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부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의 이해
제1장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의 지향 = 17
Ⅰ. 사회과로서의 역사 수업 = 18
Ⅱ. 초등학교 역사 수업의 쟁점과 과제 = 20
Ⅲ. '살아있는 역사 수업'의 조건 = 22
제2장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 = 25
Ⅰ. 역사교육의 성격과 본질 = 26
Ⅱ. 초등역사교육의 성격과 목표 = 29
1. 역사교육의 유용성 = 29
2. 살아있는 역사교육 = 30
3. 다원주의 민주주의에의 기여 = 32
Ⅲ. 초등역사교육의 정체성 = 34
1. 초등역사교육과 중등역사교육 = 34
2. 초등역사교육정체성 논의의 규범화 = 38
3. 초등역사교육의 실체 = 40
참고문헌 = 45
제3장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배열 그리고 교과서 서술 = 47
Ⅰ. 초등역사 무엇을, 어느 정도 넓이와 깊이로 가르쳐야 하나? = 48
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초등역사 내용 선정, 조직 원칙 = 51
1. 역사내용 조직 논리 형성을 위한 암중모색기(교수요목가 - 2차 교육과정기) = 51
2. 역사내용 조직 논리의 정립기(3차-6차 교육과정) = 56
3. 연대기적 조직 방법의 강화 시기(7차 이후∼) = 60
Ⅲ. 초등역사내용 선정, 조직의 특징 = 65
Ⅳ. 초등역사내용 조직 방법에 따른 교과서 내용 서술 방식과 수업 = 67
참고문헌 = 72
제4장 초등사회과 역사 수업의 문제와 방법 = 75
Ⅰ. 초등역사 수업, 이대로 좋은가? = 76
Ⅱ. 초등역사 수업의 원리 = 85
1. 역사를 이야기로 배운다 = 85
2. 살아있는 역사로 느껴야 한다 = 89
3. 역사를 생각해야 한다 = 91
4. 역사를 해본다 = 95
Ⅲ. 초등역사 수업의 방법 = 97
1. 감동이 있는 강의식 수업 = 97
2. 역사를 실감하게 하는 수업 = 101
3. 역사를 생각하게 하는 수업 = 105
4. 역사 이해를 재현해보는 수업 = 111
5. 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업 = 116
6. 그 밖의 학습 = 119
Ⅳ. 초등역사 수업의 어려움을 넘어서 = 121
참고문헌 = 123
제5장 초등사회과 역사 수업의 평가 = 127
Ⅰ. 평가를 바라보는 두 관점 = 128
Ⅱ. 평가의 기본적인 원리 = 132
Ⅲ. 역사 학습 평가 영역(목표 준거) = 134
Ⅳ. 역사 학습 평가의 실제 = 137
1. 비공식적 평가 = 138
2. 공식적 평가 = 142
참고문헌 = 172
제6장 초등사회과 역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 173
Ⅰ. 초등역사 수업의 예술적 접근 = 174
1. 역사의 예술성, 예술의 역사성 = 175
2. 초등학교 역사 수업에서의 예술 활동 = 192
참고문헌 = 202
Ⅱ. 온전한 역사 복원, 생활사적 접근 = 204
1. 새로운 역사학, 생활사의 등장 = 204
2. 초등 생활사 교육의 현주소, 그 의외와 한계 = 207
3. 초등 생활사 교육의 방향성 = 209
참고문헌 = 213
Ⅲ. 학습 부진아를 위한 초등역사학습 = 214
1. 초등역사교육에서 학습 부진의 이해 = 214
2. 초등역사학습 부진아들을 위한 최소성취요소별 지도 방안 = 223
3. 초등역사학습 부진아들을 위한 최소성취요소별 예시 학습 자료 = 231
참고문헌 = 240
제2부 살아있는 역사 수업의 실제
제1장 연대기적 기능과 연표학습 = 245
Ⅰ. 연표활용을 통한 연표학습방안 = 246
1. 효과적인 역사 수업을 위한 자료 연표 = 246
2. 연표제작 학습과 연표활용학습 = 247
3. 연표학습은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발달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업 방법이다 = 250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251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251
2. 교수학습 자료 = 253
ICT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255
제2장 체험ㆍ표현ㆍ이해 중심의 문화재 학습 = 257
Ⅰ. 체험ㆍ표현ㆍ이해 중심의 문화재 학습을 통한 역사 수업 방안 = 258
1. '아는' 것을 넘어, '이해'하고 '깨닫는' 문화재 학습으로 = 258
2. '문화재에 대한 학습'에서 '문화 행하기'의 수업으로 = 259
3. 문화재를 활용한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문화재 체험하기 = 260
Ⅱ. 역사 수업 설계에서 '체험', '표현', '이해'의 관계 = 263
Ⅲ. 역사 수업 지도안 = 264
1. 교수ㆍ학습 지도안 = 264
2. 교수학습 자료 = 267
문화재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270
제3장 사고력을 기르는 역사 글쓰기 학습 = 271
Ⅰ. 역사 글쓰기 학습 방안 = 272
1. 초등학교 역사 수업은 구체적인 활동이 포함되는 수업이어야 한다 = 272
2. 역사 글쓰기는 타임머신이다 = 273
3. 역사 글쓰기 수업은 역사적 상상력과 역사적 사고력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다 = 276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277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277
2. 교수학습 자료 = 279
역사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282
제4장 역사인물 이해를 목표로 한 대본쓰기 중심 극화학습 = 283
Ⅰ. 대본쓰기를 활용한 극화학습 = 284
1. 극화학습은 과거 인간 행위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284
2. 극화학습에서 대본쓰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 285
3. 극화학습에서 대본쓰기의 과정 = 287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290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290
2. 교수학습 자료 = 290
극화학습을 진행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296
제5장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는 실제적 역사 탐구 = 297
Ⅰ. 역사 탐구 학습을 통한 의미있는 역사 수업 방안 = 298
1. 역사 탐구 학습은 역사 내용에 대한 심오한 이해의 과정이다 = 298
2. 역사 탐구 학습은 구성주의의 인식론을 따른다 = 300
3. 역사 탐구 학습은 사료에 대한 비판적인 해석을 추구한다 = 302
4. 역사 탐구 학습의 과정 = 303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08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08
2. 교수학습 자료 = 311
역사 탐구 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13
제6장 역사 인물을 소재로 한 추체험 역사 학습 = 315
Ⅰ. 역사 인물을 활용한 추체험 역사 학습 방안 = 316
1. 역사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다 = 316
2. 추체험 역사 수업에서 인물은 가장 풍부한 자료를 제공한다 = 317
3. 인물을 통한 역사 수업, 학생 스스로 역사 공부하기 = 318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21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21
2. 교수학습 자료 = 323
추체험 역사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26
제7장 의사결정으로서의 역사 학습 = 327
Ⅰ. 역사적 의사결정 학습 방안 = 328
1. 의사결정 학습은 역사교육에서도 훌륭한 수업방법이다 = 328
2. 역사적 의사결정 학습은 능동적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 329
3. 역사적 의사결정학습을 통해 학생 스스로 작은 역사학자 되기 = 330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33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33
2. 교수학습 자료 = 335
3. 학습지 = 338
의사결정을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40
제8장 쟁점 중심의 역사 학습 = 341
Ⅰ. 보다 나은 역사로 다시 쓰는 수업, 역사적 쟁점학습 = 342
1. 우리 역사교육의 현실, 그리고 역사교육의 본질 = 342
2. 역사적 쟁점학습은 비판적 역사교육을 위한 좋은 대안이다 = 344
3. 역사적 쟁점학습의 가능성, 어린 역사학자의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다시 쓰기 = 347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51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51
2. 교수학습 자료 = 354
3. 교수학습 활동지 = 355
역사적 쟁점을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56
제9장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 학습 = 357
Ⅰ. 내러티브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수업 방안 = 358
1. 역사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미로 읽어 나가는 것이다 = 358
2. 내러티브는 비판적 역사학습에 효과적인 텍스트이다 = 358
3. 내러티브를 활용한 좋은 역사 수업의 가능성, 비판적 역사 읽기 = 359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62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62
2. 교수학습 자료 = 363
3. 학습 활동지 = 365
내러티브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66
제10장 비판적 사고 중심의 사료 학습 = 367
Ⅰ. 사료를 활용한 살아있는 역사 수업 방안 = 368
1. 역사는 학생들이 상상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368
2. 사료와 만나면 살아있는 역사가 된다 = 369
3. 사료를 활용하면 살아있는 역사 수업을 만들 수 있다 = 370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73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73
2. 교수학습 자료 = 375
3. 교수학습 활동지 = 377
사료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79
제11장 사진 자료를 활용한 역사 학습 = 381
Ⅰ. 역사 수업에서 사진의 활용 = 382
1. 사진은 사실적 재현인가? = 382
2. 사진은 앞모습과 뒷모습이 있다 = 385
3. 사진을 '본다'와 사전을 '읽는다!' = 390
4. 사진을 대하는 '사건'을 체험해야 한다 = 390
4. 맥락을 알면 죽은 사진을 살릴 수 있다 = 392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394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394
2. 교수ㆍ학습 자료 = 396
사진을 역사 수업에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399
제12장 풍자만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학습 = 401
Ⅰ. 풍자만화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수업 방안 = 402
1. 역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 행하는 것이다 = 402
2. 살아있는 역사 수업에서 풍자만화는 좋은 교재이다 = 402
3. 풍자만화를 활용한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학생 스스로 역사 행하기 = 403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407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407
2. 교수학습 자료 = 410
풍자만화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413
제13장 역사적 실감을 높이는 드라마 활용 학습 = 415
Ⅰ. 역사드라마를 활용한 비판적 역사 수업 방안 = 416
1. 영상세대에게 있어 역사드라마는 좋은 교재이다 = 416
2. 역사드라마를 활용한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TV는 바보상자? 아님 보물창고? = 417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420
1. 역사드라마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 420
2. 교수ㆍ학습 자료 = 423
3. 시대별로 분류해 본 역사드라마 = 425
역사 드라마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428
제14장 ICT를 활용한 역사 학습 = 429
Ⅰ. ICT를 활용한 역사 학습 = 430
1. 일방적 전달이 아니라 학습주체간의 양방향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 430
2. ICT의 활용은 교사와 학습자 모두의 능동적인 역사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 432
3. ICT활용 수업은 역사적 탐구력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다 = 434
Ⅱ.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자료 예시 = 436
1. 교수ㆍ학습 과정안 = 436
2. 교수학습 자료 = 439
ICT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