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0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580603 | |
005 | 20100805052426 | |
007 | ta | |
008 | 100309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1057548 | |
035 | ▼a (KERIS)BIB000011909880 | |
040 | ▼a 211042 ▼c 211042 ▼d 211009 | |
082 | 0 4 | ▼a 323.042 ▼2 22 |
090 | ▼a 323.042 ▼b 2009z3 | |
100 | 1 | ▼a 하승수 ▼0 AUTH(211009)24689 |
245 | 1 0 | ▼a 한국 직접ㆍ참여민주주의의 현재 : ▼b 주민발의, 주민투표, 주민소송, 주민소환, 주민참여예산 / ▼d 하승수, ▼e 이호, ▼e 김현. |
260 | ▼a 서울 : ▼b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c 2009. | |
300 | ▼a 237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기획: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
504 | ▼a 참고문헌(p. 228-233) 및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독일 프리드리히에버트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됨. | |
700 | 1 | ▼a 이호 , ▼e 저 |
700 | 1 | ▼a 김현 ,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8.2 2009 | Accession No. 1115701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8.2 2009 | Accession No. 1115701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담은 책. 직접.참여민주주의의 이론을 설명하기 보다는 그에 대한 한국사회의 경험을 정리하여 제도의 틀 내와 틀 바깥에서 이루어져 왔던 다양한 시도들을 담고 있다.
‘참여와 경험을 통한 민주주의의 희망과 대안 찾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한국 직접.참여민주주의의 현재』발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함세웅)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담은『한국 직접.참여민주주의의 현재』를 발간했다. 이 책은 직접.참여민주주의의 이론을 설명하기 보다는 그에 대한 한국사회의 경험을 정리한 책으로, 제도의 틀 내와 틀 바깥에서 이루어져 왔던 다양한 시도들을 담고 있다.
특히 주민발의, 주민투표, 주민소송, 주민소환 그리고 주민참여예산까지 주로 지자체 영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직접.참여민주주의의 경험을 정리하고 있다. 각 제도의 의의와 절차, 전반적인 운영 현황과 더불어 다수의 사례가 보여준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도적인 부분과 현실의 경험을 아우를 수 있는 하승수(제주대 법학부 부교수), 이 호(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소장), 김 현(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연구위원) 3인이 공동 집필했다.
이 책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1장에서는 직접.참여민주주의의 의미와 한국사회에서의 흐름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2장에서는 주민발의, 주민투표, 주민소송, 주민소환, 주민참여예산의 실제 경험들을 다수의 사례와 함께 정리했다. 마지막 3장에서는 한국의 직접.참여민주주의의 발전과제를 정리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4 1장 직접ㆍ참여민주주의와 한국 사회 1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와 직접ㆍ참여민주주의 = 13 2 한국 직접ㆍ참여민주주의 관련 흐름 = 16 3 지방자치 주민참여제도 도입 현황 = 19 2장 한국 직접ㆍ참여민주주의 현황 1 주민발의 = 25 사례1 : 부천시 담배자동판매기설치금지 조례 = 31 사례2 : 광명시 도시계획조례 개정 주민발의 = 34 사례3 : 과천시 보육조례 개정 주민발의 = 37 사례4 : 학교급식 지원조례 주민발의 = 42 2 주민투표 = 60 사례1 : 경기도 고양시 주상복합건물 건축 관련 주민투표 사례 = 67 사례2 : 부안 방폐장 유치 찬반 주민투표 = 72 사례3 : 청주ㆍ청원 통합 관련 주민투표 = 82 사례4 : 제주도 행정구조 개편에 관한 주민투표 = 87 사례5 : 중ㆍ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유치 찬반 주민투표 = 95 3 주민소송 = 103 사례1 : 도봉구 의정비 환수소송 = 112 사례2 : 성북구 업무추진비 주민소송 = 121 사례3 : 청양군 주민소송 = 129 4 주민소환 = 139 사례1 : 경기도 하남시 주민소환투표 = 145 사례2 : 제주도지사 주민소환투표 = 155 사례3 : 시흥시 주민소환 = 162 사례4 : 광진구 주민소환 = 166 5 주민참여예산 = 170 사례1 : 광주 북구 주민참여예산 = 179 사례2 : 울산 동구 주민참여예산 = 186 사례3 : 대전 대덕구 주민참여예산 = 192 사례4 : 충남 천안 대안 복지예산 만들기 = 198 3장 한국 직접ㆍ참여민주주의의 발전과제 1 한국 직접ㆍ참여민주주의에 대한 총괄적 평가 = 215 2 직접ㆍ참여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과제 = 220 참고문헌 = 228 찾아보기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