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의학 : 놀라운 치유의 역사 : 고대의학에서 현대의학까지, 동양의학에서 서양의학까지 (6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orter, Roy, 1946-2002, 편 여인석, 1965-, 역
서명 / 저자사항
의학 : 놀라운 치유의 역사 : 고대의학에서 현대의학까지, 동양의학에서 서양의학까지 / 로이 포터 책임편집 ; 여인석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네모북스,   2010  
형태사항
488 p. : 삽화 ; 27 cm
원표제
Medicine : a history of healing : ancient traditions to modern practices
ISBN
9788990795472
서지주기
참고문헌(p. 460-474)과 색인, 연보수록
일반주제명
Medicine --Histo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578641
005 20220923175621
007 ta
008 100203s2010 ulka b 001c kor
020 ▼a 9788990795472 ▼g 03900
035 ▼a (KERIS)BIB000011927260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0/.9 ▼2 22
085 ▼a 610.9 ▼2 DDCK
090 ▼a 610.9 ▼b 2010
245 0 0 ▼a 의학 : ▼b 놀라운 치유의 역사 : ▼b 고대의학에서 현대의학까지, 동양의학에서 서양의학까지 / ▼d 로이 포터 책임편집 ; ▼e 여인석 옮김
246 1 9 ▼a Medicine : ▼b a history of healing : ancient traditions to modern practices
260 ▼a 서울 : ▼b 네모북스, ▼c 2010
300 ▼a 488 p. : ▼b 삽화 ; ▼c 27 cm
504 ▼a 참고문헌(p. 460-474)과 색인, 연보수록
650 0 ▼a Medicine ▼x History
700 1 ▼a Porter, Roy, ▼d 1946-2002, ▼e
700 1 ▼a 여인석, ▼d 1965-, ▼e▼0 AUTH(211009)50887
900 1 0 ▼a 포터, 로이, ▼d 1946-2002,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1157172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115717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6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211922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211922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31039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51284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1157172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115717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6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211922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211922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310394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9 2010 등록번호 151284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대의학에서 현대의학까지, 동양의학에서 서양의학까지…… 동서고금에 걸쳐 인류가 걸어온 치유의 여정을 만나다. “환자 중심적인 의료와 우리의 필요에 적합한 의료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로이 포터와 8명의 저자들은 먼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행해온 치유의 전통을 포괄적으로, 편견 없이 들여다 보고자 한다.

전 세계의 다양한 치유전통을 살펴보고, 그들의 공통적 뿌리를 찾고, 서로 다른 치유전통 간에 이루어진 문화교류의 역사를 더듬으면서 어떤 하나의 전통만이 의학을 독점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동양의 전통의학과 서양의 과학적 의학이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분리보다는 통합의 가능성을 점치는 것이다.


‘그림으로 보는 의학사’라고 할 만큼 풍성한 시각자료들로 지루할 틈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 고전의학서 《황제내경》에 실린 수백 개의 혈자리를 묘사한 그림을 비롯해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동서양의 고대 의학문헌 속 삽화들을 담아냈을 뿐만 아니라 주요 의학도구들과 수술 장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동서고금의 치유자들, 다양한 문화권별로 한 시대를 대표했던 치료법과 사회상을 묘사한 그림과 사진들로 가득하다. 다양하고 귀중한 일차 자료들 덕분에 독자들은 역사 속 치유의 현장과 발자취를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동서양의 치유자들은 인간의 몸과 마음을 어떻게 이해해왔는가?
‘치유’라는 프리즘으로 들여다본 놀랍고 흥미로운 세계사!!

치유의 역사를 통해 현대의학의 갈 길을 묻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모른다면 앞으로 어디로 가야 할지도 알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역사가 중요한 것은 바로 그래서다. 미래에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과거를 조명해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의학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것은 어떤 효용이 있을까? 의학은 오늘날 가장 빠른 속도로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지는 분야의 하나이고, 그 속도를 따라잡기조차 버거울 지경이다. 그런 마당에 대부분 용도 폐기된 과거의 의학 이야기를 통해 대체 어떤 미래를 모색할 수 있단 말인가?
《의학:놀라운 치유의 역사》는 “미래에도 서양의학이 주류의학으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할 것인가, 또한 그것이 과연 인류에게 최선일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책이다.
책임편집을 맡은 영국의 저명한 역사가 로이 포터는 “우리는 이상한 시대를 살고 있다”고 진단한다. 주요 국가들의 기대수명이 평균 80세에 육박하고, 현대의학은 발전을 거듭해 획기적인 수술과 치료법으로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여가는 시대. 이렇듯 모든 객관적 지표상으로 현대인의 건강상태는 과거 어느 시대보다 좋아졌지만, 크고 작은 질병 때문에 현대인들이 병원을 찾는 횟수는 50년 전보다 두 배나 증가했고 이에 따라 의료비 지출은 날로 늘어간다(우리나라만 해도 GDP 대비 국민의료비 비중의 평균증가율(2000~2007년)은 4.7%로 OECD 국가의 평균 2.0%보다 약 두 배 이상 빠르다). 또한 신종플루를 비롯한 팬데믹(대유행병)의 공포는 오히려 커지고 있으며 각종 검사의 남발, 고통스런 부작용을 동반하는 ‘독한 약’들에 대한 두려움, 환자가 되는 순간 한낱 ‘질병의 운반자’로 취급당하는 듯한 비인간적 병원환경 등으로 인해 현대의학에 대한 불만이 늘어가는 것도 사실이다.
로이 포터는 묻는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인들은 “환자 중심적인 의료와 우리의 필요에 적합한 의료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로이 포터와 8명의 저자들은 먼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행해온 치유의 전통을 포괄적으로, 편견 없이 들여다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왜 의학의 역사가 아닌 ‘치유의 역사’인가?

이 책은 의학이 과학적으로 진보해온 과정뿐만 아니라 인간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의 ‘치유’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왜 ‘치유’인가? 의학은 지식이나 학문의 체계를 의미하지만, 치유라는 단어는 보다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기술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과학성’을 기준으로 동서고금의 의학에 등급을 매기는 방식으로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치유행위’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여러 문화권에서 인간이 행해온 다양한 치유활동의 역사를 폭넓게, 그리고 공평하게 기술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서양의학과 동양의 보다 전인주의(holism)적인 전통 사이에 경계선을 긋고 있다. 서양에서는 그러한 전통들을 흔히 대체의학이라고 부르며 서양의학 모델과는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이것이 진실일까? 그 둘은 그렇게 다른 것일까? 그러한 경계선이 언제부터 생겼으며, 서로를 연결할 다리를 놓을 수는 진정 없는 것일까?
《의학:놀라운 치유의 역사》는 전 세계의 다양한 치유전통을 살펴보고, 그들의 공통적 뿌리를 찾고, 서로 다른 치유전통 간에 이루어진 문화교류의 역사를 더듬으면서 어떤 하나의 전통만이 의학을 독점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동양의 전통의학과 서양의 과학적 의학이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분리보다는 통합의 가능성을 점쳐보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현대 서양의학을 중심에 놓고 쓰여진 기존의 어떤 의학사 책에서도 볼 수 없었던 풍부하고 균형 잡힌 또 한 권의 세계사를 만나게 된다. 종(縱)으로는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현대에 이르는 서양의학은 물론이고 이슬람, 중국, 인도, 아프리카 등 서양 이외의 치유전통까지 살펴볼 수 있으며, 횡(橫)으로는 대표적인 치유의 수단인 약물학이나 외과술, 정신의학이라는 특정 분야들이 동서양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다뤄져 왔는지도 알 수 있다.

동서고금의 위대한 치유자들, 한자리에 모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치유자’들은 실로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공인된 자격증이 있는 의사와 간호사들로 한정되지만, 역사적으로 치유자들은 다양한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서양의학 역사를 이끌어온 주요 치유자들은 물론이고 이집트, 그리스, 인도, 중국, 아메리카대륙과 아프리카의 고대 치유전통 속에서 활동했던 이들, 대체의학과 보완의학 분야의 치유자들, 군인과 여성 치유자들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몸과 마음을 보살펴온 수많은 인물들을 이 책을 통해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서양의학 전통의 대표적인 인물들로는 어떠한 질병도 신성하지 않으며 모든 질병은 자연적 원인에서 기인한다고 본 서양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체액설을 정교화시켜 집대성한 갈레노스, 진단에서 화학적 검사의 중요성을 설파한 파라셀수스, 혈액순환의 비밀을 밝힌 윌리엄 하비, 과학적 해부학을 탄생시킨 베살리우스, 16세기 외과술의 혁명가 앙브루아즈 파레, 집보다 병원에서 수술받는 것이 더 위험하던 시대에 세균 때문에 감염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규명하며 최초로 무균수술을 도입한 조지프 리스터를 비롯해 복부수술, 맹장수술, 담석과 탈장 수술, 혈관수술, 심장수술, 그리고 장기이식술에 이르는 다양한 전문수술법을 발전시키고 성공시킨 수많은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다른 문화권에서 활동한 치유자들의 면면은 더욱 흥미롭다. 파라오 조세르(B.C. 2900년경) 밑에서 일했던 의사로 훗날 반신(半神)으로 추앙받은 임호텝, 역병의 정복자이자 전파자로 여겨졌던 아폴로와 아스클레피오스를 비롯한 그리스신화 속의 치유자들, 치료에서 영혼의 역할을 깨닫고 육체와 정신의 조화를 설파하며 인도 치유전통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 고타마 싯다르타, 아유르베다 의학의 기초를 놓은 차라카와 수슈루타,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치유자 황제, 신농에서부터 침술의 대가였던 편작과 관우의 팔을 수술한 것으로 유명한 화타, 그리고 전승으로 내려온 민간요법을 통한 육체적 치료는 물론이고 종교적, 전통적 의식을 통해 공동체의 심리치료를 담당했던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의 샤먼들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치유전승에 깊이와 풍성함을 더해준 다양한 치유자들을 만나볼 수 있다.

그림으로 만나는 역사 속 치유의 현장

488쪽에 달하는 두께 때문에 부담스러워할 필요는 없다. ‘그림으로 보는 의학사’라고 할 만큼 풍성한 시각자료들로 지루할 틈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 고전의학서 《황제내경》에 실린 수백 개의 혈자리를 묘사한 그림을 비롯해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동서양의 고대 의학문헌 속 삽화들을 담아냈을 뿐만 아니라 주요 의학도구들과 수술 장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동서고금의 치유자들, 다양한 문화권별로 한 시대를 대표했던 치료법과 사회상을 묘사한 그림과 사진들로 가득하다. 이처럼 다양한 시각자료들과 더불어 치유자들의 일기나 편지 등 당대의 문헌에서 취한 귀중한 일차 자료들 덕분에 독자들은 역사 속 치유의 현장과 발자취를 한층 생생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책 앞머리에 수록된 의학사 연표만 참고해도 오랜 치유의 역사를 일별할 수 있다. 기원전 10,000년부터 20세기 말까지 세계의학, 치료자, 과학, 약초학, 외과학, 정신의학, 세계사로 나누어 시대별 주요 사건과 인물이 정리되어 있다. 이로써 독자들은 제국의 성립과 몰락, 전쟁, 주요 발명 등의 굵직한 세계사적 사건들과 더불어 발전해온 의학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을 것이다.
동서양의 만남을 통해 보다 전인주의적인 의학의 미래를 모색하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은 ‘동서양의 만남’에 할애되어 있다. 지나치게 기술 중심적이며 비인간적이라고 비판받아온 현대 서양의학의 변화를 요구하는 반의료문화 운동의 역사와 최근의 전개를 살펴보고, 끊임없이 안전성과 과학성을 의심받아온 대체의학과 다른 문화권의 전통의학이 서양에서 제도적으로 공인받고 뿌리내리기 위한 움직임과 그 수용현황 등을 짚어본다.
그리고 끝으로 서양의학이 동양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면서, 특히 공공보건체계가 잘 정립되어 있지 않거나 도농 간의 격차가 큰 제3세계와 개발도상국들에서 병원 중심의 서양식 의료체계가 갖는 한계를 짚어보고 대안을 모색한다. 이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치료가 전통의학뿐인 경우에 중요한 문제다. 예컨대 인도에는 40만 명의 아유르베다 치료자와 20만 명의 동종요법가가 존재하고, 말레이시아에서는 2만 명의 보모(bomoh, 말레이시아 샤먼)들이 2,300명의 의사를 수적으로 압도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20만 명의 전통의학 치료자와 2만 5,000명의 현대 의사가 공존한다. 이런 지역들에서는 서양의학과 전통의학이 서로 소통하고, 나아가 통합의 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유명한 의사인 루 박사(Dr. Lu)는 이처럼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을 함께 사용하는 데 따른 이점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그것들은 젓가락과 그릇처럼 밥을 먹기 위한 두 가지 방식이다. 때로 젓가락이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다. 다른 경우 그릇이 양을 만족시켜준다. 하지만 사실 두 방법 모두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
여러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치유에 관한 동서양의 접근법을 통합하는 것이 미래의 소비자들에게 보다 이로운 기회를 제공하리라는 것이 이 책의 믿음이다. 그러나 지난 두 세기 동안 주류의학으로 굳건히 자리잡아온 정통 서양의학이 이러한 요구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까지 수용하게 될지는 좀 더 지켜볼 문제다.


이 책의 특징

▶ 기존의 서양 중심적인 의학사에서 벗어나 다른 주요 문화권의 의학과 치유전통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인도 아유르베다 의학, 음양오행이론에 입각한 중국의학, 나아가서는 아메리카 원주민 의학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 인류가 축적해온 공동의 유산이라는 관점에서 서양의학과 다른 치유전통에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고, 세계사적 차원에서 동서양 의학이 실질적으로 교류해온 역사적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의학사를 바라보는 시야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 기존의 의학사에서는 거의 무시되어온 대체의학에 대해서도 상당한 지면을 할애해 소개하고 있다. 광범위한 약초요법을 비롯하여 동종요법, 아로마요법, 정골요법이나 카이로프랙틱, 나아가 침술과 지압을 포함한 한의학에 이르기까지, 한 사회의 주류의학에 의해 주변화된 치유전통을 ‘보다 인간적인 치료’라는 관점에서 편견 없이 다루고 있다.
▶ 동서양의 고대문헌, 당대의 사회상과 치료법을 묘사한 삽화, 역사적으로 중요한 치유자들의 초상화나 사진 등 풍부한 시각자료를 통해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흥미를 더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로이 포터(지은이)

1946∼2002. 영국학사원 회원. 케임브리지대 크라이스츠 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있는 웰컴 트러스트 의학사연구소 소장과 사회사 교수를 역임했다. 『광기의 사회사』 『인류 최대의 혜택: 인류 의학사』 『케임브리지 의학사』 『이성의 시대의 육체』 『의학의 역사』 등 의학사 분야와, 『인간이 자연에 통달하다: 과학의 25세기』 『18세기 과학』 등 과학사 분야, 『18세기 영국 사회』 등 사회사 분야를 중심으로 100여 종의 책을 집필, 편집했다. 2002년 심장마비로 별세.

여인석(옮긴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교수 및 의학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기생충학으로 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파리 7대학에서 서양고대의학의 집대성자인 갈레노스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쓴 책으로는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공저), 『의학사상사』, 『한국의학사』(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라메트리 철학선집』, 『캉길렘의 의학론』 등이 있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CHAPTER 01 의학의 역사 = 21
 주술사의 진단 = 24
 의학적 치료에 대한 초기의 관념 = 26
 원시 수술 = 29
  고대의학과 외과수술의 증거 = 32
   이집트 = 32
   인도 = 34
   중국 = 35 
   아메리카 = 36
   그리스 = 37
   4체액설 = 38
   그리스 의학사상의 영향 = 40
   로마의학 = 42
   아랍의 영향 = 43
   그리스도교회 = 46
   점성술과 외과술 = 48
  중세시대의 의학 = 51 
   약초요법 = 51
   의술 면허 = 54
   파라셀수스와 화학약품 = 55
   14∼16세기의 외과학 = 56
   대학과 과학의 발전 = 58
   르네상스와 의학의 발전 = 60
   현미경과 매균설 = 63
  의학과 과학 = 67
   질병의 특이성 = 67
   제너, 파스퇴르 그리고 코흐 = 69
   공중위생 = 73
   환자와 의사로서의 여성 = 75
   18∼20세기의 외과수술 = 78
   마취 = 79
   정신질환 = 81
   기술과 진보 = 82
CHAPTER 02 서양의학의 발전 = 85
 과학적 진보의 역설 = 90
 이윤적 동기 = 91
 16∼19세기의 의학 = 93
  과학적 태도의 보편화 = 96
  병원 = 99
  사후 검사 = 104
 의학적 하드웨어 = 106
  청진기 = 106
  '시선'의 확장 = 107
  현미경 = 109
 신체기능의 측정 = 113
  실험의학 = 116
 의학과 사회적 약자들 = 121
 20세기의 과학적 의학 = 125
  임상과학 = 126
  20세기의 발견과 진보 = 130
  약의 유익한 효과 = 131
  최첨단 도구들 = 133
  정신의학 = 134
 의료권력의 부상 = 136
CHAPTER 03 약초학 = 141
 자주 묻는 질문 = 145
 약초의학의 기원 = 146
 약초의 효과 = 147
 선택하기 : 약초 = 149
 선택하기 : 의료시술자들 = 149
 경향과 발전 = 152
  그리스의학 : 지속적인 영향 = 152
  약초에 관한 전승 = 156
  근대 초기(1500∼1700) = 158
  왜 신대륙의 약초들이 멕시코를 거의 떠나지 못했는가? = 162
  약초치료제 준비하기 = 163
  다양한 치료자들 = 168
  18∼20세기 = 169
  새로운 식물들 = 174
  중국 : 전통의학 및 서양과의 연결 = 177
  대안적 치료자들 = 180
  개선되는 약들 = 184
 약초학의 과거와 현재 = 188
  안전 문제 = 192
CHAPTER 04 균형 있는 신체 = 197
 몸에 대한 공통된 전통들 = 201
 인도의학과 원기왕성한 신체 = 204
  몸에 대한 아유르베다의 모델 = 208
 움직임의 생동성 : 신체에 대한 중국인들의 생각 = 212
  해부학에 대한 중국의학의 개념 = 217
 '환자여, 그대 자신을 치유하라' : 역동적인 에너지의 창출 = 220
 에너지의학에서의 진단 = 223
  침술의 기초 = 225
 문화의 경계를 넘어서 : 동양의학에 대한 서양의 반응 = 228
  과학과 서양의학 = 233
 서구의 에너지의학 = 236
  최면술 = 236
  동종요법 = 239
  동양의학이 현대 서양의학에 미친 영향 = 242
CHAPTER 05 수술과 처치 = 245
 고대 중동지역 = 249
 중국 = 250
 인도 = 251
 고대 그리스와 로마 = 254
 비잔틴, 이슬람 그리고 중세시대 = 258
  이슬람 = 260
  중세시대 = 263
  유럽의 르네상스 = 265
 외상과 전장에서의 수술 = 267 
  리스터와 무균법 = 271
  두 차례의 세계대전 = 274
 마취와 무균법 이전의 수술 = 277
 근대 : 리스터의 무균법 이후 = 281
  복부수술의 시작 = 283
  첫 맹장절제술 = 285
  담석과 탈장 = 290
 전문수술의 발전 = 291 
  주요 혈관의 수술 = 291
  심장수술 = 293
  장기이식 = 295
 수술의 대안 = 298
 미래에는? = 300 
CHAPTER 06 치유와 마음 = 303
 정신치료 : 몸에서 마음으로 = 309
  더욱 인도적인 치료? = 311
 영혼의 과학 : 진료소에서 연구실까지 = 315
  샤르코와 살페트리에르 = 318
  최면술과 메스머리즘 = 322
  히스테리 이론의 비판자들 = 324
  에밀 크레펠린의 영향 = 327
  외양으로 판단하기 = 330
 정신의학, 식민주의 그리고 동양세계 = 334
  다른 문화, 다른 관습 = 336
 전쟁, 심리적 트라우마와 암시의 부활 = 338
  정신분석의 뿌리 = 339
  전쟁의 트라우마 = 341
  전쟁과 전쟁의 기억 = 346
  우생정신의학 = 348
  최근의 발전 = 350
CHAPTER 07 역사 속의 치유자들 = 353
 방에 대한 문화적 관점 = 356
 치유자들 = 358
 고대의 전통 치료법들 = 361
  이집트 = 361
  고대 그리스 = 362
  인도 = 365
  중국 = 367
  공자사상과 중국 전통의학 = 368
  신앙치료 = 369
  아메리카 원주민 치유자들 = 370
  아프리카 의학 = 373
  여성 치유자들 = 375
  힐데가르트의 치료법 = 377
 인간의 육체와 치료전통의 문화적 교류 = 379
  인간의 육체 = 379
  치료전통 간의 문화교류 = 385
  아프리카 의학 = 387
  일본의학 = 388
  중동으로부터의 교훈 = 390
  '현대' 치료전통의 진화 = 392
  대체의학 또는 보완의학 = 392
  식이요법과 건강한 식생활 = 397
  카이로프랙틱과 기타 요법들 = 398
  현대의 논쟁들 = 400
  군대의 치유자들 = 401
  여성 치유자들 = 402
  전염병 = 407
  죽음에 관한 생각들 = 411
CHAPTER 08 동서양의 만남 = 413
 동양의 영향과 서양의 의료 = 417
 서양 반의료문화의 최근 전개 = 423
  대중의 인정 = 425
  선택과 다양성 = 427
 의학에 대한 현대 서양의 대안 = 429
  약초학의 영향 = 432
 대체의학과 의학적으로 공인받지 않은 치료자들 = 437
  집단적 조직을 향한 움직임 = 440
 서양 주류의학의 전인주의적 개혁 = 446
  의사와 전인주의 = 448
 서양의 생의학이 동양에 끼친 영향 = 452
  거대산업의 영향 = 454
  맨발의 의사들 = 456
  수렴 = 457

관련분야 신착자료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