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면역학 개념 및 이해
1. 신체방어 : 질병에 대한 저항 = 15
1) 일차방어선 = 15
2) 자연면역 = 17
3) 획득면역 = 17
2. 질병과 관련된 인자 = 20
1) 연령 = 20
2) 영양 = 20
3) 면역에 있어서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의 역할 = 23
4) 면역에 있어서 비타민과 무기질의 역할 = 23
5) 뇌와 면역계통의 관계 = 24
Chapter 2. 항원 및 항체
1. 항원의 특성 = 29
1) 일반적 특성 = 29
2) 조직적합성 항원 = 29
3) 자가항원 = 29
4) 혈액형 항원 = 29
2. 항원의 화학적 특성 = 30
3. 항원의 물리적 특성 = 30
1) 이질성 = 30
2) 분해성 = 30
3) 분자량 = 30
4) 구조적 안정성 = 30
5) 복잡성 = 30
4. 항체의 특성 = 30
5. 면역글로불린 클라스 = 31
1) IgG = 32
2) IgM = 33
3) IgA = 33
4) IgD = 34
5) IgE = 34
6. 항체구조 = 34
1)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형태 = 34
2) Fab, Fc 및 경첩영역 = 35
3) 기타 면역글로불린의 구조 = 37
7. 면역글로불린 변종 = 39
1) 아이소타입 결정기 = 39
2) 알로타입 결정기 = 40
3) 이디오타입 결정기 = 40
8. 항체 합성 = 41
1) 일차 면역반응 = 41
2) 이차 면역반응 = 41
9. 항체의 기능 = 42
10. 항원ㆍ항체 반응과 면역 결합체 = 42
11. 항체 특이성과 교차반응 = 42
1) 결합력 = 43
2) 면역 결합체 = 43
12. 항원ㆍ항체 반응의 분자적 기초 = 43
1) 결합 형태 = 44
2) 특이성 = 44
3) 항원ㆍ항체 반응의 검출 = 44
4) 항체 형태가 응집반응에 미치는 효과 = 45
13. 단클론 항체 = 45
1) 기술개발 = 45
2) 단클론 항체 생산 = 46
3) 단클론 항체의 용도 = 47
Chapter 3. 면역계통의 수용성 매개인자
1. 보체계 = 51
1) 보체활성화 = 51
2) 보체수용체 = 53
3) 보체활성화의 효과 = 53
2. 고전경로 = 54
1) Cl 복합체의 결합 = 54
2) Clqrs 복합체에 의한 C4의 결합 및 활성화 = 54
3) C4b2a 복합체의 C3에 대한 작용 = 55
4) C3b의 C5에 대한 작용 = 55
5) C5~C9 막 상해 복합체 = 55
3. 부경로 = 55
4. 렉틴 경로 = 56
5. 보체의 생물학적 기능 = 56
1) 보체 수준의 변화 = 57
6. 검사법 = 60
1) 보체측정 = 60
7.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기타 수용성 매개인자 = 61
1) 싸이토카인 = 61
2) 인터루킨 = 65
3) 인터페론 = 68
4) 종양괴사인자 = 69
8. 조혈자극인자 = 70
1) 줄기세포인자 = 70
2) 집락자극인자 = 70
3) 변형성장인자-β = 70
4) 케모카인 = 71
5) 싸이토카인 측정 = 71
9. 급성기 단백질 = 71
1) 개요 = 71
2) 급성기 단백질의 합성과 분해 = 72
3) CRP = 73
10. 기타 급성 반응물질의 중요성 = 74
11. 급성기 반응물질 측정법 = 74
12. CRP 라텍스 신속 응집법 = 74
1) 원리 = 74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74
3) 시약, 장비 및 소모품 = 75
4) 정도관리 = 75
5) 검사방법 = 75
6) 검사과정 중 주요사항 = 76
Chapter4. 면역 혈청 실험실내 안전
1. 안전수칙 = 81
2. 혈액 및 체액에 관한 주의사항 = 81
3. 직업과 관련된 HBV 및 HIV의 전파 = 81
4. 감염 예방 = 83
1) 장갑 = 83
2) 실험 중 장갑 착용 = 84
3) 안면 보호 및 반창고 = 84
4) 실험복 및 가운 = 84
5) 안전수칙 = 84
6) 주의사항 준수 = 86
7) 노출사고의 예방 및 기록 = 86
5. 위험물질 및 폐기물 취급 = 87
1) 전염성 폐기물 = 87
2) 화학적 폐기물 = 87
3) 방사성 폐기물 = 88
6. 기본적인 혈청학 실험 절차 = 88
1) 실험지침서 = 88
2) 검사 정밀성 = 88
3) 혈액검체 준비 = 89
4) 보체 불활화 = 89
5) 피펫 = 89
7. 면역혈청학 검사원리 = 89
Chapter 5. 항원 - 항체반응
1. 검사재료와 춰급법 = 93
1) 검체 채취시기 = 93
2) 혈청 분리와 보존 = 93
3) 뇌척수액의 채취와 보존 = 95
4) 소변의 취급과 보존 = 95
5) 타액의 채취와 취급 = 95
6) 환자 적혈구와 조제법 = 95
7) 관절액, 흉, 복수 기타 = 95
8) 림프구 분리법 = 96
9) 시약의 취급 = 96
10) 적혈구의 취급 = 96
11) 보체의 취급 = 97
2. 항원항체반응의 원리 = 97
1) 항원항체반응의 정의 = 97
2) 항원항체반응의 분류 = 97
3) 항원항체반응의 특이성 = 97
4) 근친반응 = 93
5) 교차반응 = 98
6) 항원항체반응에 관여하는 면역 globulin = 98
7) 항원항체반응의 속도 = 98
8) 항원항체반응에 영향인자 = 99
9) 항원항체반응의 감도 = 99
10) 항원항체반응에서 각 인자의 양적 관계 = 99
11) 항원항체의 결합상태 = 101
3. 적혈구 응집반응 = 101
1) 응집반응의 개요 = 101
2) 응집반응의 기전 : 2단계 = 101
3) 응집반응 영향인자 = 102
4) 응집반응의 종류 = 103
5) 응집반응 실시법 = 105
6) 한냉 응집반응 = 106
7) Paul-Bunnell반응 = 106
4. 세균응집반응 = 108
1) 장내세균과의 중요항원 = 108
2) Shigella속 = 108
3) 대장균속 = 109
4) Salmonella = 110
5) Rickettsia증의 혈청학적 진단 = 112
5. 간접 응집반응 = 113
1) RA시험 = 113
2) Waaler-Rose반응 = 113
6. 응집억제반응 = 114
1) 적혈구 응집억제반응 = 114
2) 면역학적 임신반응 = 115
3) 간접 적혈구 응집억제반응 = 115
4) Latex 응집억제반응 = 116
5) Latex직접 응집반응 = 116
7. 침강반응 = 117
1) 침강반응의 개요 = 117
2) 침강반응의 기전 = 117
3) 침강반응의 종류 = 117
4) 침강반응의 응용 = 117
5) C-반응성 단백시험 = 118
6) 평판내 면역확산법 = 118
7) 면역전기영동법 = 119
8) 단순방사 면역확산법 = 120
8. 독소중화반응 = 121
1) 항 Streptolysin 0가 = 121
2) Rantz-Randall법 = 121
3) 항 hyaluronidase가 = 123
9. 표식항체법 = 123
1) 형광항체법 = 123
2) 효소면역측정법 = 126
Chapter 6. 전염성 질병의 면역반응
1. 전염성 질병의 특징 = 131
2. 전염성 질병의 발병 = 131
3. 전염성 질병의 면역 = 131
1) 세균성 질병 = 131
2) 기생충 질병 = 131
3) 진균성 질병 = 132
4) 바이러스, 리켓챠, 마이코플라스마 질병 = 135
4 면역반응의 확인 = 138
Chapter 7. 연쇄상구균 감염증
1. 병인 = 141
1) 형태학적 특성 = 141
2) 세포외 산물 = 142
2. 역학 = 142
3. 증상 = 143
1) 상부호흡기 감염증 = 143
2) 농가진 및 봉와염 = 143
3) 성홍열 = 143
4) S. pyogenes 감염의 합병증 = 144
4. 면역적 소견 = 144
5. 진단법 = 144
6. 연쇄상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 = 145
1) 병인 = 145
2) 면역학적 기전 = 145
3) 역학 = 146
4) 증상 = 146
5) 검사결과 자료 = 146
6) 치료 = 146
7. B형 연쇄상구균 질환 = 146
8. ASO-latex 응집법 = 147
1) 원리 = 147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147
3) 시약, 소모품, 장비 = 147
4) 정도관리 = 147
5) 일차 선별검사 절차 = 148
6) 결과보고 = 148
7) 오진원인 = 148
8) 임상적용 = 148
9) 제한사항 = 148
9. A형 연쇄상구균 항원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광학면역측정법 = 148
1) 원리 = 148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149
3) 시약. 소모품, 장비 = 149
4) 정도 관리 = 149
5) 검사과정 = 149
6) 결과 보고 = 150
7) 특징 = 150
8) 임상적용 = 150
9) 제한사항 = 150
Chapter 8. 매독
1. 병인 = 153
2. 역학 = 153
3. 증상 = 154
1) 1기 매독 = 154
2) 2기 매독 = 155
3) 잠복 매독 = 155
4) 3기 매독 = 156
5) 선천성 매독 = 156
4. 면역적 소견 = 156
5. 진단법 = 157
1) 암시야 현미경 = 157
2) 비-treponema법 = 157
3) Treponema법 = 157
4) 혈청학적 매독 검사법의 민감도 = 158
6. 매독의 혈청학 = 158
1) 정성 VDRL 슬라이드 검사법 = 158
2) VDRL 슬라이드 정량검사법 = 160
3) VDRL 정성검사법 뇌척수액 = 161
4) VDRL 정량검사법 뇌척수액 = 162
5) RPR 카드 검사법 = 162
6) FTA-ABS 검사법 = 165
Chapter 9. 진드기 관련 질병
1 . 라임병 = 173
1) 병인 = 173
2) 역학 = 174
3) 증상 = 174
4) 진단법 평가 = 177
5) 치료 및 예방 = 180
2. 인간 에를리히증 = 181
1) 병인 = 181
2) 역학 = 181
3) 증상 = 181
4) 진단법 = 182
5) 치료 및 예방 = 182
3. 바베스열 원충증 = 182
1) 병인 = 182
2) 역학 = 183
3) 증상 = 183
4) 진단법 = 183
5) 치료 및 예방 = 184
Chapter 10. 톡소플라스마증
1. 병인 = 187
2. 역학 = 187
3. 증상 = 188
1) 후천성 감염 = 188
2) 선천성 감염 = 189
4. 면역적 소견 = 189
5. 진단법 = 159
6. T.gondii에 대한 IgM 항체 정량측정법 = 190
1) 원리 = 190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190
3) 시약 = 190
4) 소요장비 및 용품 = 191
5) 정도관리 = 191
6) 방법 = 191
7) 임상적용 = 192
8) 제한사항 = 192
Chapter 11. 싸이토메갈로 바이러스
1. 병인 = 195
2. 역학 = 196
1) 후천성 감염 = 196
2) 잠복감염 = 196
3) 선천성 감염 = 197
3. 증상 = 197
1) 후천성 감염 = 197
2) 선천성 감염 = 198
4. 진단 = 199
1) 면역계통의 변화 = 199
2) 혈청학적 지표 = 199
5. 진단법 평가 = 200
6. 혈청 중 CMV 항체 검출용 수동라텍스응집법 = 201
1) 원리 = 201
2) 검체 수집 및 준비사항 = 201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202
4) 기타 장비 및 소모품 = 202
5) 정도관리 = 203
6) 검사법 = 203
7) 임상적용 = 204
8) 제한사항 = 204
7. 혈청 중 CMV IgM 항체 정량검사법 = 205
1) 원리 = 205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05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205
4) 장비 및 기타 기기 = 206
5) 정도관리 = 206
6) 방법 = 206
7)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 207
8) 흡광 광도기 = 207
9) 계산 = 207
10) 흡광 광도계로 측정한 흡광도 = 207
11) 결과보고 = 207
12) 오진원인 = 207
13) 임상적용 = 208
14) 제한사항 = 208
15) 치료 = 208
Chapter 12. 전염성 단핵구증
1. 병인 = 211
2. 역학 = 211
3. 증상 = 212
4. 면역적 소견 = 212
1) 이호성항체 = 212
2) 혈청학 = 212
3) 검사법 = 214
4) 진단평가 = 214
5. Paul-Bunnell 일차 선별 검사법 = 215
1) 원리 = 215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15
3) 시약, 소모품, 장비 = 215
4) 정도관리 = 215
5) 검사방법 = 215
6) 결과보고 = 216
7) 오진원인 = 216
8) 임상적용 = 216
9) 제한사항 = 216
6. Dovidsohn 감별시험 = 216
1) 원리 = 216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16
3) 시약, 소모품, 장비 = 216
4) 정도관리 = 217
5) 검사방법 = 217
6) 결과보고 = 217
7) 오진원인 = 217
8) 임상적용 = 217
9) 제한사항 = 217
7. Mono Slide Test = 217
1) 원리 = 217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18
3) 시약, 소모품, 장비 = 218
4) 기타 필요장비 = 218
5) 정도관리 = 218
6) 검사방법 = 218
7) 오진원인 = 219
8) 임상적용 = 219
9) 제한사항 = 219
Chapter 13. 바이러스성 간염
1. 일반적인 간염의 특성 = 223
1) 병인 = 223
2) 역학 = 223
3) 증상 = 223
2. A형 간염 = 223
1) 병인 = 223
2) 증상 = 224
3) 진단 및 검사 = 224
4) 치료 = 224
5) 경과/합병증 = 224
6) 예방 = 225
3. B형 간염 = 225
1) 역학 = 225
2) 역학 = 225
3) 증상 = 226
4) 면역적 진단법 = 227
5) 진단법 = 229
6) 급성 간염, 만성 간염, 보균상태 등의 감별 = 229
7) 예방 및 치료 = 231
4. C형 간염 = 232
1) 병인 = 232
2) 바이러스 특성 = 232
3) 역학 = 232
4) HCV 전파 = 233
5) 증상 = 235
6) 검사법 = 235
7) 급성 C형 간염 = 237
8) 만성 C형 간염 = 237
9) 치료 및 예방 = 237
5. D형 간염 = 239
1) 병인 = 239
2) 증상 = 239
3) 진단 및 검사 = 239
4) 치료 = 239
5) 경과/합병증 = 240
6) 예방 = 240
6. E형 간염 = 240
1) 역학 = 240
2) 증상 = 240
3) 면역 증상 = 240
4) 진단평가 = 240
5) 예방 및 치료 = 240
Chapter 14. 풍진
1. 병인 = 243
2. 역학 = 243
3. 증상 = 244
1) 후천성 감염 = 244
2) 선천성 감염 = 244
4. 면역적 발현 = 245
1) 후천성 감염 = 245
2) 선천성 풍진증후군 = 246
5. 검사법 평가 = 246
1) 혈구응집억제법 = 246
2) 기타 방법 = 247
6. 수동라텍스응집법 = 247
1) 원리 = 247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48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248
4) 정도관리 = 249
5) 정성 검사방법 = 249
6) 결과보고 = 249
7) 임상적용 = 250
8) 제한사항 = 250
7. 풍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반정량검사법 = 250
1) 원리 = 250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250
3) 시약, 소모품, 장비 = 251
4) 기타 소모품 및 장비 = 251
5) 정도관리 = 251
6) 검사방법 = 251
7) 계산 = 252
8) 결과보고 = 252
9) 임상적용 = 252
10) 제한사항 = 252
Chapter 15.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
1. 병인 = 255
1) 개념 = 255
2) 바이러스 특징 = 255
2. 역학 = 258
1) 발병 빈도 = 258
2) 분류체계 = 258
3) 감염형태 = 259
4) 전파경로 = 260
3. 증상 = 261
1) 기회감염 = 261
2) 진행과정 = 262
4. 면역적 소견 = 263
1) 세포 이상 = 263
2) 면역계통의 변화 = 264
3) 혈청학적 지표 = 264
5. 진단법 = 265
6. 검사법 = 266
1) HIV-1 항체 = 266
2) HIV 항원 및 지놈검사법 = 267
3) 면역형광 측정법 = 268
7. 예방 및 치료 = 268
1) 예방 = 268
2) 치료 = 269
Chapter 16. 과민반응
1. Ⅰ형 과민반응 = 275
1) 병인 = 275
2) 면역 활성 = 275
3) 증상 = 276
4) 진단법 = 276
2. Ⅱ법 과민반응 = 277
1) 수혈반응 = 277
2) 신생아의 용혈성 질병 = 279
3) 진단법 = 281
4) 예방 = 281
3. Ⅲ형 과민반응 = 281
4. Ⅳ형 세포매개 과민반응 = 282
Chapter 17. 자가면역질환
1. 자가면역의 특징 = 287
2. 자가면역질환의 범위 = 287
3. 자가면역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9
1) 유전적 요인 = 289
2) 연령 = 289
3) 외부요인 = 289
4. 면역발병기전 = 289
1) 면역 발병의 개요 = 289
2) T세포 = 290
3) B세포 = 291
4) 대식세포 = 291
5. 자기인식 = 291
6. 주요 자가항체 = 291
7. 기관-특이 및 자가질환 = 294
1) 심혈관 이상 = 294
2) 콜라겐-혈관 이상 = 295
3) 내분비선 이상 = 296
4) 생식 이상 = 299
5) 외분비선 이상 = 300
6) 위장관 이상 = 301
7) 자가면역혈액질환 = 303
8) 근육 신경이상 = 306
9) 신장이상 = 309
10) 골격 근육 이상 = 310
11) 피부이상 = 311
Chapter 18. 전신홍반낭창
1. 낭창의 종류 = 315
2. 병인 = 315
1) 호르몬 영향 = 315
2) 유전적 성향 = 315
3) 환경요인 = 316
4) 약물 유도 낭창 = 316
3. 역학 = 317
4. 증상 = 317
1) 피부특징 = 319
2) 신장특징 = 320
3) 림프절병증 = 320
4) 전신 홍반낭창의 장막염 = 320
5) 심폐특징 = 320
6) 위장관 증상 = 321
7) 근골격 특징 = 321
8) 신경정신 특징 = 321
9) 임신에 대한 효과 = 321
10) 후기-발병낭창 = 321
5. 면역적 소견 = 321
1) 세포적 측면 = 322
2) 체액성 측면 = 322
3) 면역적 결과 = 323
6. 진단법 = 323
1) 조직학적 변화 = 323
2) 혈액학적 증상 = 323
3) 혈청학적 증상 = 324
4) 항 핵 항체의 진단법 = 326
7. 치료 = 328
8. 항 핵 항체검사법 = 329
1) 원리 = 329
2) 검체 채취 및 준비 = 329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329
4) 정도관리 = 330
5) 방법 = 330
6) 결과보고 = 331
7) 임상적용 = 332
8) 제한사항 = 333
9. 항핵단백질에 대한 신속슬라이드 검사법 = 333
1) 원리 = 333
2) 검체 채취 및 준비 = 333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333
4) 정도관리 = 334
5) 방법 = 334
6) 반정량 검사 = 334
Chapter 19. 장기이식
1. 소개 = 337
2. 조직적합성 항원 = 337
1) 일반적 특징 = 337
2) MHC/HLA의 역할 = 338
3) HLA 응용 = 339
4) 검사법 = 340
3. 장기이식 용어 = 341
4. 장기이식의 형태 = 343
1) 신장 = 343
2) 심장판막 = 344
3) 심장 = 344
4) 각막 = 344
5) 피부 = 344
6) 간 = 344
7) 폐 = 344
8) 췌장 = 344
9) 뼈 = 345
10) 줄기세포 = 345
5. 이식편 대 숙주질병 = 345
1) 병인 = 345
2) 역학 = 345
3) 증상 = 346
4) 면역적 소견 = 346
5) 진단법 = 346
6) 예방 = 346
6. 이식편 손상요인 = 348
1) 이식편 거부형태 = 348
2) 면역관용 = 350
7. 거부기전 = 351
1) 일반적 특징 = 351
2) T세포의 역할 = 351
3) 항체효과 = 352
4) 잠재이식 수여자의 면역학적 평가 = 352
5) 면역억제 = 352
6) 면역억제지침 = 357
7) 이식 수술 후 합병증 = 358
8) 이종이식 = 359
Chapter 20. 류마티스 관절염
1. 병인 = 363
2. 역학 = 363
3. 증상 = 363
4. 관절 해부 및 생리학 = 364
5. 면역적 소견 = 365
1) 혈관외 면역 결합체 가설 = 365
2) 활막의 세포매개 손상 가설 = 365
6. 진단법 = 365
1) 류마티스 인자 = 366
2) 면역 복합체 = 366
3) 보체수준 = 366
4) 항 핵 항체 = 366
7. Felty 증후군 = 366
8. 유년기 류마티스 관절염 = 366
1) 병인 = 366
2) 증상 = 367
3) 면역적 소견 = 367
9. 치료 = 368
1)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368
2) Corticosteroid/Glucocorticoid = 368
3) 질병변형 항 류마티스약물 = 368
4) 면역억제제 및 기타 세포독성약제 = 370
5) 기타 약제 = 370
10. 라텍스 응집법 = 370
1) 원리 = 370
2) 검체 채취 및 준비사항 = 371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371
4) 정도관리 = 371
5) 검사방법 = 372
5) 오진 원인 = 373
7) 임상적용 = 373
8) 제한사항 = 373
11. IgM RF의 정량검사법 = 373
1) 원리 = 373
2) 검체 체취 및 준비사항 = 374
3) 시약, 소모품 및 장비 = 374
4) 정도관리 = 374
5) 검사방법 = 375
6) 결과해석 = 376
7) 제한사항 = 376
8) 임상적용 = 376
9) 제한사항 = 376
Chapter 21. 종양면역학
1. 개념 = 379
1) 양성종양 = 379
2) 악성종양 = 379
2. 역학 = 380
1) 성인암 = 380
2) 소아암 = 380
3. 암의 병인 = 380
1) 환경요인 = 380
2) 숙주 및 질병관련요인 = 381
3) 바이러스 = 381
4. 암발생 단계 = 382
5. 암 유발 소인의 유전자 = 382
6. Proto-Oncogenes = 383
7. 발암 유전자의 역할 = 383
1) 활성 기전 = 384
2) 바이러스성 발암 유전자 = 384
3) 종양억제 유전자 = 384
8. 암에 대한 신체 방어 = 384
1) T림프구 = 385
2) 자연 살해세포 = 385
3) 대식세포 = 385
4) 항체 = 385
9. 종양표지 = 385
1) 종양 항원의 분류 = 387
2) 특이 종양표지 = 387
3) 유방암, 난소암 및 경부암 표지 = 390
4) 방광암 = 391
10. 종양치료법 = 391
1) 화학요법제 = 391
2) 약물-유도 면역억제효과 = 393
3) 최근 경향 = 394
4) 새로운 약물요법 = 394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