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09camccc200361 k 4500 | |
001 | 000045578970 | |
005 | 20100805051557 | |
007 | ta | |
008 | 100223s2005 ulka b 001c kor | |
020 | ▼a 8991517005 ▼g 93370: ▼c \10,000 | |
035 | ▼a (KERIS)BIB000009789781 | |
040 | ▼a 222001 ▼c 222001 ▼d 999999 ▼d 211046 ▼d 22401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0.11 ▼2 22 |
090 | ▼a 370.11 ▼b 2005z1 | |
100 | 1 | ▼a Marzano, Robert J. ▼0 AUTH(211009)129081 |
245 | 1 0 | ▼a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설계 / ▼d Robert J. Marzano 저 ; ▼e 강현석 [외]역. |
246 | 1 9 | ▼a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260 |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 ▼c 2005. | |
300 | ▼a xxi, 222 p. : ▼b 삽도 ; ▼c 23 cm. | |
500 | 0 | ▼z 공역자: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
504 | ▼a 참고문헌(p. [201]-216)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 ▼x Aims and objectives |
700 | 1 | ▼a 강현석 ▼0 AUTH(211009)94962 |
700 | 1 | ▼a 강이철 |
700 | 1 | ▼a 권대훈 |
700 | 1 | ▼a 박영무 |
700 | 1 | ▼a 이원희 |
700 | 1 | ▼a 조영남 |
700 | 1 | ▼a 주동범 |
700 | 1 | ▼a 최호성 |
940 | ▼a 교육목표분류학의 설계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 2005z1 | 등록번호 1115700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 2005z1 | 등록번호 1115700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Robert J. Marzano(지은이)
미국 콜로라도 주 잉글우드 소재 Marzano Research Laboratory의 공동창업자이고 CEO다. 그리고 수업과 평가, 표준화에 관한 저작과 실천, 인지력, 효과적인 리더십, 학교 지원 등에 관한 주제로 30여 권의 책과 150여 편의 논문을 쓴 저자이며 강연자이고 트레이너다. 그의 저서 중에는 Designing & Teaching Learning Goals & Objectives, District Leadership That Works, Formative Assessment & Standards-Based Grading, On Excellence in Teaching, The Art and Science of Teaching 등이 있다. 최신의 연구와 이론을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응용한 저작과 연구물들은 교사와 행정가들에게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실천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원희(옮긴이)
경북대학교에서 교육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위스콘신 오클레어 대학에서 연구한 바 있다. 안동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대구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초등교육학회장, 한국교육과정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목차
목차 제1장 Bloom의 분류학 = 1 1. Bloom의 분류학 사용에 대한 간략한 역사 = 3 2. Bloom의 분류학 - 요약 = 8 3. Bloom의 분류학이 지니는 문제점 = 14 4. 새로운 분류학을 위하여 = 15 5. 요약 = 16 제2장 이론적 모형 = 17 1. 세 가지 체제와 지식 = 20 2. 모형과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 22 3. 경험적 증거 = 23 4. 요약 = 25 제3장 지식 영역 = 27 1. 영역으로서의 지식 = 30 2. 정보 영역 = 31 3. 정신적 절차 영역 = 39 4. 심동적 절차 영역 = 44 5. Bloom의 분류학과의 관계 = 46 6. 요약 = 47 제4장 세 가지 사고 체제 = 49 1. 기억 = 50 2. 수준 1 : 인출(인지체제) = 52 3. 수준 2 : 이해(인지체제) = 57 4. 수준 3 : 분석(인지체제) = 63 5. 수준 4 : 지식 활용(인지체제) = 75 6. 수준 5 : 메타인지 = 80 7. 수준 6 : 자기체제 사고 = 83 8. 신분류학의 위계적 성격의 재검토 = 91 9. 목표의 분류학 = 93 10. 요약 = 93 제5장 신 분류학과 세 가지 지식 영역 = 97 1. 수준 1 : 지식의 인출 = 98 2. 수준 2 : 이해 = 104 3. 수준 3 : 분석 = 114 4. 수준 4 : 지식 활용 = 131 5. 수준 5 : 메타인지 = 145 6. 수준 6 : 자기체제 사고 = 154 7. 요약 = 163 제6장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적용 = 165 1. 교육 성과 = 166 2. 나선형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도구 = 171 3. 평가 설계를 위한 도구 = 181 4. 맺음말 = 200 참고문헌 = 201 찾아보기 =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