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25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580827 | |
005 | 20100805052613 | |
007 | ta | |
008 | 091230s2010 ulk bmAC 000a kor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5 | ▼a 0510 ▼2 KDCP | |
090 | ▼a 0510 ▼b 6K04 ▼c 82 | |
100 | 1 | ▼a 이신철 |
245 | 1 0 | ▼a 한국 대기업 인재상의 변화 / ▼d 이신철.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2010. | |
300 | ▼a 125 p.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김문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전공 , ▼d 2010.2 |
504 | ▼a 참고문헌: p. 123-125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인재상 ▼a 인재 | |
776 | 0 | ▼t 한국 대기업 인재상의 변화 ▼w (DCOLL211009)000000021229 |
900 | 1 | ▼a 김문석 , ▼e 지도교수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630519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63051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530571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630519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63051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 청구기호 0510 6K04 82 | 등록번호 1530571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를 대표했던 국내 기업들이 스스로 표방하고 추구해온 인재의 모습을 조사함으로써 시대적 상황과 경제․산업 발전단계에 따라 기업의 인재상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래의 대한민국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는 어떤 인재이며 어떤 역량을 기업의 핵심가치로 판단할 것인지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선, 인재에 대한 동․서양의 역사적 인식과 교육, 경영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인재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인재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주제로 삼고 있는 인재와 인재상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방법에 있어, 산업발전단계이론에 근거하여 인재상을 유추하거나 가정해온 몇몇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시대별 기업 인재상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키워드로 분류하여 그 빈도수를 측정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그 시대적 상황과 기업의 발전과정에 따라 ‘순응형 인재상’에서 ‘자기 주도형 인재상’으로 다시 ‘전인적(全人的) 인재상’으로 변화, 발전해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난 반세기동안 기업 인재상 변화에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을 통해 2010년대의 인재상을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갖고 있는 인재상의 형태와 내용을 분석하고 미래의 인재상을 위한 변화의 가능성과 그 방향을 전망해 보았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 3 1. 대기업 인재상의 연구방법론 3 2. 연구의 대상 4 제2장 인재 그리고 인재상 7 제1절 인재의 개념 7 1. 동․서양의 인재 개념 7 1) 동양의 인재관 7 2) 서양의 인재관 9 2. 관련 학문에서의 인재 논의 12 1) 교육 분야에서의 인재에 대한 접근 12 2) 경영 분야에서의 인재에 대한 접근 14 제2절 인재상 17 1. 고전학파 : 기계적 접근 17 2. 인간관계론적 접근 18 3. 인적자원관리론적 접근 20 4. 21세기 접근방법 21 제3장 인재상의 시대적 변화 23 제1절 1960년대 : 드러나지 않은 인재상 23 1. 시대적 배경 23 2. 모집․채용 제도 24 3. 인재상 28 제2절 1970년대 : 인재상의 등장 32 1. 시대적 배경 32 2. 인사제도와 채용환경의 변화 34 1) 인사관리제도의 확립 34 2) 채용환경의 변화 35 3. 인재상 39 제3절 1980년대 : 인재상의 확산 44 1. 시대적 배경 44 2. 인사제도와 채용환경의 변화 46 3. 인재상 51 제4절 1990년대 : 인재상의 구조화 56 1. 시대적 배경 56 2. 인사제도와 채용환경의 변화 57 1) 인사제도의 변화 57 2) 채용환경의 변화 58 3. 인재상 60 제5절 2000년대 : 인재상의 공식화 64 1. 시대적 상황과 고용 없는 성장 64 2. 채용 면접의 변화 66 3. 인재상 68 1) 2000년대 인재상의 키워드 68 2) 2000년대 인재상의 특징 72 제4장 결론 74 제1절 인재상의 변화와 전망 74 1. 시대별 인재상의 변화 74 1) 1960년대 (드러나지 않은 인재상) 74 2) 1970년대 (인재상의 등장) 75 3) 1980년대 (인재상의 확산) 75 4) 1990년대 (인재상의 구조화) 76 5) 2000년대 (인재상의 공식화) 76 6) 인재상 변화의 특징 77 2. 새로운 인재상의 가능성(인재상의 세분화와 현실화) 78 제2절 연구의 한계 81 〔부록〕한국 100대 기업의 인재상(2008년) 82 〔참고문헌〕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