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감정노동 : 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2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ochschild, Arlie Russell , 1940-. 이가람 , 역
서명 / 저자사항
감정노동 : 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 앨리 러셀 혹실드 지음 ; 이가람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이매진 ,   2009.  
형태사항
366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이매진 컨텍스트 ; 23
원표제
(The)managed heart :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20th anniversary ed.
ISBN
9788993985177
일반주기
부록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9-355) 및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motions --Economic aspects. Work --Psychological aspects. Employee motivation.
000 01113camccc200337 k 4500
001 000045579800
005 20100805052048
007 ta
008 100204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93985177 ▼g 93300
035 ▼a (KERIS)BIB000011927145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152.4 ▼2 22
090 ▼a 152.4 ▼b 2009z7
100 1 ▼a Hochschild, Arlie Russell , ▼d 1940-. ▼0 AUTH(211009)131201
245 1 0 ▼a 감정노동 : ▼b 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 ▼d 앨리 러셀 혹실드 지음 ; ▼e 이가람 옮김.
246 1 1 ▼a Emotional labor
246 1 9 ▼a (The)managed heart :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20th anniversary ed.
260 ▼a 서울 : ▼b 이매진 , ▼c 2009.
300 ▼a 366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이매진 컨텍스트 ; ▼v 23
500 ▼a 부록 수록
504 ▼a 참고문헌(p. 329-355) 및 색인수록
650 0 ▼a Emotions ▼x Economic aspects.
650 0 ▼a Work ▼x Psychological aspects.
650 0 ▼a Employee motivation.
700 1 ▼a 이가람 , ▼e▼0 AUTH(211009)55235
900 1 1 ▼a 혹실드, 앨리 러셀 , ▼d 1940-.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115705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115720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410755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211903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211903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512850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115705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115720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410755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211903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211903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 2009z7 등록번호 1512850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사회에 관한 최초의 심층 보고서 . 낯선 이에게 늘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들, 웃어야 사는 사람들, 웃으며 죽어가는 사람들. 바로 ‘감정노동자’다.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은 배우가 연기를 하듯 원래 감정을 숨긴 채 직업상 다른 얼굴 표정과 몸짓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책은 감정노동이라는 개인적 행위와 사회적인 감정 법칙, 사적 생활과 공적 생활에서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는 다양한 교환 행위로 구성된 감정노동 체계를 통해 감정노동사회를 파악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또한 감정노동이 상대적으로 여성에게 많이 부과된다는 사실도 분석한다.

사회학자인 저자는 세계 최대 항공사인 델타 항공의 임원과 승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했다. 여기에 노동조합 관계자, 성 문제 치료 전문가, 연수센터 강사 등 다양한 관련자들과 다양한 직업에서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만난 결과까지 모두 모아 이 책을 썼다. 1983년 초판이 나온 뒤 지금까지 감정노동과 관련된 논의를 이끌어온 이 책은, 감정이 지니는 심리적 측면과 그런 감정이 시장에 상품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적 흐름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을 최초로 개념화했다. 이 책이 출간되면서 ‘감정노동자’, ‘감정 관리’, ‘감정 체계’, ‘감정 프롤레타리아트’ 등 여러 신조어가 탄생했으며, 미국사회학회에서는 감정사회학 분과를 만들기도 했다.

시장과 기업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감정’이 매우 미묘한 문제인 만큼, 저자는 감정노동자와 그 결과물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감정 그 자체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기업과 조직의 원리에 따라 관리되고 상품화된 감정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구별해야 한다고 말한다. 감정노동자는 감정을 파는 대신 죽음을 사고 있다. 웃어야 사는 사람들, 웃으며 죽어가는 사람들, 감정노동자이자 감정노동의 소비자로서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저 사람들은 친절해야 돼, 그게 저 사람들 직업이니까.”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
웃다가 병든 사람들에 관한 웃음과 망각의 보고서!

스튜어디스부터 대형 마트의 판매직 사원까지,
친절과 미소라는 가면의 뒤에서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
감정의 상품화와 감정 관리가 노동의 일부분이 된 감정노동사회!

“사랑합니다, 고객님” ― 웃어야 사는 사람들, 웃으며 죽어가는 사람들
“막무가내 고객들한테 심하게 시달린 날은 남편이나 애들한테 자주 짜증을 내게 돼요. 그리고 내가 손님 입장에서 식당 가서 밥 먹을 때도 서비스가 조금만 거슬려도 소리부터 지르게 되더라고요. 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도, ……성격이 변하나 봐요.” 백화점에서 5년째 일하는 어느 여성의 고백이다. 식당, 백화점, 마트, 서점, 주차장, 114, 홈쇼핑, 비행기에서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아름다운 미소와 친절한 서비스를 만난다. 일상에서 매일 마주치는 아름다운 미소와 친절한 몸짓, 그 이면에는 무엇이 도사리고 있을까?
낯선 이에게 늘 사랑한다고 말하는 사람들, 웃어야 사는 사람들, 웃으며 죽어가는 사람들. 바로 ‘감정노동자’다.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은 배우가 연기를 하듯 원래 감정을 숨긴 채 직업상 다른 얼굴 표정과 몸짓을 하는 것을 말한다. 감정노동을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려고 늘 긴장하며 자기감정을 관리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고, 하루 종일 서서 일하지만 ‘진상’에게도 웃음으로 대해야 한다. 바로 ‘감정노동’이다.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사회에 관한 최초의 심층 보고서
사회학자인 앨리 러셀 혹실드는 세계 최대 항공사인 델타 항공의 임원과 승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했다. 여기에 노동조합 관계자, 성 문제 치료 전문가, 연수센터 강사 등 다양한 관련자들과 다양한 직업에서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만난 결과까지 모두 모아 이 책 《감정노동》을 썼다. 1983년 초판이 나온 뒤 지금까지 감정노동과 관련된 논의를 이끌어온 이 책은, 감정이 지니는 심리적 측면과 그런 감정이 시장에 상품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적 흐름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을 최초로 개념화했다. 이 책이 출간되면서 ‘감정노동자’, ‘감정 관리’, ‘감정 체계’, ‘감정 프롤레타리아트’ 등 여러 신조어가 탄생했으며, 미국사회학회에서는 감정사회학 분과를 만들기도 했다.
이 책은 감정노동이라는 개인적 행위와 사회적인 감정 법칙, 사적 생활과 공적 생활에서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는 다양한 교환 행위로 구성된 감정노동 체계를 통해 감정노동사회를 파악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또한 감정노동이 상대적으로 여성에게 많이 부과된다는 사실도 분석한다. 시장과 기업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감정’이 매우 미묘한 문제인 만큼, 혹실드는 감정노동자와 그 결과물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감정 그 자체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기업과 조직의 원리에 따라 관리되고 상품화된 감정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구별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모두, 자신의 진짜 감정에서 소외돼서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을 속이는 연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면 쓰고 연기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감정 프롤레타리아트
혹실드는 ‘감정노동’을 통해 그동안 사적 차원에서는 개인의 자질 또는 인간적인 특성으로만 여겨지던 ‘감정’이 어떻게 시장 속에서 상품화할 수 있는 자원으로 바뀌었는지, 시장에서 사람들이 그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감정을 상품으로 판다는 것이 개인에게 어떤 의미인지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간다. 감정노동의 양극단에 서 있는 승무원과 추심원의 노동을 묘사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 관리가 노동의 일부가 된 사회적 맥락을 드러내고 있는 저자는, 감정의 관리와 감정의 상업화라는 감정노동의 원리가 전혀 다른 직업의 전혀 다른 감정들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고 말한다. 프로이트의 신호 기능을 감정에 관한 논의로 확대해, 사적 차원의 감정 관리가 사회적으로 조직되고 임금을 얻기 위한 감정노동으로 변형될 때 이 신호 기능이 손상되면서 인간성의 쇠진이 일어난다고 분석한다. 그 결과 쇠진, 스트레스, 신체적 쇠약은 감정노동사회에서 살아가는 감정노동자의 특성이 된다. 그러나 친절과 미소라는 가면 뒤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의 현실을 직시하고, 꾸며내고 관리되어 상품화된 감정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구별하면, 감정을 팔면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보일 것이라고, 이 책 《감정노동》은 말하고 있다.

둘 중 하나, 감정을 팔고 죽음을 사는 우리는 감정노동자
한국의 서비스 산업 종사자는 500만 명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스튜어디스, 비서, 웨이트리스, 웨이터, 여행 가이드, 호텔리어, 사회복지사, 영업사원, 보험 판매인, 장의사, 목사, 놀이동산 직원, 경찰, 미용사, 간호사, 변호사 등 직간접적으로 고객을 상대하는 사람들을 합치면 이 숫자를 훨씬 뛰어넘는다. 자신이 감정노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모두 감정노동자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의 서비스 산업 종사자 실태조사(2007년) 결과를 보면, 백화점 노동자 중 56.2퍼센트는 우울증과 스트레스 질환을 앓고 있다. 또한 2006년 한국여성연구소가 서울 시내 식당 아줌마 4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식당 아줌마들의 25.7퍼센트는 ‘반말·욕설 등 비인격적인 대우가 힘들다’고 했다. 홀 근무자의 19.1퍼센트는 ‘불쾌한 성적 농담’을 겪었다. ‘술 좀 따라봐’(12.6%)라는 말을 듣거나, ‘불쾌한 신체 접촉’(11.7%)을 당한 경우까지 합치면, 감정노동이 얼마나 고된 노동을 수반하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감정노동자는 감정을 파는 대신 죽음을 사고 있다. 웃어야 사는 사람들, 웃으며 죽어가는 사람들, 감정노동자이자 감정노동의 소비자로서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앨리 러셀 혹실드(지은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사회학과 명예 교수다. 평생 여성 노동과 사회 문제를 연구했고, 이 책 《자기 땅의 이방인들》을 포함해 모두 9권의 책을 냈다. 이 중 세 권, 《감정노동(The Managed Heart)》(1983),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남자(The Second Shift)》(1989), 《시간의 구속(The Time Bind)》(1997)은 《뉴욕 타임스》가 뽑은 올해의 책에 선정됐다. 《감정노동》으로 미국사회학회가 주는 찰스 쿨리상을 받았고,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남자》와 《시간의 구속》으로 제시 버나드상을 받았다. 또한 평생 사회학의 대중화에 앞장선 공로로 사회학 대중화 공로상을 받았다. 이밖에도 《뜻밖의 공동체(The Unexpected Community)》(1973)와 《사적인 삶의 상품화(The Commercialization)》(2003), 공동 편집한 《글로벌 우먼(Global Woman)》(2003), 《나를 빌려드립니다(The Outsourced Self: Intimate Life in Market Times)》(2012), 《가족은 잘 지내나요?(So How’s the Family?: and other essays)》(2013) 등을 썼다. 혹실드에게 ‘감정사회학(Sociology ofEmotion)’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안겨준 《감정노동》은 인간, 특히 여성의 감정이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규정되고 상품화되고 이용되는 과정을 밝힌 책으로, 1983년 출간 이후 지금까지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구겐하임, 풀브라이트, 멜론 펠로우십을 받았고, 학부 생활을 한 미국의 스와스모어 칼리지, 덴마크의 올보르 대학교, 노르웨이의 오슬로 대학교, 핀란드의 라플란드 대학교에서 각각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가람(옮긴이)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사람들이 모여 이루어진 사회가 다시 개개인의 삶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흥미로워 사회학을 공부하고 있다. 번역 역시 좋은 책과 독자 사이를, 언어와 언어 사이를 잇는 일이라고 생각하며 꾸준히 관심을 갖고 있다. 옮긴 책으로 《나는 내가 누구인지 몰랐네》(공역), 《보틀마니아》, 《감정노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감사의 글 = 8
1부 개인적인 삶
 01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들 = 17
  감정 체계의 개인적인 면과 공적인 면 = 24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 28
  감정의 개인적 활용과 상업적 이용 = 33
 02 감정이라는 실마리 = 41
  감정은 예방 전략에 약하다 = 45
  감정이라는 실마리 = 46
 03 감정 관리하기 = 55
  표면 행위 = 57
  내면 행위 = 59
  일상생활에서 하는 내면 행위 = 64
  조직 속에서 하는 감정 관리 = 72
  감정에 관한 도구적 거리 = 78
 04 감정 법칙 = 81
  상황에 맞지 않는 감정 = 89
  오해 관계와 부적절한 감정 = 95
 05 감정을 존중하기 - 베풂의 교환 = 105
  마음에서 우러나는 인사를 하는 방법 = 110
2부 공적 삶의 영역
 06 감정 관리 - 개인 전용에서 상업용으로 = 121
  연기를 하라는 요구의 뒷면 = 123
  연기가 공급되는 지점의 뒷면 - 선택 = 128
  공동의 감정노동 = 150
  공급원의 뒷면 - 감독 = 152
  변형을 달성하기 = 154
  실패한 변형 = 158
  모순에 대응하기 = 164
  감정노동과 재정의된 자아 = 170
 07 앞면과 뒷면 사이 - 직업과 감정노동 = 177
  추심원 = 178
  직업과 감정노동 = 189
  사회 계층과 감정노동 = 197
  가족 - 변형을 위한 훈련 장소 = 200
 08 젠더, 지위 그리고 감정 = 207
  감정 관리자, 여성 = 209
  일터의 여성 = 217
  일터의 지위 보호막 = 221
  성적 정체성에서 소외되기 = 229
 09 진정성 찾기 = 234
  감정노동의 인간적 비용 = 235
  문화의 대응 = 239
  거짓 자아 = 244
출간 20주년 기념 개정 증보판 후기 = 251
부록
 A. 감정 모델 - 다윈에서 고프만까지 = 263
 B. 감정에 이름 붙이기 = 288
 C. 직업과 감정노동 = 298
 D. 지위형 통제 체계와 인격형 통제 체계 = 304
옮긴이의 글 = 305
주 = 309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57

관련분야 신착자료

양옥경 (2022)
Ackerman, Diane (2023)
차미혜 (2022)
Haibach-Beach, Pamela S. (2024)
Goldstein, E. Bru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