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06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573607 | |
005 | 20101214104529 | |
007 | ta | |
008 | 100115s2010 ulka 001c kor | |
020 | ▼a 9788901105321 ▼g 13590 | |
035 | ▼a (KERIS)REW000000077358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641.56743 ▼2 22 |
085 | ▼a 641.5674 ▼2 DDCK | |
090 | ▼a 641.5674 ▼b 2010 | |
100 | 0 | ▼a 대안 ▼g 大安, ▼d 1960- ▼0 AUTH(211009)120243 |
245 | 2 0 | ▼a (열두 달) 절집 밥상 : ▼b 사찰음식 전문가 대안 스님의 발우공양 / ▼d 대안; ▼e [김덕창 사진] |
246 | 1 | ▼i 판권기표제: ▼a 열두 달 절집 밥상 : ▼b 사찰요리 전문가 대안스님의 발우공양 |
260 | ▼a 서울 : ▼b 웅진리빙하우스 : ▼b 웅진씽크빅, ▼c 2010 | |
300 | ▼a 279 p. : ▼b 천연색삽화 ; ▼c 27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덕창, ▼e 사진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41.5674 2010 | Accession No. 1116033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41.5674 2010 | Accession No. 1512841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41.5674 2010 | Accession No. 1116033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41.5674 2010 | Accession No. 1512841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간장, 된장, 고추장, 소금 등 네 가지 기본 양념과, 다시마와 표고버섯을 우린 국물, 콩가루, 표고버섯가루, 들깨가루, 산초가루 등만을 넣어 조물조물, 또는 끓이고 지지는 것만으로 금세 만들어 내는 사찰요리. 오히려 여러 가지 재료가 들어가지 않아 만들기도 쉬운 사찰요리의 세계가 펼쳐진다.
저자인 대안스님은 제철 재료와 이런 기본 양념으로 놀라울 정도의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낸다. 기본 밥반찬과 국물요리는 물론, 근사한 초대요리인 일품요리, 입 맛 없을 때 풀푹 끓인 밥에 곁들이면 한 그릇 뚝딱 먹어버릴 짭조름 장아찌까지... 자연 재료가 변화할 수 있는 끝을 보여 준다. 자연재료가 기본이기 때문에 사계절 나오는 재료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제철 재료를 기본으로 하여 밥반찬, 국물요리, 밑반찬, 놀라운 일품요리, 장아찌, 김치, 디저트 등으로 구성했다.
한국음식의 대표인 사찰음식. 사찰음식이 뜨고 있다.
- 오신채를 넣지 않는 심심한 음식인데 왜 이렇게 맛있는 걸까?
절밥, 사찰음식 하면 밥과 나물로만 차리는 지루한 밥상, 채식 밥상, <마늘, 파, 부추, 달래, 홍거> 五辛(오신)寀(채)를 넣지 않아 심심할 것 같은 음식을 떠올린다. 하지만 절집 밥상을 한 번이라도 마주한 분들은 모두 그 맛에 놀란다. 특별한 양념도, 희귀한 재료도, 복잡한 조리법도 없다. 그거 간단하게 무치고, 삶고, 볶고, 끓여 최대한 자연의 맛과 향이 그대로 음식 안에 담아낼 뿐인데. 절밥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이 맛있다. 맛을 표현하기도 어렵다. 그저 재료 맛이다.
배불리 먹고 나도, 뒷맛이 무겁지 않다. 건강해 질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인공적이고 자극적인 맛에 길들어 있었던 입맛을 새삼 깨닫는다. 배불리 잘 먹었지만 뒷마무리 또한 개운한 것이 절집 밥상의 무한한 매력이다.
이처럼 절집음식은, 사찰음식은 <자연과 호흡하는 기본에 충실한 음식>이다.
대중들은 사찰음식의 가치를 알고는 있었지만 그동안 실천하지 못했다. 기름기를 줄이고, 건강을 찾는 대중들은 절집음식을, 사찰음식을 우리네 식탁 위로 옮기려 한다.
제철 재료, 기본 양념만 있으면 절집 음식 척척~ 의외로 쉽다!
간장, 된장, 고추장, 소금 등 네 가지 기본 양념과, 다시마와 표고버섯을 우린 국물, 콩가루, 표고버섯가루, 들깨가루, 산초가루 등만을 넣어 조물조물, 또는 끓이고 지지는 것만으로 금세 만들어 내는 사찰요리. 오히려 여러 가지 재료가 들어가지 않아 만들기도 쉬운 사찰요리의 세계가 <열두 달 절집 밥상>안에 펼쳐진다. 이 책의 저자인 대안스님은 제철 재료와 이런 기본 양념으로 놀라울 정도의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낸다. 기본 밥반찬과 국물요리는 물론, 근사한 초대요리인 일품요리, 입 맛 없을 때 풀푹 끓인 밥에 곁들이면 한 그릇 뚝딱 먹어버릴 짭조름 장아찌까지... 자연 재료가 변화할 수 있는 끝을 보여 준다.
사찰음식은 자연재료가 기본이기 때문에 사계절 나오는 재료를 기본으로 구성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제철 재료를 기본으로 하여 밥반찬, 국물요리, 밑반찬, 놀라운 일품요리, 장아찌, 김치, 디저트 등으로 구성했다. <대안스님의 열두 달 절집 밥상>이 기존 사찰음식 요리책과의 차별화는 사찰음식으로 아이들 간식도 만들 수 있고, 소풍 때 도시락 요리도 만들 수 있고, 설상도 차릴 수 있다. 이만큼 몸에 좋은 사찰요리를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다.
‘절집음식, 사찰음식을 먹으면 건강하다. 건강음식의 대표는 사찰음식이다.’등의 부연 설명이 이제는 필요없다. 재료 간단하고, 쉽게 만들 수 있고, 먹고나면 건강해지는 사찰음식으로 일년 열두 달 우리집 밥상을 차려 보는 건 어떨까...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대안(지은이)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음식 명장. 대한불교조계종의 불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지리산 산청의 금수암 주지이자 ‘사단법인 금당전통음식연구원’ 이사장이다.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한국 중국 일본 선종사찰의 식문화비교연구』 논문으로 식품영양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30여 년간 요리 강좌와 방송 매체, 책을 통해 대중에게 꾸준히 전통적ㆍ현대적 사찰음식을 알려왔다.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이 사찰음식 대중화를 위해 문 연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의 총책임자로 영입되어, 다양한 음식을 연구하고 메뉴를 개발해 채식의 이로움을 널리 알렸다. 이후로는 전 세계에 사찰음식을 알리기 위해 부단한 행보를 거치면서 여러 국제 행사에 한국의 사찰음식을 소개했다. 뉴욕 CIA 국제요리학교에서의 ‘한국 사찰음식 특강’, 독일 ITB 박람회의 사찰음식 시연ㆍ시식회,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의 ‘한국 불교와의 만남’에서의 상차림 등은 한국이 지닌 전통적 채소 음식을 재조명하고 뜨거운 관심을 부르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세계화의 노력으로 인해 해외 저명인과 유명 셰프가 지리산 금수암을 찾아 템플스테이를 경험하며 전통 조리법과 사찰음식의 원형을 배워가기도 했다. 2020년 현재 채식 요리와 관련한 활동을 폭넓게 전개하고 있으며, 금수암과 평창동 금아재에서 사찰음식을 가르치며 자연밥상으로 대중과 소통한다. 저서로는 『마음의 살까지 빼주는 사찰음식 다이어트』 『식탁 위의 명상』 『열두 달 절집밥상』 『대안스님의 마음 설레는 레시피』 『열두 달 절집밥상 2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글 = 4 기초편 맛내기 = 14 식재료별 효능 = 274 찾아보기 = 278 봄 3월의 절집 밥상 냉이밥 = 24 쑥경단콩국 = 26 삼동초물김치 = 28 찔레순장아찌 = 29 매운표고버섯탕수 = 30 머위무침 = 32 연근간장조림 = 32 곰피채소말이 = 34 4월의 절집 밥상 완두콩밥 = 38 취나물토장국 = 39 유부주머니조림 = 40 고수겉절이 = 42 진달래화전 = 43 콩나물잡채 = 44 민들레장아찌 = 46 미나리강회 = 47 5월의 절집 밥상 점박이콩밥 = 50 머위간장장아찌 = 51 생고사리감자찌개 = 52 비름나물 = 54 가죽겉절이 = 55 도라지샐러드 = 56 호두조림 = 58 가죽전 = 59 여름 6월의 절집 밥상 보리밥 = 68 된장찌개 = 68 양배추말이찜 = 70 제피장떡 = 72 죽순장아찌 = 73 총각김치 = 74 상추겉절이 = 76 가지구이 = 77 7월의 절집 밥상 통죽순밥 = 80 호박잎들깻국 = 82 죽순전 = 83 애호박찜 = 84 콩잎장아찌 = 86 익힌열무절임김치 = 87 머위대장아찌 = 88 고추무침 = 89 8월의 절집 밥상 연잎밥 = 92 깻잎조림 = 94 얼갈이배추김치 = 95 즉석오이장아찌 = 96 꽈리고추찜무침 = 97 채계장 = 98 감자전 = 100 호박정과 = 101 곁들이 아침죽 송연죽 = 60 송이버섯죽 = 61 능이버섯죽 = 61 잣죽 = 62 채소죽 = 63 갱죽 = 63 설날상 삼색나물 = 167 단풍취장아찌 = 168 녹두전 = 169 떡만둣국 = 170 가을 9월의 절집 밥상 동부콩밥 = 106 새송이버섯뭇국 = 107 백년초열매당절임 = 108 가죽장아찌 = 109 더덕잣소스구이 = 110 깍두기 = 112 파래무침 = 113 버섯초회 = 114 10월의 절집 밥상 수수찰밥 = 118 미나리초회 = 119 이색토란탕 = 120 무전과 배추전 = 122 야생잎부각 = 123 버섯편육 = 124 호박김치 = 126 산초장아찌 = 127 11월의 절집 밥상 = 128 조밥 = 130 우엉탕 = 130 고추부각 = 132 가사리무침 = 133 보쌈김치 = 134 연근삼색찜 = 136 표고버섯간장부침 = 138 무말랭이장아찌 = 139 겨울 12월의 절집 밥상 흰밥 = 144 갓김치 = 144 시래기전골 = 146 도라지무침 = 148 더덕장아찌 = 149 잡채 = 150 우엉조림 = 152 삼색전 = 153 1월의 절집 밥상 오곡밥 = 156 고추장아찌 = 157 버섯들깨찜 = 158 다래순나물 = 160 고사리나물 = 160 취나물 = 160 버섯산적 = 162 김장김치 = 164 2월의 절집 밥상 시래기밥 = 174 고들빼기김치 = 176 두부장아찌 = 177 콩나물모재비국 = 178 방풍나물겉절이 = 180 봄동겉절이 = 181 은행조림 = 182 특별요리 손님초대요리 애호박편수 = 187 삼색감자찜 = 188 된장소스마튀김 = 190 산야초초밥 = 192 수삼찹쌀구이 = 194 더덕샐러드 = 195 마른도토리묵전골 = 196 두릅전병 = 198 능이버섯감자옹심이 = 200 버섯칠보채 = 202 가족 일품요리 냉이떡국 = 205 산야초누룽지탕 = 206 봄나물비빔국수 = 208 김치메밀전병 = 209 만두 = 210 검은콩전과 쌈채소 = 212 쑥초밥 = 214 두부선 = 215 녹차칼국수 = 216 얼큰떡찜 = 218 비빔냉면 = 220 소풍 도시락요리 과일떡 = 223 절집 김밥 = 224 도라지초밥꼬치구이 = 226 라이스버거 = 227 두부소박이튀김 = 228 모시떡 = 230 취나물주먹밥 = 232 함지쌈 = 234 밤샌드위치 = 235 오이초밥 = 236 어린이 간식 단감찐빵 = 239 고구마볼구이 = 240 연근칩과 우엉칩 = 242 당근케이크 = 243 완두콩가스 = 244 절집피자 = 246 버섯강정 = 248 냉이밥구이 = 249 단호박스파게티 = 250 고구마잡채김말이튀김 = 252 채식자장면 = 254 차가 있는 다과상 다식 = 257 구기자차 = 258 연꽃떡 = 258 산초차 = 260 금귤정과 = 260 겨우살이차 = 262 매작과 = 262 감국차 = 264 대추초 = 264 매화차 = 266 검은깨강정 = 266 녹차 = 268 찹쌀강정 = 268 냉이차 = 270 호두곶감말이 = 270 머위차 = 272 검은깨유과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