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심리학의 기초 = 11
1.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 = 12
1) 전공에 관한 지식 = 12
2) 교육에 관한 지식 = 13
3) 학습자에 대한 헌신적 소명감 = 13
2. 교육심리학의 성격 = 14
1) 교육심리학의 정의 = 14
2) 교육심리학의 역할 = 15
3) 교육심리학의 영역 = 16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19
1) 기술연구 = 20
2) 상관연구 = 21
3) 실험연구 = 23
제1부 학습자의 이해
제2장 인지발달 = 29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30
1) Piaget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31
2) Piaget 이론의 인지발달단계 = 33
3) Piaget 이론의 비판점 = 42
4) Piaget 이론의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 = 43
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 44
1) Vygotsky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45
2) Vygotsky 이론의 비판점 = 48
3) Vygotsky 이론의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 = 49
3. Piaget와 Vygotsky의 공통점과 차이점 = 50
1) 아동과 발달에 대한 이해 = 50
2) 인지발달과 학습 = 51
3) 인지발달과 언어 = 51
제3장 성격 및 사회성 발달 = 53
1. 성격발달 = 54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55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59
2. 사회성 발달 = 70
1)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0
2) Selman의 사회적 조망수용이론 = 74
제4장 도덕성 발달 = 79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 80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81
1)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본 도덕성 발달단계 = 83
2) 교실에서의 시사점 = 87
3) 교실에서 도덕적 딜레마 다루기 = 89
4) Kohlberg 이론에 대한 비판 = 91
3. Gilligan의 배려의 윤리 = 93
제5장 지능 = 97
1. 지능의 의미 = 98
2. 지능이론 = 101
1) 일반요인이론 = 101
2) 다요인이론 = 102
3) 다중지능이론 = 104
3. 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 112
4. 지능이론의 수업 적용 = 116
1)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론' 수업 적용 = 116
2)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수업 적용 = 117
제6장 창의성 = 121
1. 창의성의 개념 = 122
2.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접근 = 124
3. 창의성과 성격의 관계 = 126
4. 창의적 활동 과정 = 128
1) 준비 단계 = 129
2) 배양 단계 = 129
3) 영감 단계 = 129
4) 검증 단계 = 130
5.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 = 130
6. 창의성과 교육 = 132
1) 가정에서의 창의성 개발 = 132
2) 학교에서의 창의성 개발 = 133
7. 창의성 검사 = 135
8. 창의적 사고기법 = 137
1) 포스트잇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 137
2) 강제연결법 = 139
3) SCAMPER = 139
제7장 특수학습자 = 141
1. 영재교육 = 142
1) 영재의 의미 = 142
2) 영재의 유형 = 146
3) 영재의 판별 = 148
4) 영재를 위한 교육 = 151
2. 특수교육 = 153
1) 지적장애 = 154
2) 학습장애 = 156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58
4) 정서행동장애 = 161
제8장 학습자의 다양성 = 165
1. 학습유형 = 166
1) Dunn과 Dunn의 학습유형 = 166
2)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 169
3) 좌뇌형과 우뇌형 = 171
4) 숙고형과 충동형 = 172
5) Kolb의 학습유형 = 174
2. 성차 = 176
1) 남녀 성차 = 176
2) 성역할 발달 이론 = 177
3) 성역할 고정관념 = 178
4) 성역할 고정관념 피하기 = 180
3. 다문화 = 181
1) 다문화 교육의 의미 = 181
2) 다문화 가정 = 182
3) 교실에서의 적용 = 184
제2부 교수-학습의 이해
제9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 189
1. 고전적 조건형성 = 191
1) 주요 개념 = 191
2) 교육적 시사점 = 195
2. 조작적 조건형성 = 196
1) 주요 개념 = 196
2) 교육적 시사점 = 204
3. 사회학습이론 = 206
1) 주요 개념 = 206
2) 관찰학습 과정 = 210
3) 자기조절 = 212
4) 교육적 시사점 = 213
제10장 인지주의 학습이론 = 215
1. Tolman의 잠재학습 = 217
2. 통찰학습 = 219
3. 정보처리이론 = 221
1) 감각기억 = 222
2) 작업기억 = 223
3) 장기기억 = 227
4. 학습전략 = 231
1) 기억술 = 232
2) 예상하기 = 232
3) 요약하기 = 232
4) 판단하기와 노트필기 = 233
5) 시각적으로 정리하기 = 234
6) PQ4R = 235
5. 학습의 전이 = 236
6.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237
제11장 동기화 = 241
1. 동기화의 개념 및 역할 = 243
1) 동기와 동기화 = 243
2) 동기화의 역할 = 244
2. 동기화 이론 = 246
1) Maslow의 욕구위계 = 246
2)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249
3) 성취동기 = 252
4) 귀인이론 = 259
제12장 수업모형과 수업방법 = 267
1. 수업모형 = 268
1) Glaser의 수업모형 = 268
2) Bruner의 수업이론 = 275
3) Ausubel의 수업이론 = 277
4) Gagn◆U00E9◆의 수업이론 = 279
2. 수업방법 = 282
1) 강의식 수업 = 282
2) 토의식 수업 = 283
3) 소집단 협동학습 = 285
4) 문제중심학습 = 286
제3부 교수자의 이해
제13장 교사의 자질 = 293
1. 유능한 교사의 행동 특성 = 294
2. 교사효능감 = 397
3. 교사의 기대 = 300
1) 교사의 기대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과 기대유지 효과 = 300
2) 교사기대의 부정적 효과 피하기와 칭찬 = 303
제14장 학급운영, 생활지도 및 상담 = 309
1. 학급운영 = 310
1) 학급운영의 계획과 실행 = 311
2) 성공적인 학급운영의 기술 = 314
3) 학급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316
2. 생활지도 = 324
1) 생활지도의 원리 = 324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 325
3. 상담 = 328
1) 정신분석적 접근 = 328
2) 행동주의적 접근 = 329
3) 합리-정서적 접근 = 331
4) 인간중심적 접근 = 333
제4부 평가
제15장 교육평가 = 339
1. 평가의 목적 = 340
2. 평가의 유형 = 343
1)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 343
2)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합평가 = 344
3. 좋은 검사의 조건 = 344
1) 신뢰도 = 345
2) 타당도 = 347
3) 실용도 = 349
4. 검사 문항의 유형 = 349
1) 선택형 문항 = 350
2) 완성형과 단답형 문항 = 353
3) 논술형 문항 = 353
5. 수행평가 = 354
1) 수행평가의 의미 = 354
2) 수행평가의 설계와 채점 = 356
3) 수행평가의 유형 = 358
6. 표준화 검사 = 360
1) 표준화 검사의 의미 = 360
2) 표준화 검사의 해석 = 362
3) 표준화 검사의 유형 = 363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