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2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581661 | |
005 | 20121006194417 | |
007 | ta | |
008 | 100315s1980 ulk 000c kor | |
020 | ▼a 8931000456 ▼g 938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801.9 ▼2 22 |
085 | ▼a 801.9 ▼2 DDCK | |
090 | ▼a 801.9 ▼b 1980 | |
100 | 1 | ▼a Bachelard, Gaston, ▼d 1884-1962 |
245 | 1 0 | ▼a 물과 꿈 : ▼b 물질적 상상력에 관한 시론 / ▼d 가스통 바슐라르 지음 ; ▼e 이가림 옮김 |
246 | 1 9 | ▼a (L') eau et les reves : ▼b essai sur l'imagination de la matiere |
260 | ▼a 서울 : ▼b 문예, ▼c 1980 ▼g (1998) | |
300 | ▼a 378 p. ; ▼c 23 cm | |
700 | 1 | ▼a 이가림, ▼e 역 |
900 | 1 0 | ▼a 바슐라르, 가스통,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1/ | Call Number 801.9 1980 | Accession No. 1310368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바슐라르는 한 인간의 믿음, 정열, 이상, 사고의 심층적인 상상 세계를 파악하려면 그것을 지배하는 물질의 한 속성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하여 인간의 상상력을 근본적으로 물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네 개의 기본적인 물질을 물, 불, 공기, 흙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그는 인간 정신의 상상적 힘은 매우 다른 두 개의 축 위에서 전개된다고 주장하며, 그 하나는 새로움 앞에서 비약을 찾는 회화적인 것과 다양함과 예기치 않은 사건들이며, 또 하나의 상상적 힘은 존재의 근원을 파고들어가 원초적인 것과 영원한 것을 동시에 존재 속에서 찾아내고자 한다.
바슐라르는 이것을 형식적인 요인에 생명을 부여하는 상상력과 물질적 요인에 생명을 부여하는 상상력으로 구분하고, 시적 창조의 완전한 철학적 탐구를 위해서는 이 두 개의 개념이 불가결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미학에서는 형식적 요인의 연구만이 행해지고 물질이 갖는 개성화의 힘이 과소평가 되었다고 말하며 특히 물질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가스통 바슐라르(지은이)
프랑스의 과학철학자, 문학 비평가, 시인으로 프랑스 현대 사상사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평가된다. 샹파뉴 지방의 한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그는 우체국에서 근무하면서 이과대학 과정을 독학으로 마쳤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자신이 다닌 바르쉬르오브 중학교의 물리, 화학 교사로 일하던 중 당시 전 세계를 강타한 일반상대성이론의 영향 아래 철학에 깊이 경도된 바슐라르는 철학 석사에 이어 학사원상을 수상한 논문 「물리학의 한 문제의 진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후 디종대학의 철학 교수를 거쳐 소르본대학에서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강의하였으며, 1960년에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고, 1961년에는 국가문학대상을 수상했다. 과학철학에 관한 그의 저작들 (『새로운 과학 정신』, 『과학 정신의 형성』, 『부정의 철학』 등)은 영미권 과학인식론과는 다른 프랑스 과학인식론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특히 그의 '인식론적 단절' 개념은 조르주 캉길렘, 미셸 푸코, 루이 알튀세르, 피에르 부르디외와 같은 후대 철학자들이 사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힌 시학에 관한 일련의 저술, 시적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한 일련의 연구(『불의 정신분석』, 『물과 꿈』, 『공기와 꿈』, 『대지와 의지의 몽상』, 『대지와 휴식의 몽상』)는 '테마비평'이라는 문학 비평의 새로운 장이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가림(옮긴이)
성균관대 불문과 졸업. 루앙대 대학원 졸업(박사). 숭전대 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 불문과 교수 및 문과대학장. 파리 7대학 객원교수 역임.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빙하기〉 당선 등단. 지은책 시집《빙하기》《유리창에 이마를 대고》《순간의 거울》《내 마음의 협궤열차》, 옮긴책 바슐라르《촛불의 미학》 카뮈《시지프의 신화》 발레리 외《불사조의 시학》, 학술논문《말라르메와 르동》《플로베르와 쿠르베》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프롤로그 상상력과 물질 = 5 제1장 맑은 물, 봄의 물과 흐르는 물, 나르시즘의 객관적 조건. 사랑스런 물 = 33 제2장 깊은 물, 잠자는 물, 죽은 물. 에드가 포우의 몽상에 있어서의 「무거운 물」 = 69 제3장 카롱의 콤플렉스. 오필리아의 콤플렉스 = 103 제4장 복합적인 물 = 133 제5장 모성적인 물과 여성적인 물 = 163 제6장 순수성과 순수화. 물의 모랄 = 191 제7장 부드러운 물의 우월성 = 215 제8장 난폭한 물 = 225 에필로그 물의 말 = 265 해설 바슐라르 사상의 넓이와 깊이 ; 物質的 想像力의 혁명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