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9판 들어가는 글 = ⅵ
초판 들어가는 글 = ⅷ
Ⅰ 거시경제학 들어가기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 거시경제학의 특징 = 6
2. 국가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 = 9
2.1 소득순환모형 = 10
2.2 자금순환표 = 13
2.3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 17
3. 거시경제의 단기적 측면 : 경기변동 = 20
3.1 국내총생산의 경기변동 추이 = 21
3.2 경기변동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실 = 22
3.3 주요 금융지표의 특성 = 33
4. 거시경제의 장기적 측면 : 경제성장 = 36
4.1 소득수준의 지속적 증가 = 37
4.2 국가 간 소득수준의 차이 = 38
4.3 경제성장의 요인 = 40
5.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과 이 책의 구성 = 42
5.1 거시경제의 직관적 접근과 그 문제점 = 43
5.2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44
보론 우리나라의 자금순환표 = 47
요약 = 49
연습문제 = 50
제2장 최근의 거시경제현상과 거시경제학
1. 세계 경제 불균형과 달러 약세 = 56
2. 금융기관 자산ㆍ부채의 경기순응성 = 61
3. 글로벌 금융위기와 세계경기 침체 = 64
3.1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 = 64
3.2 세계경기 침체 = 66
3.3 세계경기 침체와 거시경제정책 = 69
4. 재정적자와 국가부채의 증가 = 72
5. 화폐금융정책과 금융안정 = 73
6. 저출산과 고령화 = 75
7.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증가 = 78
8. 고용 없는 성장 = 81
9. 자유무역의 확대 = 83
요약 = 86
Ⅱ 거시경제의 직관적 모형
제3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 폐쇄경제
1. 케인즈의 소득-지출 모형 = 94
1.1 생산물시장의 총수요 = 95
1.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 98
1.3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 101
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105
2.1 투자함수와 이자율 = 105
2.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의 도출 = 107
2.3 IS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109
3. 화폐시장ㆍ증권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112
3.1 화폐수요함수 = 113
3.2 화폐공급과 화폐시장의 균형 = 117
3.3 화폐공급의 외생성과 내생성 = 122
3.4 LM곡선의 도출 = 125
3.5 LM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127
4. 수요측면의 균형과 거시경제정책 : 폐쇄경제 = 130
4.1 재정정책 = 132
4.2 화폐금융정책 = 134
4.3 재정정책과 화폐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136
4.4 IS-LM 모형의 한계 = 144
5.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 폐쇄경제 = 145
5.1 폐쇄경제의 총수요곡선 = 145
5.2 총수요곡선의 이동 = 146
요약 = 149
연습문제 = 150
제4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 개방경제
1. 국제수지와 환율 = 158
1.1 국제수지 = 159
1.2 환율과 환율제도 = 164
1.3 환율결정이론 = 168
2. 수요측면의 균형 : 개방경제 = 177
2.1 개방경제의 생산물시장 균형과 IS곡선 = 177
2.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 180
2.3 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과 BP곡선 = 182
2.4 IS-LM-BP 모형 = 185
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 191
3.1 변동환율제도 = 191
3.2 고정환율제도 = 194
3.3 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198
4.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 개방경제 = 200
4.1 개방경제의 총수요곡선 = 201
4.2 총수요곡선의 이동 = 202
요약 = 205
연습문제 = 206
제5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
1. 생산함수와 노동시장의 균형 = 217
1.1 생산함수 = 217
1.2 노동에 대한 수요 = 219
1.3 노동의 공급 = 221
1.4 노동시장의 균형 = 223
2. 물가수준과 공급측면의 균형 : 총공급곡선 = 224
2.1 노동시장의 불완전정보와 화폐환상모형 = 224
2.2 명목임금 하방경직성모형 = 226
2.3 총공급곡선의 이동 = 228
2.4 장기 총공급곡선 = 228
3. 합리적 기대와 총공급이론의 발전 = 231
3.1 물가예상착오와 총공급곡선 = 231
3.2 가격경직성과 총공급곡선 = 235
요약 = 237
연습문제 = 238
제6장 총수요ㆍ총공급 균형과 거시경제정책
1. 거시경제의 총수요ㆍ총공급 균형 = 244
2. 거시경제정책 = 246
2.1 재정정책 = 246
2.2 화폐금융정책 = 250
3.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 255
3.1 고전학파 vs 케인즈학파 = 255
3.2 새고전학파 vs 새케인즈학파 = 259
4.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 264
5. 인플레이션과 동태적 총수요 - 총공급 모형 = 266
5.1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267
5.2 인플레이션의 원인 = 269
5.3 기대인플레이션과 총수요곡선 = 276
5.4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공급곡선 = 281
5.5 동태적 총수요ㆍ총공급 균형과 인플레이션 = 282
요약 = 286
연습문제 = 287
제7장 필립스곡선과 거시경제정책
1. 필립스곡선 :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298
1.1 필립스곡선과 총공급곡선 = 298
1.2 적응적 기대와 자연실업률가설 = 303
1.3 합리적 기대와 필립스곡선 = 312
1.4 기억효과와 필립스곡선 = 313
2.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 재량 vs 준칙 = 316
3. 최적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 319
3.1 화폐금융정책 = 320
3.2 재정정책 = 325
3.3 화폐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의 상호작용 = 327
3.4 준칙주의에 대한 반론 = 327
4. 화폐금융정책의 운용체계= 329
4.1 통화 타게팅 = 330
4.2 금리 타게팅 = 332
4.3 환율 타게팅 = 334
4.4 인플레이션 타게팅 = 335
4.5 테일러 준칙 = 337
요약 = 338
연습문제 = 339
제8장 금융과 거시경제
1. 거시경제의 자금순환 = 346
1.1 가계부문의 자금순환 = 347
1.2 기업부문의 자금순환 = 348
1.3 금융기관의 대차대조표 = 350
2. 자산가격의 결정 = 352
2.1 채권가격 = 352
2.2 주식가격과 효율적 시장가설 = 358
2.3 부동산ㆍ주택 가격 = 360
3. 가계ㆍ기업의 자산ㆍ부채과 거시경제 = 360
3.1 가계부문의 부(富) 효과와 소비 = 361
3.2 기업의 대차대조표 효과와 투자 = 362
4. 금융부문의 자산ㆍ부채와 거시경제 = 365
4.1 금융기관의 유동성 공급과 뱅크런 = 366
4.2 금융기관의 레버리지와 금융안정 = 372
5. 자산시장과 거시경제정책 = 377
5.1 수익률곡선과 화폐금융정책 = 377
5.2 주식시장과 거시경제정책 = 380
5.3 자산가격 변동과 화폐금융정책 = 382
요약 = 385
연습문제 = 387
Ⅲ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와 일반균형
제9장 실물부문의 총수요
1. 소비함수 = 398
1.1 시점 간 소비선택모형 = 399
1.2 항상소득가설 = 404
1.3 불확실성과 소비 : 랜덤워크가설과 예비적 저축가설 = 405
1.4 생애주기가설 = 410
1.5 재정정책과 소비 : 리카도 대등정리 = 417
1.6 유동성제약과 소비 = 420
2. 투자함수 = 425
2.1 기업의 투자선택 = 426
2.2 토빈의 q이론 = 430
2.3 불확실성과 투자 = 436
3. 실질총수요곡선 = 442
요약 = 446
연습문제 = 447
제10장 실물부문의 총공급과 균형
1. 노동시장의 미시적 기초 = 456
1.1 노동시장과 실업 = 457
1.2 기업의 노동수요 = 460
1.3 소비자의 노동공급 = 462
1.4 노동시장의 균형 = 466
1.5 마찰적 실업과 탐색모형 = 467
2. 실질총공급곡선 = 474
3. 실물부문의 균형 = 477
3.1 대부자금시장의 균형 = 478
3.2 정부지출의 증가 = 479
3.3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 482
요약 = 484
연습문제 = 485
제11장 화폐부문과 일반균형
1. 화폐수요의 미시적 기초 = 490
1.1 화폐의 정의와 통화지표 = 491
1.2 소비자의 화폐수요 = 493
1.3 화폐시장의 균형 = 497
1.4 화폐수량설의 발전 = 498
1.5 화폐수요의 안정성과 화폐금융정책 = 501
1.6 유동성선호이론의 발전 = 505
2. 실물부문의 화폐부문의 일반균형 : 폐쇄경제 = 512
3. 개방경제의 일반균형 = 514
3.1 실물부문 균형과 국제수지균형 = 514
3.2 일반균형 : 개방경제 = 517
4. 거시경제정책 = 521
4.1 재정정책 = 522
4.2 화폐금융정책 = 527
5. 총요소생산성의 변화 = 533
5.1 폐쇄경제 = 533
5.2 개방경제 = 535
요약 = 539
연습문제 = 541
Ⅳ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2장 경기변동론
1. 경기변동이란 무엇인가? = 550
1.1 경기변동의 종류와 국면 = 551
1.2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554
1.3 경기변동의 원인 = 556
1.4 경기변동과 화폐금융정책의 파급경로 = 558
2. 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564
3.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566
3.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567
3.2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574
4. 이론과 실제 : 실물경기변동이론과 경기침체 = 580
4.1 한국의 외환위기 = 580
4.2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 581
4.3 1930년대 대공황 = 583
요약 = 584
연습문제 = 585
제13장 경제성장론
1. 경제성장에 관한 기본 지식 = 590
1.1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591
1.2 경제성장의 요인 : 성장회계 = 593
2. 외생적 성장이론 : 솔로우 모형 = 597
2.1 기본 가정 = 598
2.2 일반균형 = 600
2.3 장기균형 : 균제상태 = 602
2.4 장기균형의 특성 = 604
2.5 1인당 소비와 황금률 자본축적 = 608
2.6 솔로우 모형의 주요 시사점과 문제점 = 610
3. 내생적 성장이론 = 613
3.1 R&D모형 = 615
3.2 AK모형 : 물적자본과 인적자본의 동시축적 = 616
3.3 루카스의 인적자본모형 : AK모형의 예 = 619
요약 = 625
연습문제 = 627
Ⅴ 거시경제학의 최근 동향
제14장 거시경제학 개관과 최근 동향
1. 거시경제학 개관 = 640
1.1 케인즈 혁명 = 640
1.2 통화주의 = 642
1.3 새고전학파 경제학 = 643
2. 새케인즈학파의 거시경제학 = 644
2.1 명목임금 경직성 = 646
2.2 재화가격 경직성 = 653
2.3 실질임금 경직성 = 662
2.4 조정실패모형 = 673
3. 거시경제학의 최근 동향 = 683
3.1 글로벌 금융위기와 거시경제학 = 683
3.2 행태경제학과 거시경제이론 = 687
요약 = 690
연습문제 = 691
찾아보기 =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