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인의 유토피아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서신혜 徐信惠
서명 / 저자사항
조선인의 유토피아 / 서신혜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문학동네 ,   2010.  
형태사항
144 p., 도판[4]장 : 삽도 ; 19 cm.
총서사항
키워드 한국문화 ; 05
기타표제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꿈꾼 세계
ISBN
9788954609951 9788954609906(세트)
서지주기
서지적 주 및 참고문헌 수록
000 00757camccc200253 k 4500
001 000045574656
005 20100805045434
007 ta
008 100107s2010 ggkaf b 000c kor
020 ▼a 9788954609951 ▼g 04900: ▼c \8,800
020 1 ▼a 9788954609906(세트)
035 ▼a (KERIS)BIB000011894764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d 244002
082 0 4 ▼a 335.0209519 ▼2 22
090 ▼a 335.02 ▼b 2010
100 1 ▼a 서신혜 ▼g 徐信惠 ▼0 AUTH(211009)3387
245 1 0 ▼a 조선인의 유토피아 / ▼d 서신혜 지음.
246 0 3 ▼a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꿈꾼 세계
260 ▼a 파주 : ▼b 문학동네 , ▼c 2010.
300 ▼a 144 p., 도판[4]장 : ▼b 삽도 ; ▼c 19 cm.
440 0 0 ▼a 키워드 한국문화 ; ▼v 05
504 ▼a 서지적 주 및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115670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115687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912022606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51286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512866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115670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115687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912022606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51286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02 2010 등록번호 1512866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옛사람들이 꿈꾼 세상, 그들이 살고 싶어한 세상을 안견의 몽유도원도 등 이상향을 묘사한 그림을 통해 재구성했다. 억압이 없는 무위의 통치, 누구나 땀 흘려 일해 먹고 사는 세상을 바랐던 옛사람들의 꿈을 되짚었다.

그러나 옛사람들이 꿈꾼 세상은 별다를 것이 없었다. 옛사람들은 한유의 「제도원도시」에 그려진 무릉도원을 이상향이라 여겼고, 이는 곧 노자의 무위무치 사상과 연결된다. 여기서 ‘무위’라 함은,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억압과 수탈 같은 부정적인 통치가 없다는 뜻이다. 곧, 학정이 없으며, 누구나 땀 흘려 열심히 일해서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세상이면 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꿈속에 본, 꿈에서라도 가고 싶은 그곳!
안평대군이 꿈에 본 도원을 그린 <몽유도원도>와 옛사람들이 꿈꾼 이상세계


옛사람들이 꿈꾼 세상, 그들이 살고 싶어한 세상을 안견의 <몽유도원도> 등 이상향을 묘사한 그림을 통해 재구성했다. 억압이 없는 무위의 통치, 누구나 땀 흘려 일해 먹고 사는 세상을 바랐던 옛사람들의 꿈을 되짚었다.


◆ 안평대군이 꿈꾼 <몽유도원도>에서 옛사람들의 이상향을 읽다
이 책은 <몽유도원도>에서 시작한다. 안평대군이 꿈에 본 이상향을 그린 <몽유도원도>에서 시작해 옛사람들의 이상향을 읽어내려가는 것이다. 안평대군은 꿈속에서 복숭아꽃 무성한 무릉도원을 보았고, 안견으로 하여금 그때 본 풍경을 그림으로 그리게 한다. 지난해, 일본에서 잠시 빌려와 <몽유도원도>를 전시했을 때, 열흘을 조금 넘는 전시 기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발걸음이 이어졌고, 사람들은 세 시간을 넘게 기다린 끝에 <몽유도원도>를 볼 수 있었다.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 사람들이 <몽유도원도>에 열광하는 것은 어쩌면 그 그림이 꿈속에 그린 꿈같은 세상을 담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그러나 <몽유도원도>에 담긴 이상향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 조선인의 유토피아, 잘 먹고 잘 사는 세상
옛사람들이 꿈꾼 세상은, 그러나 별다를 것이 없었다. 옛사람들은 한유의 「제도원도시」에 그려진 무릉도원을 이상향이라 여겼고, 이는 곧 노자의 무위무치 사상과 연결된다. 여기서 ‘무위’라 함은,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억압과 수탈 같은 부정적인 통치가 없다는 뜻이다. 곧, 학정이 없으며, 누구나 땀 흘려 열심히 일해서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세상이면 족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옛사람들에게는 그조차도 이루기 힘들어 보이는 꿈속의 일처럼 아득했을 뿐이다.

◆ 지상에 건설된 낙원, 판미동―그리고 우리는 어떤 세상을 꿈꾸는가?
저자는 이 책에서 특별한 고사 하나를 소개한다. 1674년 오늘날 경기도 가평군 하면의 능재말고개에 건설된 판미동 고사가 그것이다. 신석은 판미동에 자리를 잡아 실제로 이상향을 건설했고, 마을은 100여 년 동안 유지됐다. 비록 영원하지는 못했지만, 누군가가 이상향을 실현해보려고 시도했다는 점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 우리는 어떤 세상을 꿈꾸는가? 옛사람들이 꿈꿨던, 누구나 땀 흘려 일해 배불리 먹는 세상은 과연 모두에게 도래한 것인가? 우리가 꿈꾸는 세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일을 해야 할 것인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서신혜(지은이)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치고 백과사전식 한문 소설인 『삼한습유』로 문학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이후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 과정을 하고 목사안수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연구소 전임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앙활동 이력으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4년간 매주 신우회 예배를 인도하고, 한양대 부임 후 화음교회(용인) 협동목사로 5년간 청년들을 지도했다. 다수의 전공 서적을 집필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고전 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책을 썼다. 대표작으로 『열정, 명인과 딴따라를 가르는 한 끗』, 『조선의 승부사들』, 『조선인의 유토피아』, 『오천년 역사 묘향에 오르다』, 『나를 갈고 닦는 예절: 동자례』, 『나라가 버린 사람들』, 『옛사람들에게 묻는 부자의 길, 전도(錢道)』, 『한국 전통의 돈의 문학사, 나눔의 문화사』 등이 있다. 교회사도 깊이 연구하여 『구비문학으로 읽는 한국인의 종교성』, 『개화기 한글 번역 성경의 사회문화사』, 『김교신과 유영모의 생애와 민족사랑』 등의 책을 몇 분과 함께 썼다. 번역서로는 『만고기담』, 『성교리증』, 『덕혜입문』 등이 나왔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6
1 안평대군이 꿈꾼 세계〈몽유도원도〉 = 9
2 옛사람들이 그린 이상향의 모태, 도연명의「도화원기」 = 35
3 이상향, 그 다양한 이름들 = 49
4 바라는 세계, 그 구체적 메커니즘 = 73
 별세계는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있을까
 먹고사는 방식
 문명의 이로운 기계라는 것은
 우리가 세상을 떠난 이유
 개똥밭에 굴러도 오래 살고 싶다
 비밀로 해주시오
5 실제로 새 세상을 건설한 사람들 = 117
6 꿈꾼 데에서 나아가 = 133
주 = 145
참고문헌 = 149
키워드 속 키워드
 1 한유(韓愈)의「제도원도시(題桃源圖詩)」 = 27
 2 안평대군의 꿈에 동행한 사람들, 역사 속 그들의 실체 = 30
 3〈몽유도원도〉뒤에 붙인 당대 최고 문인의 찬문들 = 33
 4 이상향의 또다른 이름들은 어떤 이야기에 나오나? = 71
 5 허생이 꿈꾼 유토피아 = 11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