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고영근, 저 박금자, 저 고성환, 저 윤석민, 저
Title Statement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 고영근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집문당,   2003  
Physical Medium
ix, 295 p. ; 23 cm
Series Statement
텍스트 언어학 총서 ;5
ISBN
8930309828
General Note
공저자: 박금자, 고성환, 윤석민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02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581581
005 20140619120041
007 ta
008 100313s2003 ulk 001c kor
020 ▼a 8930309828
035 ▼a (KERIS)BIB000008837043
040 ▼a 241026 ▼d 211046 ▼d 247012 ▼d 211009
082 0 4 ▼a 410 ▼a 895.712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1997g1 ▼c 5
245 0 0 ▼a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 ▼d 고영근 [외]
260 ▼a 서울 : ▼b 집문당, ▼c 2003
300 ▼a ix, 295 p. ; ▼c 23 cm
440 0 0 ▼a 텍스트 언어학 총서 ; ▼v 5
500 ▼a 공저자: 박금자, 고성환, 윤석민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고영근, ▼e▼0 AUTH(211009)57949
700 1 ▼a 박금자, ▼e
700 1 ▼a 고성환, ▼e
700 1 ▼a 윤석민,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497.703 1997g1 5 Accession No. 1115723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고영근(지은이)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해설
 월인천강지곡 해설 / 고영근 = 3
 월인천강지곡의 운율성 / 고성환 = 10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성 / 윤석민 = 20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간텍스트성 / 박금자 = 32
제2부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ㄱ|1 巍巍 釋迦佛~ = 51
 ㄱ|2 世尊ㅅ 일 살보리니 = 53
 ㄱ|3 阿僧祗前世劫에~ = 55
 ㄱ|4 兄님을 모를쌔~ = 59
 ㄱ|5 어엿브신 命終에~ = 63
 ㄱ|6 外道人 五百이~ = 65
 ㄱ|7 다삿 곶 두 고지~ = 67
 ㄱ|8 닐굽 고잘 因하야~ = 69
 ㄱ|9 名賢劫이 ◆UFFFD◆◆UFFFD◆ 제~ = 72
 ㄱ|10 衆生이 다톨쌔 = 74
 ㄱ|11 長生인 不肖할쌔~ = 78
 ㄱ|12 補處ㅣ 다외샤~ = 81
 ㄱ|13 五衰 五瑞를 뵈샤~ = 86
 ㄱ|14 沸星 도닳 제~ = 89
 ㄱ|15 摩耶ㅅ 꿈 안해~ = 92
 ㄱ|16 三千大千이 발가며~ = 95
 ㄱ|17 날들이 차거늘~ = 97
 ㄱ|18 本來 하신 吉慶에~ = 99
 ㄱ|19 無憂樹ㅅ 가지 굽거늘~ = 102
 ㄱ|20 右手左手로 天地~ = 104
 ㄱ|21 三界 受苦ㅣ라 하샤~ = 106
 ㄱ|22 天龍八部ㅣ 큰 德을 ~ = 107
 ㄱ|23 채女ㅣ 기베 안사바~ = 110
 ㄱ|24 諸王과 靑衣와~ = 113
 ㄱ|25 梵志外道ㅣ 부◆UFFFD◆ 德을~ = 116
 ㄱ|26 祥瑞도 하시며~ = 118
 ㄱ|27 周昭王 嘉瑞를~ = 120
 ㄱ|28 여윈 못 가온대 ~ = 123
 ㄱ|29 世尊 오샤말 아삽고~ = 126
 ㄱ|30 大寶殿에 뫼호샨~ = 128
 ㄱ|31 어마님 短命하시나~ = 131
 ㄱ|32 婆羅門 살븐 말을~ = 133
 ㄱ|33 相師도 살바며~ = 135
 ㄱ|34 西海ㅅ물 이여~ = 135
 ㄱ|35 蜜多羅는 두 글을~ = 140
 ㄱ|36 釋種이 살바대~ = 144
 ㄱ|37 太子ㅣ 好子ㅅ 金像을~ = 147
 ㄱ|38 사회를 갈해야~ = 150
 ㄱ|39 難陀調達은 象을~ = 153
 ㄱ|40 제 간을 뎌리 모를쌔~ = 155
 ㄱ|41 따해 살이 빼여늘~ = 159
 ㄱ|42 고잘 노하시며~ = 161
 ㄱ|43 無量劫 부톄시니~ = 164
 ㄱ|44 東南門 노니샤매~ = 166
 ㄱ|45 아바님긔 말 살바~ = 169
 ㄱ|46 孝道하실 마음애~ = 173
 ㄱ|47 아바님 分別하샤~ = 175
 ㄱ|48 七寶千子로~ = 178
 ㄱ|49 각시 꾀노라~ = 180
 ㄱ|50 出家호려 하시니~ = 182
 ㄱ|51 紛과 연脂와 고자로~ = 184
 ㄱ|52 죵과 말와를 현맨들~ = 186
 ㄱ|53 디나건 無量劫에~ = 188
 ㄱ|54 十方世界 밝고~ = 190
 ㄱ|55 雪山苦行林애~ = 194
 ㄱ|56 耶輸ㅣ 울어신마른~ = 197
 ㄱ|57 寶冠이 오나늘~ = 200
 ㄱ|58 阿藍迦蘭애 그에 = 202
 ㄱ|59 耶輸ㅣ 前世예~ = 204
 ㄱ|60 羅雲이 나거시늘~ = 206
 ㄱ|61 伽도山 苦行애~ = 208
 ㄱ|62 雜草木 것거다사~ = 210
 ㄱ|63 尼蓮水예 沐浴하샤~ = 213
 ㄱ|64 가지를 자바샤~ = 215
 ㄱ|65 金剛座 빗이고~ = 218
 ㄱ|66 畢鉢羅樹에 하오사~ = 220
 ㄱ|67 正覺을 일우시릴쌔~ = 223
 ㄱ|68 세 달을 보내야~ = 227
 ㄱ|69 白毫로 견지시니~ = 230
 ㄱ|70 각시 또 배옌~ = 232
 ㄱ|71 魔王이 怒한들~ = 234
 ㄱ|72 六天八部鬼兵이~ = 236
 ㄱ|73 寶冠을 바사 견져~ = 239
 ㄱ|74 魔王이 말 재야~ = 241
 ㄱ|75 優婆鞠多尊子ㅣ~ = 243
 ㄱ|76 큰 龍을 지사~ = 246
 ㄱ|77 바리 빠리는 쇠~ = 249
 ㄱ|78 구지돔 모르샤도~ = 252
 ㄱ|79 入定放光하샤~ = 254
 ㄱ|80 世界ㅅ 일을 보샤~ = 258
 ㄱ|81 八部ㅣ 둘어셔며~ = 261
 ㄱ|82 부◆UFFFD◆ 본증을 彈王이~ = 262
 ㄱ|83 寂滅한 道場애~ = 265
 ㄱ|84 大法을 몰라 드를쌔~ - 266
 ㄱ|85 成道後 二七日에~ = 268
 ㄱ|86 흥졍바지들히 길할~ = 271
 ㄱ|87 세 가짓 供養이~ = 273
 ㄱ|88 ◆UFFFD◆浜◆UFFFD◆◆UFFFD◆바리를 어더~ = 275
 ㄱ|89 世尊ㅅ慈悲心에~ = 278
 ㄱ|90 쁘들 올히 너기샤~ = 280
 ㄱ|91 無量劫 우희~ = 283
 ㄱ|92 貧慾心 겨시건마른~ = 286
찾아보기 = 29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