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 비판사회과학과 탈국가적 상상력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 비판사회과학과 탈국가적 상상력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희연, 편 지주형, 편 구춘권, 저 김귀옥, 저 김명섭, 저 박영균, 저 백승욱, 저 서관모, 저 윤수종, 저 이나영, 저 이종구, 저 이철우, 저 이화용, 저 임선일, 저 임지현, 저 정성진, 저 최현, 저
서명 / 저자사항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 비판사회과학과 탈국가적 상상력 / 조희연, 지주형 엮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09  
형태사항
615 p.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185
ISBN
9788946051850 (양장) 9788946041721 (학생판)
일반주기
지은이: 구춘권, 김귀옥, 김명섭, 박영균, 백승욱, 서관모, 윤수종, 이나영, 이종구, 이철우, 이화용, 임선일, 임지현, 정성진, 조희연, 지주형, 최현  
기획: 비판사회학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1565camcc2200469 c 4500
001 000045579951
005 20110211192919
007 ta
008 091224s2009 ggk b 000c kor
020 ▼a 9788946051850 (양장) ▼g 93300
020 ▼a 9788946041721 (학생판) ▼g 93300
035 ▼a (KERIS)BIB000011822504
040 ▼a 211020 ▼c 211020 ▼d 21102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20.1 ▼2 22
085 ▼a 320.1 ▼2 DDCK
090 ▼a 320.1 ▼b 2009z5
245 0 0 ▼a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 ▼b 비판사회과학과 탈국가적 상상력 / ▼d 조희연, ▼e 지주형 엮음
246 1 1 ▼a Statization and destatiz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b critical social science and post-statal/post-national imagination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9
300 ▼a 615 p.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185
500 ▼a 지은이: 구춘권, 김귀옥, 김명섭, 박영균, 백승욱, 서관모, 윤수종, 이나영, 이종구, 이철우, 이화용, 임선일, 임지현, 정성진, 조희연, 지주형, 최현
500 ▼a 기획: 비판사회학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조희연, ▼e▼0 AUTH(211009)57990
700 1 ▼a 지주형, ▼e▼0 AUTH(211009)43888
700 1 ▼a 구춘권, ▼e
700 1 ▼a 김귀옥, ▼e▼0 AUTH(211009)124739
700 1 ▼a 김명섭, ▼e
700 1 ▼a 박영균, ▼e
700 1 ▼a 백승욱, ▼e
700 1 ▼a 서관모, ▼e
700 1 ▼a 윤수종, ▼e▼0 AUTH(211009)5406
700 1 ▼a 이나영, ▼e▼0 AUTH(211009)88788
700 1 ▼a 이종구, ▼e▼0 AUTH(211009)100299
700 1 ▼a 이철우, ▼e
700 1 ▼a 이화용, ▼e▼0 AUTH(211009)38719
700 1 ▼a 임선일, ▼e▼0 AUTH(211009)25780
700 1 ▼a 임지현, ▼e
700 1 ▼a 정성진, ▼e▼0 AUTH(211009)58048
700 1 ▼a 최현,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116111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116111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512851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116111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116111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1 2009z5 등록번호 1512851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그동안 국민국가(국민경제)적 시·공간을 전제로 발전해온 사회과학이 지구화 또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색한다.

지구화는 비판적 사회과학에 두 가지의 과제를 제기한다. 하나는 현존하는 지구화로부터 탈근대적·탈국민국가적 사회조직 원리를 고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럼에도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뛰어넘는 것이다. 즉,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극복하면서 탈국민국가적·지구적 사회조직 원리를 모색하는 것이다.

국가 대 시장, 국민국가 대 지구화라는 이분법적 틀 속에서 자본주의적·신자유주의적 지구화로부터 (국민)국가로 회귀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탈(국민)국가적 공동체 조직원리에 대한 모색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구화 시대의 탈국가적·탈민족적 상상력에 대한 논의는 단지 이론적 논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실제적인 문제들을 파악하고 진단하는 데에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지구화에 응전하는 비판사회과학의 새로운 상상력

▶핵심 요약


이 책은 그동안 국민국가(국민경제)적 시·공간을 전제로 발전해온 사회과학이 지구화 또는 세계화의 도도한 흐름 속에서 어떠한 변모를 겪고 있으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학술적 논의를 자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화는 비판적 사회과학에 두 가지의 과제를 제기한다. 하나는 현존하는 지구화로부터 탈근대적·탈국민국가적 사회조직 원리를 고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럼에도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뛰어넘는 것이다. 즉,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극복하면서 탈국민국가적·지구적 사회조직 원리를 모색하는 것이다. 국가 대 시장, 국민국가 대 지구화라는 이분법적 틀 속에서 자본주의적·신자유주의적 지구화로부터 (국민)국가로 회귀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탈(국민)국가적 공동체 조직원리에 대한 모색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구화 시대의 탈국가적·탈민족적 상상력에 대한 논의는 단지 이론적 논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실제적인 문제들을 파악하고 진단하는 데에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기획의도 및 출간 의의

이 책의 기획은 2008년 1월 11~12일 숙명여대에서 열렸던 비판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엄 “지구화와 탈국가적 상상력”에서 기원한다. 이 심포지엄의 목적은 탈국가적 상상력의 구조적·현실적 근거들 및 탈국가적 상상력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끌어냄으로써 한국의 사회과학이 지구화 시대에 새로운 상상력을 모색하는 지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발전시킨 이 책의 논의는 일차적으로는 학술적인 차원의 것이지만, 한국처럼 민족주의적·국가주의적 정서가 강한 사회에서 어떻게 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적 정서가 재위치 지어져야 하는지의 문제에 대해 대중적인 함의도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주제는 정치학 쪽에서는 지구화에 따른 국가의 위상 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 연관되어 있으며, 경제학적으로는 지구화와 국민경제의 초국경적 통합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도 연관되어 있다. 사회학이나 문화학 쪽에서도 지구화와 시민사회의 변화, ‘트랜스내셔널한 문화이동’과 관련된 여러 논의들과도 연관되어 있다. 이 책은 사회과학의 협소한 한 분과학문에 얽매이기보다는 범사회과학의 차원에서 ‘지구화 시대의 비판적 지식생산’의 방향을 고민하고자 했다.

▶내용 소개

이 책은 첫째, 지구화가 국민국가, 정치사회사상, 민주주의와 시민권, 민족주의, 그리고 사회운동에 각각 제기하는 도전을 다루는 5개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둘째, 각 부분들에서 독자는 탈근대적·탈국민국가적 대안의 모색에 대한 여러 다른 입장들을 읽고 비교해볼 수 있다.

제1부는 지구화와 국민국가의 현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지주형은 지구화와 국민국가를 일반화할 수 없음을 주장하고, 이화용은 신중세론의 허구를 비판하며, 구춘권은 유럽연합의 사례에서 국민국가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국가성의 출현을 발견한다.

제2부는 지구화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탈국가주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한다. 정성진은 캘리니코스의 시선을 통해 자율주의와 같은 탈국가적 사상을 비판하고, 박영균은 베네수엘라의 사례를 통해 가라타니 고진의 세계공화국론을 비판하며, 서관모는 발리바르를 통해 아나키즘을 비판하고 반폭력과 국제주의에 기초한 ‘시민인륜의 정치’를 모색한다.

제3부는 대안으로서의 지구적 민주주의와 초국민적 또는 탈국가적 시민권의 문제를 다룬다. 조희연은 지구적 민주주의 정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최현과 이철우는 초국적 또는 탈국가적 시민권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다.

제4부는 지구화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의 문제를 다룬다. 임지현은 민족주의를 공격하고 거부하는 반면에, 김귀옥과 김명섭은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를 변형시키고 활용할 것을 주장한다. 한편 이종구·임선일은 한국의 이주노동자 실태를 분석하면서 이들이 노동운동으로의 통합, 다문화 공생사회의 형성, 국제연대라는 과제를 한국 사회에 제기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제5부는 지구화가 노동, 대중, 그리고 여성의 사회운동에 미친 영향과 함의에 대해 검토한다.

[지은이 소개]

구춘권 /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김귀옥 /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김명섭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박영균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백승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관모 /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수종 /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나영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종구 /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이철우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화용 /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
임선일 /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원
임지현 /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정성진 /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조희연 /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지주형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최현 /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조희연(엮은이)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지주형(엮은이)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영국 랭카스터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위기에서 배우기: 한국의 정치경제, 시공간성, 위기관리, 1961~2002년〉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영국에서 공부를 시작한 직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IMF 위기와 한국 사회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한국의 자본주의와 국가 및 지구 정치경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재)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자문위원, 랭카스터대학교 문화정치경제연구센터 객원연구원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한국대통령 통치사료집 VII―박정희(4)》(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정체성 싸움》,《일본경제 들여다보기》,《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인문학 스터디》(공역)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된 행정안전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민주인권기념관 조성, 민주화운동 기념행사 및 추모행사 개최 및 지원,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진행, 국내외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에 대한 조사 및 연구,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의 수집 및 서비스, 국내외 유관 기관과의 협력사업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는 시민의 동반자로서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비판사회학회()

1984년 설립된 학회로 한국 사회과학의 비판적 혁신과 진보적 연구를 통한 사회변화를 표방하여 ‘한국산업사회연구회(산사연)’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다. 창립 당시 사회학 외에도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의 진보적인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1996년 ‘한국산업사회학회(산사학)’로 개칭했고, 2007년에는 ‘비판사회학회’로 다시 개칭했다. 사무실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지구화에 응전하는 비판사회과학의 새로운 상상력의 방향을 모색하며 = 5
 근대 자본주의 국민국가의 한계 = 6
 지구화의 도전 = 8
 구성과 개관 = 12
 맺음말 = 33
제1부 지구화와 국가
 제1장 지구화와 국민국가: 전략-관계론적 접근 / 지주형 = 47
  1. 서론 = 47
  2. 지구화와 국민국가: 논쟁 = 49
  3. 정치-경제 이분법의 비판과 전략-관계론적 대안 = 60
  4. 지구화와 국민국가 변환의 복합적 성격 = 70
  5. 사례: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지구화 = 84
  6. 결론 = 90
 제2장 지구화 시대 정치공동체의 변화: '신중세론'의 비판적 이해 / 이화용 = 98
  1. 서론 = 98
  2. 지구화와 국가체제의 변화 = 101
  3. 신중세론의 이론적 개요 = 105
  4. 신중세론의 비판적 검토 = 110
  5. 신중세론의 함의: 국가 이후? = 120
  6. 결론 = 125
 제3장 유럽연합과 국가성의 전환: 조절이론의 네오그람시안적 확장을 통한 접근 / 구춘권 = 130
  1. 서론 = 130
  2. 통합이론의 최근 발전경향과 조절이론의 네오그람시안적 확장 = 135
  3. 국가성의 전환과 통합양식의 변화 = 145
  4. 결론 = 165
제2부 지구화 시대 탈민족주의ㆍ탈국가주의 이론과 사상
 제4장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반자본주의 사상 / 정성진 = 175
  1. 서론 = 175
  2. 반자본주의의 이론 = 177
  3. 반자본주의 운동의 정치와 전략 = 185
  4. 평가와 함의 = 198
 제5장 대안적 세계화와 비국가로서 국가: 가라타니 고진의 세계공화국을 중심으로 / 박영균 = 204
  1. 서론: 자본의 지구화와 세계혁명 = 204
  2. 가라타니 고진의 자본=네이션=스테이트 넘어서기 = 208
  3. 세계공화국의 이념과 국가의 해체 전략 = 215
  4. 볼리바르 혁명의 교훈과 대안세계화의 전략 = 221
  5. 결론: 대안세계화를 향한 비제도적 투쟁 = 229
 제6장 반폭력의 문제설정과 인간학적 차이들: 에티엔 발리바르의 포스트마르크스적 공산주의 / 서관모 = 234
  1. 서론 = 234
  2. 국가의 사멸에서 국가의 발본적인 민주적 전화로 = 235
  3. 새로운 역사적 인과성 도식과 반폭력의 문제설정 = 244
  4. 국제주의, 인간학적 차이들과 공산주의 = 253
  5. 마르크스와 함께, 그리고 마르크스를 넘어서 = 263
제3부 지구적 민주주의와 시민권
 제7장 민주주의의 지구적 차원: '지구적인 민주주의 정체(政體)'의 형성과 그 사회화 / 조희연 = 271
  1. 서론 = 271
  2. 지구적인 민주주의 정체의 형성 = 273
  3. 지구적인 민주주의 정체의 사회화 = 289
  4. 결론 = 297
 제8장 탈근대적 시민권 제도와 초국민적 정치공동체의 모색 / 최현 = 305
  1. 서론 = 305
  2. 개념의 정의와 관계 = 309
  3. 근대국가 및 시민권 제도의 형성과 국민 정체성 = 312
  4. 탈근대적 시티즌십의 발전 = 319
  5. 결론: 초국민적 공동체 형성과 탈근대적 시민권 제도 = 329
 제9장 탈국가적 시민권은 존재하는가 / 이철우 = 334
  1. 서론 = 334
  2. 국제인권법과 국가주권 = 338
  3. 외국인의 권리 = 344
  4. 소속의 다중성 = 349
  5. 소속의 다층성 = 351
  6. 글로벌 시민사회의 시티즌십? = 356
  7. 변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 358
제4부 지구화 시대의 국민과 민족
 제10장 국민국가의 안과 밖: 동아시아의 영유권 분쟁과 역사논쟁에 부쳐 / 임지현 = 373
  1. 국가주권(national sovereignty), 제한주권(limited sovereignty), 간(間)주권(inter-sovereignty) = 373
  2. 국경(national frontier)과 변경(border zone) = 377
  3. 국사(national history)의 대 연쇄 = 381
 제11장 한국의 민족주의, 시대착오인가 변화의 동력인가: 한국의 민족문제와 민족주의를 둘러싼 성찰과 전망 / 김귀옥 = 389
  1. 서론: 불편하지만 열광하는 민족주의 = 389
  2. 민족과 민족주의를 둘러싼 이론적 검토 = 392
  3. 공식적 '한국 민족주의'의 실체 = 396
  4. 199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하는 민족주의 담론 = 409
  5. 열린 민족주의가 대안이다 = 417
  6. 결론 = 423
 제12장 세계주의 대 애국주의: 세계화 시대 동북아시아에서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 김명섭 = 428
  1. 서론 = 428
  2. 세계적 보편 개념의 서구적 탄생과 애국주의의 양면성 = 433
  3. 동북아 권역에서의 애국주의 = 444
  4. 결론 = 456
 제13장 한국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 사회 / 이종구 ; 임선일 = 465
  1. 서론 = 465
  2. 이론적 배경 = 467
  3. 한국 내의 이주노동자 집단의 형성 = 473
  4. 제도적 환경 변화와 고용허가제 = 480
  5. 이주노동자와 사회운동의 국제적 연대 = 484
  6. 결론: 다문화 사회의 가능성 = 488
제5부 지구화 시대 사회운동과 국가에 대한 도전
 제14장 마르크스주의와 국제주의, 그리고 노동자 운동 / 백승욱 = 495
  1. 국제주의인가, 야만인가 = 495
  2. 역사적 마르크스주의와 국제주의 = 500
  3.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대안세계화, 그리고 국제주의 = 525
  4. 운동의 새로운 출발로서 국제주의 = 536
 제15장 지구화 시대 새로운 주체의 등장과 사회운동의 방향 / 윤수종 = 542
  1. 서론 = 542
  2. 새로운 주체의 등장과 사회운동의 방향 = 543
  3. 이탈리아의 사회센터운동과 대안세계화 운동 = 550
  4. 결론: 사회센터운동의 의의 = 580
 제16장 초국적 페미니즘: 지구화 시대 연대의 진보적 확장 / 이나영 = 587
  1. 서론 = 587
  2. 초국적 페미니즘: 지구화와 초국적 자본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저항적 연대에 대한 전제 = 590
  3. 초국적 페미니즘의 인식론적 특징 = 592
  4. 결론: 너그러운 급진성에 기반을 둔 진보연대를 꿈꾸며 = 608

관련분야 신착자료

Berger, Stefan (2023)
박장호 (2022)
김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