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6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575447 | |
005 | 20120427092249 | |
007 | ta | |
008 | 100107s2009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4299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1880403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352.14 ▼2 22 |
085 | ▼a 352.14 ▼2 DDCK | |
090 | ▼a 352.14 ▼b 2009z11 | |
100 | 1 | ▼a 박재욱 ▼0 AUTH(211009)1873 |
245 | 1 0 | ▼a 지방정치와 동북아 도시거버넌스 : ▼b 부산·오사카·상하이의 비교사례연구 / ▼d 박재욱 |
246 | 3 0 | ▼a 동북아 도시거버넌스 |
260 | ▼a 파주 : ▼b 집문당, ▼c 2009 | |
300 | ▼a 231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제282집 |
504 | ▼a 참고문헌(p. 207-224)과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115679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115746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51296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115679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115746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2.14 2009z11 | 등록번호 151296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동북아 3개국의 제2도시이자 주요 항만도시인 부산, 오사카, 상하이 간의 비교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거버넌스의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세 도시들은 90년대 전반에 걸쳐 도시성장의 위기에 봉착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성장을 위한 지역혁신전략과 도시거버넌스 구축을 모색해 왔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은 이들 세 도시들이 보여준 경제적 위기상황의 극복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거버넌스의 특징에서 드러나는 차이점에 맞춰지고 있다.
우선, 부산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이라는 위로부터의 개혁에 대응하여 전략산업 발전과 주체 간 파트너십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시도하고 있으며, 민관?정부 간 거버넌스가 제도화되는 단계이기는 하지만, 협력문화 구축을 위한 충분한 학습기회가 요구된다. 오사카의 경우, 활발한 민관협력에 의한 아래로부터의 도시거버넌스 구축이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요컨대, 아래로부터, 주체 상호 간, 그리고 보다 광역적인 거버넌스의 구축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상하이의 도시거버넌스는 지방정부가 도시발전의 주도자로서 이른바 기업가적 도시거버넌스 또는 성장연합적 지향성이 매우 강한 거버넌스의 특징을 보여준다. 즉, 위로부터 추진되는 폐쇄적 거버넌스로 평가된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1장 서론:이론적 논의 1. 도시의 권력구조와 거버넌스: 이론모형의 한국적 적실성 탐색 = 15 1) 정치과정론적 이론 모형 = 19 2) 한국사례연구의 동향과 이론적용의 가능성 = 41 3) 평가와 과제 = 61 2. 도시발전전략의 새로운 모델 = 63 1) 이론적 논의와 유형 = 66 2) 지방정부주도형 발전전략 = 71 3) 민관파트너십형 발전전략 = 80 4) 시민주도형 발전전략 = 90 5) 정리와 시사점 = 94 3. 연구대상과 분석틀 = 95 1) 문제제기와 연구대상의 특성 = 95 2) 이론적 의의와 비교의 틀 = 99 제2장 부산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1. 도시성장의 위기와 혁신전략의 도출 = 111 1) 도시성장의 위기와 중앙 - 지방관계의 변화: 국가균형 발전정책과 산업 재구조화 = 111 2) 도시혁신 전략의 목표와 특성: 도시기본계획과 3대 권역별 개발계획 = 113 2. 도시혁신의 정책수단과 혁신 성과 = 115 1) 공간촉진 전략: 부산신항 개발사업과 경제자유구역사업(MEGA - PORT 전략) = 115 2) 산업발전 전략: 10대 전략사업과 3대 클러스터 = 118 3) 세계도시 전략: 기반시설 프로젝트와 외자유치전략 = 121 3. 도시거버넌스의 발전과 특성:민관거버넌스와 정부 간 거버넌스 = 122 4. 평가와 전망 = 125 제3장 일본 오사카 대도시권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1. 도시성장의 위기와 혁신전략의 수립 = 129 1) 도시성장의 위기와 도시혁신 전략의 필요성 = 129 2) 도시혁신 전략의 목표와 특징: 대도시권 자립화 전략과 간사이재생플랜 = 132 2. 도시혁신의 정책수단과 혁신 성과 = 135 1) 공간촉진 전략: 초광역 개발프로젝트와 네트워크 파트너십 = 135 2) 산업발전 전략: 4대 전략산업과 산업클러스터 = 137 3) 세계도시 전략: '테크노포트 오사카계획'과 '국제집객(集客) 도시계획' = 141 3. 도시거버넌스의 특성과 발전 조건 = 143 1) 거버넌스의 특성: 민관거버넌스와 광역거버넌스 = 143 2) 상호협력적 거버넌스의 발전 조건 = 146 4. 평가와 전망 = 148 제4장 중국 상하이의 도시혁신과 거버넌스 1. 도시성장의 위기와 혁신전략의 수립: 개혁개방에서 10ㆍ5 계획 수립까지 = 153 2. 도시혁신의 정책수단과 혁신 성과 = 157 1) 공간촉진 정책의 성과와 한계 = 157 2) 산업발전 전략: 시장개입 정책의 성과와 한계 = 162 3) 10ㆍ5 계획과 세계도시 전략: 글로벌 상하이의 두 번째 도래? = 166 3. 도시거버넌스의 특성과 발전 조건: 발전적 성장연합의 등장과 기업가적 도시 = 173 4. 평가와 전망 = 179 제5장 결론:동북아 도시의 성장전략과 거버넌스 비교 1. 도시성장의 위기와 혁신전략의 도출 = 185 2. 도시혁신의 정책수단과 혁신 성과 = 190 3. 도시거버넌스의 발전과 특성 = 201 4. 시사점 = 204 참고문헌 = 207 찾아보기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