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총론
제1장 간호연구의 역할 = 17
1. 간호연구의 중요성 = 17
2. 간호연구와 간호이론ㆍ교육ㆍ실무의 연계 = 20
3. 간호연구에서 간호사의 역할 = 21
제2장 간호연구의 동향 = 23
1. 간호연구의 변천과정 = 23
2. 간호연구의 미래 방향 = 27
제3장 간호연구와 윤리 = 33
1. 연구윤리 = 33
2.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기 위한 윤리적 원칙 = 38
3.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 43
4. 기타 윤리적 문제 = 50
5. 연구 윤리의 평가 = 51
제4장 양적 연구의 이해 = 55
1. 양적 연구의 특성 = 55
2. 양적 연구의 종류 = 57
3. 양적 연구의 단계 = 59
제5장 질적 연구의 이해 = 65
1. 질적 연구의 특성 = 65
2. 질적 연구의 종류 = 65
3. 질적 연구방법 = 69
Ⅱ. 간호연구과정
제6장 연구문제 = 73
1. 연구문제의 이해 = 73
2. 연구문제의 출처 = 74
3. 연구문제와 목적의 설정 = 75
4. 연구문제의 평가 = 77
5. 연구문제와 목적의 진술 = 80
제7장 문헌고찰 = 83
1. 문헌고찰의 정의 = 83
2. 문헌고찰의 목적 = 83
3. 문헌의 출처 = 85
4. 문헌 검색 전략 = 87
5. 문헌 정리 = 100
6. 문헌고찰 작성법 = 102
제8장 이론적 기틀 = 107
1. 이론적 기틀의 구성요소 = 107
2. 이론적 기틀 개발 과정 = 110
3. 실체이론으로부터의 이론적 기틀 구성 = 114
제9장 가설의 도출 = 119
1. 가설의 기본 개념 = 119
2. 가설의 개발 단계 = 123
3. 가설의 준거 = 126
4. 가설의 목적 = 128
5. 가설의 출처 = 130
6. 가설의 유형 = 130
7. 가설 검정 = 134
제10장 연구설계 = 137
1. 연구설계의 기본개념 = 137
2. 연구설계의 기본조건 = 139
3. 연구의 타당도 = 146
제11장 표본추출 = 159
1. 표본추출의 개념 = 159
2. 표본추출의 합리적 근거 = 163
3. 표본추출의 주요 절차 = 164
4. 표본추출 방법 = 168
5. 표본 추출법의 평가 = 178
6. 표본의 크기 = 179
7. 표본조사의 장단점 = 185
8. 대상자의 모집과 유지 = 186
제12장 측정 = 189
1. 간접 측정과 직접 측정 = 189
2. 측정 오차 = 190
3. 측정 수준 = 192
4. 측정의 참조 평가 = 196
5. 신뢰도 = 197
6. 타당도 = 203
7. 생리적 측정치의 신뢰도 및 타당도 = 211
8. 신뢰도와 타당도 관계 = 214
제13장 측정전략 = 217
1. 생리적 측정 = 217
2. 관찰법 = 227
3. 기존의 도구 선정 = 259
4. 측정도구 개발 = 261
5. 측정도구 번역 = 267
제14장 자료 수집 방법 = 271
1. 자료 수집 계획 = 271
2. 예비연구 = 280
3. 면접자 훈련 = 285
4. 자료 수집 수행 = 287
제15장 자료 분석 개요 = 295
1. 자료 정리 = 295
2. 통계분석 프로그램 = 302
3. 분석방법 = 302
제16장 연구결과의 해석 = 305
1. 근거 검토 = 306
2. 연구발견 = 312
3. 결론 구성 = 313
4. 발견의 유의성 탐구 = 314
5. 발견의 일반화 = 315
6. 연구의 의의 = 316
7. 추가 연구 제안 = 316
제17장 연구결과 발표 = 317
1. 연구보고서의 내용 = 318
2. 연구보고서의 독자 = 330
3. 연구결과의 발표 = 334
4. 연구결과의 출판 = 338
5. 온라인 학술지에 연구결과 발표 = 343
6. 단행본으로 연구결과 발표 = 345
7. 중복 출판/이중 게재 = 345
Ⅲ. 연구설계 종류
제18장 비실험 연구 = 349
1. 조사연구 = 349
2. 연구목적에 따른 조사연구의 분류 = 354
3. 연구 시점에 따른 분류 = 358
4. 평가 조사 = 364
5. 사례연구 = 366
6. 역사적 연구 = 369
7. 방법론적 연구 = 373
8. 2차 자료 분석 연구 = 376
9. 메타분석 연구 = 376
제19장 실험설계 = 377
1. 유사실험설계 = 377
2. 순수실험설계 = 387
제20장 중재연구 = 395
1. 간호중재란 무엇인가 = 395
2. 순수실험의 문제점 = 396
3. 중재연구 = 398
4. 중재연구의 과정 = 398
제21장 성과연구 = 425
1. 성과연구 방법론 = 426
2. 측정 방법 = 439
3. 성과연구를 위한 통계 방법 = 443
제22장 메타분석 = 449
1. 메타분석의 특징 = 449
2. 사례연구 = 467
Ⅳ. 통계
제23장 서술통계 = 477
1. 일원변수의 서술통계 = 477
2. 이원변수의 서술통계 = 495
제24장 추론통계 = 501
1. 표본에 의한 모집단의 추론 = 501
2. 모수추정 = 503
3. 가설검정 = 504
4. 차이의 검정 = 511
5. 상관성 검정 = 537
제25장 고급통계 = 549
1. 다수의 독립변수와 한 개의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 검정 = 549
2. 여러 개의 독립변수와 여러 개의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 검정 = 565
3. 변수나 대상자를 유사한 집단으로 분류하는 방법 = 572
4. 복잡한 인과모형의 검정 = 582
5. 다변량통계기법의 요약 = 584
Ⅴ. 질적 연구
제26장 질적 연구의 배경 = 589
1. 질적 연구의 정의 = 589
2. 질적 연구의 필요성 = 591
3.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 = 593
4.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 596
제27장 질적 연구 과정 = 599
1. 연구목적 = 599
2. 분헌 고찰 = 602
3. 표본추출 = 603
4. 질적 탐구의 수행 = 605
5. 자료 수집 = 607
6. 자료 분석과 해석 = 613
7. 질적 연구보고서의 작성 = 616
제28장 질적 연구방법론 = 617
1. 현상학 연구 = 618
2. 근거이론 연구 = 623
3. 민속학적 연구 = 627
4. 역사적 연구 = 632
5. 철학적 탐구 = 636
6. 비판사회이론 = 640
제29장 간호연구에서의 트라이앵귤레이션 = 643
1. 트라이앵귤레이션의 정의와 목적 = 643
2. 트라이앵귤레이션의 유형 = 644
3. 트라이앵귤레이션의 이슈 = 649
4. 바람직한 트라이앵귤레이션 = 653
5.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의 사례 = 656
Ⅵ. 연구활동지원전략
제30장 연구계획서 작성 = 665
1. 연구계획서 작성법 = 665
2. 연구계획서 내용 = 667
3. 연구 수행 승인 = 674
4. 연구비 지원기관용 연구계획서 = 679
제31장 연구비 수혜 = 685
1. 연구비를 수혜 받는 목적 = 685
2. 연구비 수혜 능력 강화 = 686
3. 정부 및 정부 관련 기관의 연구비 수혜 = 694
4. 연구비 지원 기관별 안내 = 697
5. 연구관리 = 701
Ⅶ. 연구활용전략
제32장 연구논문의 비평 = 707
1. 양적 연구의 비평 = 707
2. 질적 연구의 비평 = 717
제33장 간호연구와 실무의 연계 = 725
1. 근거기반 간호실무 과정 = 725
2. 근거기반 간호실무 사례 = 727
3. 근거기반 간호실무 현황 = 728
4. 근거기반 간호실무 장애 요인 = 730
5. 간호연구 활용 증진 전략 = 731
참고문헌 = 735
부록 = 775