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7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원택 康元澤
서명 / 저자사항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 강원택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0  
형태사항
399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1443
ISBN
9788930084437 9788930080019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3-396)과 색인(p. 397-399)수록
비통제주제어
한국선거 ,,
000 00838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581406
005 20111121113153
007 ta
008 100203s2010 ggka b 001c kor
020 ▼a 9788930084437 ▼g 94340
020 1 ▼a 9788930080019 (세트)
035 ▼a (KERIS)BIB000011917957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082 0 4 ▼a 324.9519 ▼2 22
085 ▼a 324.953 ▼2 DDCK
090 ▼a 324.953 ▼b 2010
100 1 ▼a 강원택 ▼g 康元澤 ▼0 AUTH(211009)98391
245 1 0 ▼a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b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 ▼d 강원택 지음
246 0 1 ▼a Developments in Electoral Politics of South Korea
260 ▼a 파주 : ▼b 나남, ▼c 2010
300 ▼a 399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나남신서 ; ▼v 1443
504 ▼a 참고문헌(p. 383-396)과 색인(p. 397-399)수록
653 ▼a 한국선거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115718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115718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212153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21215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512851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513040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115718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115718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212153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21215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512851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4.953 2010 등록번호 1513040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2년 이후 전개된 한국 선거정치의 역동적 변화과정을 추적한 책이다. 저자는 2004년 총선, 2006년 지방선거,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을 분석하며 세대·이념·지역 등의 구조적 변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 외형상 여전히 건재해 보이는 지역주의에 어떤 질적 변화가 일어났는지, 정치변혁의 주역이던 386세대가 오늘날 왜 실종되었는지 등을 규명한다.

이어서 저자는 1998년, 2002년, 2006년 세 차례 지방선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방정치와 중앙정치의 관계,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른 투표율 하락의 문제를 정치권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이론화한다.

2000년대 한국 선거정치의 역동적 변화과정에 대한심도 깊은 추적!

이 책은 2002년 이후 전개된 한국 선거정치의 역동적 변화과정에 대한 추적이다. 저자는 2004년 총선, 2006년 지방선거,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세대, 이념, 지역 등의 구조적 변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 외형상 여전히 건재해 보이는 지역주의에 어떤 질적 변화가 일어났는지, 정치변혁의 주역이던 ‘386세대’가 오늘날 왜 실종되었는지 등이 규명된다. 이어서 저자는 1998년, 2002년, 2006년 세 차례 지방선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방정치와 중앙정치의 관계,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른 투표율 하락의 문제를 정치권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이론화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강원택(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영국 런던정경대(LSE) 정치학 박사 한국정치학회장, 한국정당학회장 역임 주요 저서: 정당론,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정치,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 등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8
제1부 2007년 대통령 선거
 제1장 2007년 대통령 선거와 이슈: 회고적 평가 혹은 전망적 기대?
  1. 서론 = 19
  2. 이론적 검토 = 22
  3. 각 후보별 공약의 분석 = 26
  4. 이슈와 투표형태: 서베이 데이터 분석 = 35
  5. 결론 = 48
 제2장 지역주의는 약화되었을까: 지역주의와 2007년 대통령 선거
  1. 서론 = 49
  2.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 51
  3. 2007년 대통령 선거와 지역주의 = 56
  4. 결론 = 73
 제3장 네거티브 캠페인은 얼마나 효과적이었을까?
  1. 서론 = 75
  2. 이론적 논의 = 79
  3. 경험적 분석 = 83
  4. 결론 = 94
제2부 2004년과 2008년의 국회의원 선거
 제4장 누가 왜 바꿨나: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 유권자 지지의 변화
  1. 서론 = 99
  2. 분석의 틀 = 101
  3. 분석: 누가 왜 바꿨나 = 104
  4. 결론 = 122
 제5장 대통령 탄핵과 2004년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은 왜 몰락했나?
  1. 서론 = 125
  2. 탄핵과 2004년 국희의원 선거 = 127
  3. 열린우리당의 창당과 새천년민주당의 정체성 위기 = 131
  4. 탄핵이슈와 정당경쟁 = 137
  5. 결론 = 143
 제6장 200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1. 서론 = 145
  2. 민주노동당 지지의 분석: 집합자료 분석 = 147
  3. 누가 왜 민주노동당을 지지했나?: 정당투표를 중심으로 = 152
  4. 결론 = 108
제3부 이념갈등과 한국 사회
 제7장 국회와 이념갈등: 16대, 17대, 18대 국회의원 이념성향의 비교
  1. 서론 = 171
  2. 분석의 틀: 이념갈등을 바라보는 상이한 시각 = 173
  3. 국회의원 이념성향 분석과 정당정치의 특성 = 178
  4. 결론 = 189
 제8장 386세대는 어디로 갔나?: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의 이념과 세대
  1. 서론 = 193
  2. 2007년 대선과 2008번 총선에서 이념의 영향 = 195
  3. 세대와 이념: 386세대는 어디로 갔나? = 206
  4. 결론 = 217
 제9장 중도이념 유권자의 정치적 특성과 의미: 2004년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1. 서론 = 219
  2. 이론적 검토 = 222
  3. 주관적 중도 유권자에 대한 분석 = 225
  4. 결론 = 239
제4부 지방선거
 제10장 지방선거는 중앙정치의 대리전?: 1998년 지방선거
  1. 서론 = 243
  2. 지방선거와 중앙정치: 이론적 논의 = 245
  3. 1898년 지방선거에서 중앙정치의 영향 = 249 
  4. 결론 = 209
 제11장 2002년 지방선거의 정치적 의미: 중간평가 혹은 대선 전초전?
  1. 서론 = 271
  2. 선거효과의 연속성과 '전초전' 논리: 기존 논의의 검토 = 273
  3. 2002년 지방선거와 대선 결과의 비교: 집합자료의 분석 = 276
  4. 전초전 혹은 중간평가: 서베이 자료분석 = 280
  5. 지방선거 결과의 정치적 효과: 여론조사 자료 = 289
  6. 결론 = 293
 제12장 2006년 서울시장 선거분석: 이미지 선거? 
  1. 서론 = 295
  2. 이론적 논의 = 297
  3. 2006년 서울시장 선거운동: 후보, 상징색과 이미지 = 302
  4. 이미지 선거: 경험적 분석 = 306
  5. 결론 = 319
제5부 정치불만과 투표참여
 제13장 정치적 불만, 기권과 제3후보 지지: 1992년과 1997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1. 서론 = 323
  2. 투표참여 이론에 대한 평가 = 325
  3. 정치적 불만: 기권과 제3후보에 대한 지지 = 332
  4. 경험적 분석 1992년과 1997년 대통령 선거 = 339
  5. 결론 = 350
 제14장 정치적 연계, 민주적 가치와 투표참여: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의 기권자 분석
  1. 서론 = 353
  2. 투표참여와 기권 = 355
  3. 누가 기권했나? = 359
  4. 민주주의 가치와 투표참여 = 370
  5. 대선에 투표한 이들은 왜 총선에서 기권했나 = 376
  6. 결론 = 379
논문출처 = 381
참고문헌 = 383
찾아보기 = 397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이재명 후보비서실. 메시지팀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