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철학 / 제2판

법철학 / 제2판 (1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eelmann, Kurt, 1947- 윤재왕, 역
서명 / 저자사항
법철학 / Kurt Seelmann 지음 ; 윤재왕 옮김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2010  
형태사항
xi, 325 p. ; 23 cm
원표제
Rechtsphilosophie
ISBN
9788984112940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581577
005 20171031163224
007 ta
008 100313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84112940 ▼g 93360
040 ▼d 211009 ▼a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40.1 ▼2 23
085 ▼a 340.1 ▼2 DDCK
090 ▼a 340.1 ▼b 2010
100 1 ▼a Seelmann, Kurt, ▼d 1947- ▼0 AUTH(211009)127639
245 1 0 ▼a 법철학 / ▼d Kurt Seelmann 지음 ; ▼e 윤재왕 옮김
246 1 9 ▼a Rechtsphilosophie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0
300 ▼a xi, 325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윤재왕, ▼e▼0 AUTH(211009)81796
900 1 0 ▼a 젤만, 쿠르트,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1178096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9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11572309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513163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1178096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9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11572309 도서상태 지정도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10 등록번호 1513163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쿠르트 젤만(지은이)

<법철학>

윤재왕(옮긴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문과대학 철학과,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법철학, 법사회학, 법사상사 담당)로 재직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 = 1
제1부 법이란 무엇인가? 
 §1. 대안을 둘러싼 논쟁: 법은 결코 자명하지 않다 = 7
  1. 고대, 중세, 근대의 법비판 = 10
   a) 고대의 법비판 = 11
   b) 중세의 법비판: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종교개혁까지 = 12
   c) 근대의 법비판 = 16
  2. 법의 대안을 찾는 근거: 현대의 논의형태 = 20
   a) 공동체에 대한 장애요소로서의 법 = 21
   b) 추상성 = 23
   c) 자유위협 = 25
   d) 불확정성 = 26
   e) 비효율성과 형식주의 = 27
  3. 법적 분쟁해결의 대안모델 = 29
   a) 친화성모델 = 29
   b) 협상 = 29
   c) 재판이 아닌 조정: 중재 = 31
  4. 법이해와 관련된 몇 가지 결론 = 34
 §2. 법개념의 여러 측면 = 36
  1. 본질물음과 언어분석 = 38
   a) 과거의 개념정의방식 = 38
   b) 하트의 설명 = 40
  2. 법실증주의의 문제 = 44
   a) 문제의 핵심 = 45
   b) 법률적 불법? : 라드브루흐 공식 = 48
   c) 감정적인 잔재: 주관주의테제 = 53
  3. 규범적 법이론과 사회학적 법이론: 존재와 당위 = 54
   a) 켈젠과 에어리히의 논쟁 = 54
   b) 당위의 의미 = 58
  4. 규범의 총체로서의 법 = 59
   a) 명령설: 찬성론과 반대론 = 59
   b) 법현실주의 = 62
   c) 법효력과 실효성 = 64
  5. 사회질서로서의 법 = 67
  6. 인간 상호간의 관계로서의 법 = 69
   a) 기대관계로서의 법: 루만의 테제 = 70
   b) 자유의 최적상태: 칸트의 법개념 = 73
   c) 승인관계로서의 법: 헤겔의 입장 = 75
  7. 체계로서의 법 = 78
   a) 자연법의 연역적 체계론: 크리스티안 볼프의 이론 = 79
   b) '개념법학'의 귀납적-연역적 및 유기적 체계론: 푸흐타의 개념피라미드 = 81
   c) 법의 단계구조: 켈젠의 '순수법학' 체계 = 84
   d) 법규의 공리화를 통한 체계화: 현대 논리학과 체계 = 85
 §3. 법과 법에 유사한 현상의 구별 = 88
  1. 법과 풍속, 관행, 사회적 규약의 구별 = 89
   a) 심리적 반응과 제재의 차이 = 89
   b) 상호작용형식의 차이 = 92
  2. 법과 도덕: 법철학의 고전적 구별 = 94
   a) 양면성 = 94
   b) 무엇이 침해인가? = 98
   c) '도덕의무'도 법의무인가? = 102
   d) 의무의 경합 = 110
   e) 법에 내재한 도덕적 논증의 차원 = 111
  3. 법과 경제 = 113
   a) 보충관계로서의 법과 경제 = 114
   b) 서로 다른 조종모델로서의 법과 경제: 자기생산(Autopoiesis)을 둘러싼 논쟁 = 115
   c) 법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 121
 §4. 법의 대안의 문제점과 법의 역할 = 123
  1. 법, 공동체, 자유 = 124
  2. 법, 추상성, 자유 = 126
  3. 법, 도그마틱, 형식주의 = 127
  4. 법과 불확정성 = 130
제2부 법은 법률 이외의 전제에도 구속되는가? 
 §5. 물음의 타당성 = 135
  1. 가치지향은 위험한가? = 136
  2. 특수한 법적 논의 = 139
 §6. 비법률적 전제의 실천적 의미 = 142
  1. 입법자의 법철학에 대한 의존성 = 143
  2. 특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원칙적인 문제들에서 행해지는 법적 가치평가 = 146
   a) 생식의학과 인간의 존엄 = 147
   b) 장기이식과 분배의 정의 = 152
   c) 도덕률, 선량한 풍속 등 = 154
  3. 일상의 법학적 작업에서 나타나는 가치평가의 문제 = 161
   a) 해석에서의 의미론적 폭 = 162
   b) 가치평가 = 164
   c) 법률해석의 영역을 넘어서 있는 규범적 전제들 = 167
 §7. 정의이론: 간략한 역사적 개관 = 172
  1. '정의'의 의미: 역사적 전개과정 = 173
   a) 고대 정의론의 기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173
   b) 정의는 내용 없는 형식에 불과한가? = 175
  2. 형평, 법적 안정성 그리고 정의 = 179
 §8. 자연법 = 184
  1. 자연법과 그 역사 = 186
   a) 자연법이란 무엇이며 자연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 186
   b) 고대의 목적론적 자연법론 = 188
   c) 기독교 신학과 자연법 = 189
   d) 칸트와 그의 영향 = 192
  2. 자연법에 대한 근대적 정당화: 이성법으로서의 자연법 = 194
   a) 이성법의 전제: 주관적 권리 = 194
   b) 경합하는 세 가지 근거설정 유형: 인간의 본성, 사물의 본성, 합리성 = 196
 §9. 규범의 근거설정에 관한 최근의 논쟁 = 202
  1. 규범의 근거설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 = 204
   a) 규범적 근거설정의 사전영역에 대한 합리적 설명 = 204
   b) 환정주의, 규범주의, 자연주의, 직관주의 사이의 논쟁 = 205
   c) 규범적 근거설정의 구조: 툴민과 알버트의 '뮌히 하우젠 트릴레마' = 210
  2. 합의지향의 정당성이론 = 214
   a) 계약주의적 정당성이론 = 215
   b) 논의윤리: 하버마스 = 218
  3. '최종적 근거설정'을 향한 노력 = 222
   a) 근대 철학사에 나타난 최종적 근거설정의 문제 = 224
   b) '최종적 근거설정' 논거가 포괄하는 범위를 둘러싼 논쟁 = 226
   c) '주지주의적 오류': 일팅의 비판 = 228
  4. 요구가능한 규범의 승인 또는 이중의 승인 = 229
   a) 쌍방적 승인이라는 조건에 따른 '요구가능성' = 230
   b) 도덕판단의 발달단계: 콜벅의 이론 = 235
   c) 규범의 근거설정에 관한 최근의 이론들은 그 실제적 결론이 유사하다: 2단계 모델 = 237
 §10. 정의에 관한 최근의 논쟁 = 241
  1. 공리주의의 문제: 벤담의 유산 = 243
  2. 권리지향의 정의이론: 로크에 대한 논쟁 = 247
  3. '공정'의 원칙: 롤스와 드워킨 = 251
  4. 공동체주의적 정의이론 = 256
   a) 정의의 개별영역: 월저 = 257
   b) '정당한 것'과 '좋은 것' 사이의 경계선의 붕괴: 발생론적 공동체주의와 규범적 공동체주의 = 259
 §11. 공동선 = 264
  1. 공동선이란 무엇인가? = 269
  2. 개인의 이익과 공동선 사이의 이익갈등의 방식 = 273
  3. 공동선을 위한 의무부과의 근거 = 275
 §12. 인간의 존엄: 새로운 핵심개념 = 280
  1. 보호대상 = 282
   a) 인격의 존엄 = 282
   b) 욕구주체의 존엄 = 284
   c) 구체적 개인의 존엄 = 285
   d) 인격의 존엄과 개인의 존엄의 관련성: 과거의 이론들 = 286
   e) 존엄의 규정과 관련된 주도권 다툼 = 287
  2. 보호근거 = 289
   a) 神人同形? = 289
   b) 모든 법질서의 전제? = 291
   c) 자기존중과 자기표현 = 292
  3. 존엄보호의 주관적 요건 = 294
   a) 이성의 사용/귀속능력 = 294
   b) 연결논거 = 296
 §13. 법의 자율성? = 299
  1. 자율성테제 = 301
   a) 자유논거 = 301
   b) 법적 안정성논거 = 301
   c) 민주주의논거 = 302
   d) 다원주의논거 = 302
  2. 법에 대한 내용적 요구 = 303
   a) (형식적) 법치국가와 (실질적) 사회국가 = 303
   b) 생태주의와 법 = 307
  3. 법의 일반화경향과 개별화경향 = 311
옮긴이 후기 = 315
인명색인 = 319
사항색인 = 32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