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1camc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84303 | |
005 | 20121005174830 | |
007 | ta | |
008 | 080509s2008 ulka 000c kor | |
020 | ▼a 9788959381890 | |
035 | ▼a (KERIS)BIB000011285867 | |
040 |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610.92 ▼2 22 |
085 | ▼a 610.92 ▼2 DDCK | |
090 | ▼a 610.92 ▼b 2008z2 | |
100 | 1 | ▼a 이시훈, ▼d 1973- |
245 | 2 0 | ▼a (이시훈의) 동경, 워싱턴 이야기 : ▼b 의사-과학자 되기 / ▼d 이시훈 지음 |
260 | ▼a 서울 : ▼b 아카데미아, ▼c 2008 | |
300 | ▼a 193 p. : ▼b 삽화 ; ▼c 22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0.92 2008z2 | 등록번호 1310369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의사는 환자진료와 연구,그리고 교육의 세가지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미국구립보건원(NIH)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다. '연구는 생생한 의학 교육을 촉발하고,교육은 환자진료를 더욱 향상시키며,진료는 의학연구에 대한 단서를 제시한다.'
실험실 연구를 통해 축적된 생명 과학 지식을 이상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의 역할을 담당하는 의사-과학자의 길은 결코 쉽지만은 않다. 그럼에도 의사-과학자의 꿈을 지난 젊은이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우해 바람직한 현상이다.
이 책은 조금 앞서 의사-과확자의 길을 걷기 위해 먼 길을 선택했던 한 젊은 의사-과학자가 보고,느끼고,생각하고,겪은 일들을 엮어,뒤에 오는 후배들에게 길잡이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교 내과 이시훈 조교수가 2004년부터 일본 동경대학과 미국국립보건원(NIH) 유학 시절,미주 중앙일보와 대한의사협회 기관자의 '의협신문'에 연재하였던 '동경리포트'와 '여기는 NIH 입니다'를 합하여 엮은 이 책은 의사-과학자의 길을 걷고자 하는 많은 젊은 의학도와 과학도들에게 때때로 재미와 감동을, 때로는 정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1부 동경 이야기 1-1 나가사키, 카스테라, 짬뽕, 그리고 갑상선 = 19 1-2 동경 리포트 제1신 - 떠나기까지 = 23 1-3 동경 리포트 제2신 - 잘 정착하는 법 = 29 1-4 동경 리포트 제3신 - 타인의 경험담은 최고의 스승 = 34 1-5 동경 리포트 제4신 - 가깝고도 먼 일본 의료 = 39 1-6 동경 리포트 제5신 - 이것이 동경 라이프 = 44 2부 워싱턴 이야기 2-1 나의 아메리칸 드림 = 51 2-2 의사와 과학자 = 55 2-3 국립보안대체의학센터 = 59 2-4 역지사지 = 63 2-5 우리들만의 리그 = 66 2-6 사설 = 69 2-7 학회 시즌(1) = 72 2-8 학회 시즌(2) = 75 2-9 신혼기(1) = 79 2-10 신혼기 (2) = 82 2-11 신혼기 (3) = 85 2-12 의학과 영재교육 = 88 2-13 NIH에서 만난 한국 의사들 = 92 2-14 NIH의 크리스마스 = 96 2-15 비행기에서 생긴 일 = 99 2-16 국방의학전문대학원 = 103 2-17 공동 연구와 리더십, 그리고 윤리 의식 = 106 2-18 근거중심의학 = 109 2-19 노병은 죽지 않는다 = 112 2-20 미국의 베스트 의과대학 2007 = 115 2-21 국립벚꽃축제 = 118 2-22 버지니아 공대 참사를 추모하며 = 121 2-23 Take Your Child to Work Day = 124 2-24 대사심장학 vs. 심장대사학 = 127 2-25 개방형 병원 시스템 = 131 2-26 분만기 = 134 2-27 KSA-NIH 피크닉 = 138 2-28 국립의학도서관 = 141 2-29 셰넌도어 계곡 = 144 2-30 Dragon Wars = 148 2-31 NIH 연구 페스티벌 = 151 2-32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 = 154 2-33 핼러윈 데이 = 157 2-34 논문 쓰기 = 160 2-35 추수감사절 = 163 2-66 Gingerbreand House 경연대회 = 166 2-37 워싱턴 10배 즐기기 = 168 2-38 클리브랜드 방문기 = 174 2-39 다시 방문한 동경에서 = 177 2-40 다시 돌아온 서울에서 = 180 부록 : 서브인턴기 =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