 대별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4단계로 나누어 정부 PR 과정을 살펴본다. 다만, 실행 단계의 경우 다양한 기법과 프로그램이 있는 관계로 이를 하나로 묶지 않고 주요 기법이나 프로그램을 별도의 장으로 서술했다. 일반 기업이나 조직과 달리 정부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사안이나 유의 사항은 따로 밝혔다.

3부 전략적 정부 PR 활동
정부는 수많은 국내외 이슈에 둘러싸여 있다. 이슈 관리를 잘하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정부는 항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정부가 새로운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사회 각 계층 간에 다양한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위기 예방과 해결에서 PR의 역할은 막중하다는 점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가 간의 교류가 긴밀해짐에 따라 국내 PR 못지않게 중요하게 대두되는 것이 국제 사회를 겨냥한 국가 이미지 제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3부에서는 전략적 정부 PR 활동이라는 이름으로 이슈 관리와 위기관리, 국가 이미지 관리의 개념과 이론, 효과적인 추진 전략을 살펴본다.

4부 정부 PR 발전 방안
국가적 현안이나 정책 이슈가 등장할 때마다 정부 PR의 부족과 실패에 대한 비판이 그치질 않는다. 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4부에서는 지금까지 학습한 정부 PR에 대한 이론, 효과적인 정부 PR 방법 등을 토대로 우리나라 정부 PR의 현황과 문제점,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 정부는 어떠한 PR 체계를 갖고 정부 PR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먼저 분석해 본다. 아울러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PR 정책이 갖고 있는 특징과 정부 PR 추진 체계를 비판적 관점에서 조감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유재웅(지은이)

을지대학교 홍보디자인학과 교수다. 국내외 공공 PR 분야에 있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PR 전문가로 학계와 언론계로부터 평가받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23회 행정고등고시(1979)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다. 공보처 홍보, 기획, 방송, 신문과장, 청와대 국정홍보 담당 과장, 국장, 국정홍보처 국정홍보국장, 홍보기획국장, 대통령홍보기획비서관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약 4년간 정부의 해외 PR 업무를 총괄하는 해외홍보원장(차관보)을 지냈다. 저서로는 ≪위기 사회 대한민국, 생생한 사례연구≫(2021), <30대 뉴스에서 PR을 읽다≫(2019, 공저), ≪PI, 최고책임자의 이미지관리≫(2017), ≪이미지 관리≫(2016), ≪한국사회의 위기 사례와 커뮤니케이션 대응 방법≫(2016), ≪위기관리의 이해≫(2015), ≪정부 PR≫(2014), ≪국가 이미지≫(2013) 등이 있다. 역서로 ≪PR이론≫(2010, 공역), ≪이미지 외교≫(2008, 공역)가 있고 다수의 논문을 SSCI급 국제 학술지 및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정부 및 각종 기관의 PR 관련 자문 및 심사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로부터 대통령표창, 근정포장,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1부 정부 PR의 이론
 1 정부 PR이란 무엇인가?
  PR과 유사 개념 = 3
  정부 PR = 20
 2 조직, 공중, 관계성
  조직 = 29
  공중 = 34 
  관계성 = 47
 3 PR 이론
  PR 이론의 흐름 = 50
  PR 이론에 대한 접근 관점 = 52
  PR 4모델 = 64
  우수 이론 = 70
  조화의 우연성 이론 = 76
  관계성 관리 = 79
2부 정부 PR의 실제
 4 리서치
  리서치의 중요성 = 87
  리서치 방법 = 90
 5 정부 PR 기획
  기획의 의의 = 96
  목표 설정 = 97
  전략과 전술 = 100
 6 퍼블리시티
  퍼블리시티와 보도 자료 = 103
  보도 자료 작성 방법 = 104
  보도 자료 배포와 활용 = 109
 7 미디어 관계
  미디어 환경 변화 = 114
  미디어 관계의 중요성 = 117
  언론 인터뷰 = 119
  브리핑과 기자 회견 = 126
  효과적인 언론 관계 관리 = 129
  언론의 오보ㆍ왜곡 보도와 대응 = 133
 8 인터넷과 뉴미디어
  뉴미디어의 영향력 증대 = 148
  인터넷과 정부 PR = 152
  인터넷 활용 시 유의점 = 156
 9 정부 광고
  정부 광고의 개념 = 158
  정부 광고의 집행 = 159
  정부 광고의 효과와 유의점 = 162
 10 정부 PR물 제작과 이벤트
  인쇄, 영상 PR물 제작 = 165
  연설 = 168
  이벤트 = 171
 11 정책 고객 서비스
  정책 고객 서비스의 개념 = 173
  정책 고객 서비스의 도입과 발전 = 174
  발전 과제 = 175
 12 전략적 매체 집행
  매체 활용 전략의 필요성 = 180
  통합 PR 매체의 활용 전략 = 181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매체 전략 = 184
 13 평가
  평가의 의의 = 186
  평가 대상과 방법 = 188
  PR 평가의 연구 경향과 모델 = 190
  정책 PR 사례 연구 = 194
3부 전략적 정부 PR 활동
 14 이슈 관리
  이슈와 이슈 관리 = 230
  이슈 관리 이론 = 206
  이슈의 발전 과정과 대응 전략 = 208
  이슈 관리 PR 사례 연구 = 210
 15 위기관리
  위기와 위기관리 = 215
  위기관리 모델 = 219
  위기관리 실행 전략 = 220
  위기관리 PR 사례 연구 = 232
 16 국가 이미지 관리 
  국가 이미지 관리의 중요성 = 246
  국가 이미지의 개념과 특성 = 247
  국가 이미지 형성 요소와 경로 = 249
  국가 이미지 관리 전략과 프로그램 = 252
  국가 이미지 PR 사례 연구 = 273
4부 정부 PR 발전 방안
 17 외국의 정부 PR 추진 체계
  미국 = 286
  영국 = 290
  프랑스 = 291
  독일 = 293
  일본 = 295 
 18 한국의 정부 PR 추진 체계와 발전 방안
  한국 정부 PR 추진 체계의 변천 = 301
  역대 정부의 PR 정책 특징 = 307
  정부 PR의 문제점 = 311
  한국 정부 PR의 발전 방안 = 321
참고문헌 = 344
찾아보기 = 36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