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73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581259 | |
005 | 20121022095742 | |
007 | ta | |
008 | 100204s201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4060407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1923825 | |
040 | ▼a 211042 ▼c 21104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3.852 ▼2 22 |
085 | ▼a 153.852 ▼2 DDCK | |
090 | ▼a 153.852 ▼b 2010 | |
100 | 1 | ▼a Benoit, William L. ▼0 AUTH(211009)29371 |
245 | 1 0 | ▼a 설득 메시지 : ▼b 그는 어떻게 내 마음을 바꾸었나? / ▼d 윌리엄 베노이트, ▼e 파멜라 베노이트 지음; ▼e 이희복, ▼e 정승혜 옮김 |
246 | 1 9 | ▼a Persuasive messages : ▼b the process of influence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0 | |
300 | ▼a ix, 395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73-389)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ersuasion (Rhetoric) |
650 | 0 | ▼a Persuasion (Psychology) |
650 | 0 | ▼a Social influence |
650 | 0 | ▼a Attitude change |
653 | ▼a 설득 ▼a 메시지 | |
700 | 1 | ▼a Benoit, Pamela J., ▼e 저 ▼0 AUTH(211009)97779 |
700 | 1 | ▼a 이희복, ▼e 역 ▼0 AUTH(211009)89704 |
700 | 1 | ▼a 정승혜, ▼e 역 ▼0 AUTH(211009)124040 |
900 | 1 0 | ▼a 베노이트, 윌리엄, ▼e 저 |
900 | 1 0 | ▼a 베노이트, 파멜라,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115723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115723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211938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211938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512851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115723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115723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211938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211938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3.852 2010 | 등록번호 1512851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설득이 존재한다. 그러나 누군가를 설득한다는 것은 사실 만만찮은 일이다. 그래서 이 책은 성공적인 설득이 가능하도록 주요 내용을 구성했다. 설득 목표를 정하고, 청중을 이해하며 설득 메시지를 만드는 데 실제적인 조언을 한다. 설득 커뮤니케이터로서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확실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었다. 1부 1장에서는 설득의 주요 개념을 정의하고 청중과 설득 커뮤니케이터 사이의 관계를 논의했다. 2장에서는 설득이 청중(신념, 가치, 태도)의 인식 변화를 시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주요 콘셉트인 설득의 인지적 접근 방법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송신자가 설득 메시지의 성공에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4장에서 윤리의 개념을 소개한다. 설득이 다른 사람의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윤리적 쟁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부에서는 설득 메시지 제작의 메커니즘을 다루는데 먼저 5장에서는 설득자의 의도와 청중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6장에서는 스피치의 조직에서 어떻게 아이디어를 짜는지 설명한다. 7장에서는 증거와 관심의 요인을 포함한 설득 메시지의 내용을 다룬다. 8장에서는 스타일(메시지에서 단어의 선택과 구성으로서)을, 9장에서는 청중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살펴본다.
3부에서는 태도 변화 이론을 소개한다. 10장에서 청중과 불일치하는 메시지 확장을 결정하는 다양한 설득 관련 일관성 이론을 다룬다. 인지 부조화는 가장 많이 연구된 일관성 이론이다. 사회 판단/관여 이론(11장)은 다른 청중이 같은 메시지를 다르게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유용하다. 12장에서는 합리적 행동 이론을 다루며, 규범이나 기대의 개념을 포함한 신념과 가치를 소개한다.
마지막 4부에서는 특별한 두 가지 설득 사례를 소개한다. 13장에서는 광고에서의 설득을 살펴보고, 14장에서는 정치 캠페인에서의 설득에 대해서 살펴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윌리엄 베노이트(지은이)
미주리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정치 캠페인, 정치 광고, 대선 토론 등 정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고 가르친다. 정치 캠페인 담론의 기능이론을 개발했으며 이론을 토론, 광고, 그리고 다른 메시지에 적용하였다. 정치와 기업을 새로운 관점으로 연구했고, 토론에서 청중의 영향 요인에 대한 실험 연구를 진행했다. 수많은 선도 연구가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파멜라 베노이트(지은이)
미주리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고등학술연구소 부총장 겸 대학원 학장이다. 1979년 웨이니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인 담론에 관심을 갖고 담론과 논증 연구에 주력하였다. 최근에는 관계 정체성과 협상 관련 리더십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국수사학회로부터 다니엘 로어상을 수상했다.
이희복(옮긴이)
광고 회사 MBC애드컴, 오리콤, FCB한인, 진애드에서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경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지금은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광고홍보 전공교수로 있다. 한국광고PR실학회 ≪광고PR실학연구≫ 편집위원장으로 있으며, 한국광고학회 편집위원을 겸하고 있다. 한국광고홍보학회 감사이며, 대한적십자사 홍보 자문교수,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심의위원, 행정안전부 자문위원,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문위원, 보건복지부 혈액증진위원으로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풀러턴) 방문교수, 한국광고PR실학회 회장, 공익광고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대학생광고대상 집행위원, 대한민국광고대상 심사위원장(TV 영상)을 역임하면서 인턴십과 공모전 등 광고홍보의 현장과 학교를 잇는 데 힘을 보태왔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학사와 석사를, 경희대학교에서 광고PR을 전공해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산업과 정책, 광고카피(슬로건), 도시 브랜드, 광고 활용 교육 등이며, ≪광고학연구≫,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등 저널에 논문을 발표해왔다. 『브랜딩 텔레비전』(공역, 2014) 등의 역서와 『미디어 스마트』(공저, 2013), 『소셜 미디어 시대의 광고』(공저, 2015), 『광고활용교육』(2016), 『도시 브랜드 슬로건 전략』(2017), 『설득의 수사학 슬로건』(2017)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광고는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설득’이라는 믿음이 있다. 이메일 주소: boccaccio@hanmail.net 페이스북 주소: www.facebook.com/leeheebok
정승혜(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광고대행사인 MBC애드컴과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에서 카피라이터와 디렉터로 재직하다가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고와 문화’ 연구에 관심이 있으며, 광고PR실학회 광고비평분과장이자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광고학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광고 연구의 질적 방법론』(2015), 역서로 『설득메시지-그는 어떻게 내 마음을 바꾸었나』(공역, 2010)가 있다. 논문으로는 “이동통신 광고와 ‘민족’ 담론 연구 : 1996년∼2010년 월드컵 광고 캠페인을 중심으로”(2013), “광고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담론”(2013), “이동통신 광고의 사회문화사: 1996년∼2010년 TV 광고를 중심으로”(2013), No word, but a thousand words: Reader interpretation strategies of No-copy advertising(2008)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ⅶ 1부 태도와 설득 01 설득의 중요성 = 3 왜 설득을 공부해야 하는가? = 3 설득은 무관심이나 강압의 대안이다 = 7 설득의 주요 개념 = 9 설득은 목표 지향적이다 = 9 설득은 과정이다 = 11 설득은 사람과 관련 있다 = 12 설득은 태도를 만들거나 변화시키거나 강화한다 = 13 태도와 행동 = 21 개요 = 25 02 설득을 위한 인지적 접근 방법 = 27 인지적 반응 모델 = 29 설득의 두 가지 '경로' = 31 동기와 관여 = 33 인지 능력 = 35 호의적 그리고 비호의적 사고 = 36 ELM 평가 = 39 설득을 위한 ELM의 사용 = 41 03 설득 메시지의 송신자: 공신력 = 44 신뢰성의 인지적 반응 분석 = 46 관여도와 공신력 = 53 내부와 외부 공신력 = 53 설득에서 공신력 이용하기 = 57 04 윤리적 관심 = 60 윤리적 쟁점과 윤리의 정의 = 61 윤리적 관점 = 62 인간의 본성 관점 = 63 대화적 관점 = 64 실용적 관점 = 66 상황적 관점 = 68 법적 관점 = 71 여성주의적 관점 = 72 설득 청중의 윤리적 책임 = 73 설득에서 윤리의 활용 = 76 2부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준비 05 목적과 청중 = 81 설득 메시지의 목적 분명히 하기 = 82 청중의 특성 = 83 크기 = 84 이전의 경험 = 84 동질성 = 84 자세 = 85 당신의 청중 알기 = 86 토픽에 대한 지식 = 86 토픽에 대한 관심 = 87 토픽에 대한 태도 = 88 당신에 대한 태도 = 91 청중에 대한 정보 수집하기 = 95 인구통계학적 정보 = 95 청중의 의견 = 98 청중으로부터 정보 수집하기 = 99 관찰 = 99 상호작용 = 99 요약 자료 = 100 설득에 청중 분석 이용하기 = 101 06 구성: 메시지 구성 = 106 설득 메시지의 구성 방식 = 107 서론-본론-결론 = 107 AIDA = 115 순서별 동기화 = 117 아우트라인 잡기 = 121 아우트라인을 잡는 이유 = 121 아우트라인의 유형 = 123 아우트라인 잡는 원리 = 126 설득에서 구성 이용하기 = 129 07 내용: 아이디어 지원하기 = 132 입증 자료 = 132 지원 유형 = 135 지원을 위한 테스트 = 140 증거의 설득력에 관한 연구 = 145 증거의 추론 = 146 추론 테스트 = 149 공포 소구 = 152 관심 요인 = 154 현실성 = 154 갈등 = 154 새로움 = 155 호기심 = 156 근접성 = 156 유머 = 157 근본 요소 = 157 친밀성 = 157 활동 또는 움직임 = 158 설득 메시지에 입증 자료와 관심 요인 이용하기 = 158 08 상징과 스타일 = 164 상징 = 164 상징의 특성 = 165 외연적·내포적 의미 = 166 본원적 용어: 신과 악마의 용어 = 167 상징과 현실 = 168 스타일 = 168 구어체와 문어체 = 169 구어체의 유형 = 171 스타일의 목적 = 175 명료성 = 176 강렬함 = 180 리듬 = 183 유머 = 186 설득에서 상징과 스타일 이용하기 = 189 09 적의, 무관심, 호의, 복합(혼합) 청중 = 193 적의 청중 = 194 적의의 원인이 되는 요소 = 195 적의의 단서 = 197 적의 청중에 대한 전략 = 199 무관심 청중 = 209 무관심의 원인이 되는 요소 = 209 무관심의 단서 = 211 무관심 청중에 대한 전략 = 213 호의 청중 = 217 호의의 원인이 되는 요소 = 218 호의의 단서 = 221 호의 청중에 대한 전략 = 223 복합(혼합) 청중 = 227 복합 청중의 원인이 되는 요소 = 228 복합(혼합)적 특성의 단서 = 231 복합 청중에 대한 전략 = 231 설득에서 청중의 유형 이용하기 = 234 3부 설득 이론 10 태도 변화의 일관성 이론 = 239 하이더의 균형 이론 = 239 오스굿과 타넨바움의 일치 이론 = 244 일치 이론의 평가 = 249 페스팅거의 인지 부조화 이론 = 250 의사 결정 후의 부조화 = 253 정보에의 선택적 노출 = 255 강요된 응종 = 256 부조화 이론의 평가 = 257 일관성 이론들의 요약 = 258 설득에서 일치 이론 이용하기 = 260 11 사회 판단/관여 이론 = 263 사회 판단/관여 이론의 특성 = 265 수용, 중립 및 거부의 영역 = 265 인식의 오류: 동화와 대비 = 272 관여의 역할 = 275 사회 판단/관여 이론의 평가 = 278 설득에서 사회 판단/관여 이론 이용하기 = 281 12 합리적 행동 이론 = 284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5 행동의 예측에 대한 한계 = 293 합리적 행동 이론의 평가 = 295 설득에서 합리적 행동 이론 이용하기 = 297 계획된 행동 이론 = 301 4부 설득 메시지의 비판적 소비자 13 광고에서의 설득 = 305 광고의 특성 = 306 소비자 행동: 왜 광고는 소비자 설득에 이용되는가? = 311 소비자 행동의 개인적 영향 = 312 소비자 행동의 사회적 영향 = 321 소비자 행동의 문화적 영향 = 325 소비자 행동의 상황적 영향 = 327 광고주는 어떻게 소비자 행동을 조사하는가? = 329 타깃 오디언스 분석 = 330 메시지 조사 = 330 미디어 조사 = 331 설득으로서의 광고: 윤리적 쟁점 = 333 잠재의식 광고 = 333 기만 광고와 과장 광고 = 336 설득에서 광고의 활용 = 339 14 정치 캠페인에서의 설득 = 347 정치 캠페인 = 348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기능 = 353 찬사: 자화자찬 = 354 공격: 경쟁자 비판 = 355 방어: 공격에 대응 = 355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주제 = 356 정책 쟁점 = 357 인물: 이미지 = 358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특성 = 359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기능 = 359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주제 = 362 집권 정당과 도전자 정당의 메시지 = 363 정치 캠페인 기획 = 366 타깃 오디언스는 누구인가? = 366 메시지는 무엇인가? = 366 최적의 매체 기획은 무엇인가? = 368 정치 캠페인 메시지 평가 = 369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